쇼펜하우어의 내 생각이 맞다고 설득하는 기술 메이트북스 클래식 16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지음, 강현규 엮음, 김현희 옮김 / 메이트북스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일을 할 때 진실을 찾아 긴 시간을 보내야 하는 때가 있고 긴 시간을 쓰는 것보다는 일을 빨리 해결하는 것이 더 나은 때가 있다. 토론의 경우는 어떤 경우에 해당할까. 진실을 위해 긴 시간을 들여 나의 주장을 설득하는 것이 올바른 길일까 아니면 더 효과적인 설득기술이 있으니 그 기술을 습득하는데 신경을 더 쓰는 것이 나을까. 이 책은 이런 의문점에서 출발해 어떻게 하면 내 생각이 맞다고 설득할 수 있을지 그 기술들을 알려주는데 집중하고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책에서는 토론에서는 진리가 아니라 승리가 목적이기 때문에 사안의 진위에 대한 긴 논쟁을 하기보다는 요령을 사용하는 것이 때로는 더 간단하고 명료하다는 데에 생각을 두고 있다. 그래서 만약 상대방이 궤변을 늘어 놓는다면 똑같이 궤변을 들어 말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도 있다고 소개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상대방이 궤변을 늘어 놓는다고 나도 그렇게 응수하는 것이 꼭 정답이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더 진실에 가까운 설득을 하기 위해 긴 시간을 들여 설득하는 방법을 택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대방이 온갖 술수로 토론에 응하는데 나는 진실에 가까운 이야기들을 한다고 정성들여 설득을 해본들 그 시간이 가치있게 쓰였다고 할 수는 없다. 어차피 상대방이 궤변을 늘어놓는 사람이라면 나의 목적은 달성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는 토론에 임하면서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에 대해 시뮬레이션 해볼 수 있어 좋았다. 모든 사람들이 토론에 임하며 성실하고 정직하게만 답변하고 설득하는 것은 아니란 것을 충분히 예상해볼 수 있다. 물론 성실하고 정직한 방법들로만 토론에 임하면 좋지만 때로는 상대를 당황하게 하기 위해 논리 이외의 다양한 요소들을 토론에 활용할 수 있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그런 것들을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은 토론의 결과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본다. 그런 면에서 어떤 요령들이 토론에 활용되는지 다양한 방면으로 알 수 있었다.

상대방을 화나게 한다든지 두서없이 중구난방 질문하는 등의 방법들은 상대방의 감정을 동요하게 해서 실수를 유도하는 방법들일 것이다. 이런 것들이 토론의 장에서 충분히 쓰여질 수 있는 방법들이라는 것을 안다면 상대방이 이런 방법들을 쓸 때 말려들지 않고 차분하게 토론에 임하려고 노력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런 면에서 도움이 되는 면이 있었고 말로서 누군가를 설득한다는 것이 굉장히 머리를 많이 써야 하는 일이고 다양한 요소들이 결합되는 과정이라는 것을 알게 돼 좋았다.

*이 책은 출판사를 통해 지원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