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 라이프 밸런스 - 디지털 세상에서 똑똑하게 살아가는 101가지 방법
타이노 벤즈 지음, 이은경 옮김 / 책장속북스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술이 발전하며 스마트폰의 기술도 발전했고 그럼에 따라 우리 삶의 많은 부분이 과거와는 다르게 많은 변화를 겪게 됐다. 예전에는 컴퓨터로만 가능했던 인터넷 접속이 이제는 스마트폰으로 가능해지며 폰으로 많은 검색을 하고 있고 연락도 전화 대신 스마트폰 채팅창을 이용하는 빈도수가 늘었다.

코로나 시기를 겪으며 대면 활동보다 비대면 활동이 많아지다 보니 이런 흐름이 더 가속화되고 심화됐다고 여겨진다. 그러다 보니 스마트폰 초창기 시절에는 그 유익함에 기대 기술의 좋은 점들을 많이 활용했다면 이제는 너무 의존도가 심해짐에 따라 어떻게 하면 똑똑하게 스마트폰하는 시간을 가져갈 수 있을지 고민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이 책을 통해 스마트폰을 쓰게 되며 우리의 생활이 어떻게 달라졌고 어떤 점에서 테크와 라이프의 밸런스를 맞춰가는 것이 필요한지 생각할 수 있어 유익했다.

나 역시 쉬는 시간에는 폰을 보며 시간을 보내고는 하는데 문제는 굳이 몰라도 되는 정보까지 다 검색해가며 시간을 흘려보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이 책을 보게 됐는데 이유도 없이 삶이 바쁘다고 느껴진다면 자신의 시간을 어떤 데 많이 쓰고 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바쁘다는 느낌을 가지는 것은 정보를 닥치는 대로 모두 처리하기 때문이란다. 정보의 홍수 시대 속에 살며 남들이 다 아는 정보는 나도 다 알고 처리해야 한다고 여기는 강박이 생기는 듯하다. 인터넷 접속만 하면 수많은 새로운 사실들을 알게 되는데 범위도 내 주변에서 더 나아가 세계 뉴스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해졌다. 도저히 그 모든 정보를 처리하기에는 시간이 역부족인데 우리는 그런 일들을 매일 하고 있는 것이다.

의도적으로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규제하거나 바로가기 아이콘들을 전부 지워버리는 등의 노력이 필요함을 알게 됐다. 디지털 기기에 의존하는 것도 심하면 중독 수준으로 되는데 이렇게 살면 쉬는 시간이 쉬는 게 아니게 된다. 현대인들은 아침에 일어나서부터 잠에 들기까지 스마트폰을 손에 쥐고 끊임없이 무언가를 찾아다닌다. 어떤 문제의식도 없이 말이다. 나 역시 그런 면이 있기에 이런 습관에서 벗어나려면 이런 습관을 끊기 위한 장치들이 필요함을 알게 됐다.

특히 우리가 받아들이는 정보의 대부분은 우리와 연관도 없고 의사 결정 과정과도 무관하다는 내용이 마음에 와 닿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일에 의견을 가져야 한다는 착각을 하고 있는 것인데 그 과정에서 헛된 노력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니 좀 더 시간을 꼭 필요한 데에 써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시간은 유한하고 그 시간에 어떤 것을 해야 좋을지 생각해볼 수 있어 좋았고 모든 것을 알아야하고 연결돼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자신과 실제 관계된 세상에 좀 더 밀도높은 관심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한 시기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출판사를 통해 지원받았습니다.

#테크라이프밸런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