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은 집밥을 좋아하지만 지쳐버린 이들에게
고켄테쓰 지음, 황국영 옮김 / 윌북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밥은 매일 먹는 것이지만 생각보다 어떻게 먹는 것이 좋은지 깊이있게 생각한 적은 없는 것 같다. 매일 먹으니까 그냥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이다. 우리는 보통 집밥하면 떠올리는 어떤 이상적인 그림이 있는 것 같다. 아침, 점심, 저녁 따끈한 국에다가 김이 모락모락 나는 쌀밥에 김치랑 나물이랑 그외 반찬 등등. 집집마다 어떤 집밥을 먹고 자랐느냐에 따라 그 그림의 내용은 달라질지 모르겠으나 나의 경우는 기본적인 한식 집밥을 고수하는 어머니 밑에서 자라서 그런지 그런 그림이 떠오른다. 그런데 그런 그림의 밥을 실제로 차려보면 안다. 매일 그렇게 세 끼의 밥을 차려먹기가 얼마나 힘든지 말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우리가 그런 틀을 깨기를 바라는 것 같았다. 우리가 생각하는 그런 그림의 세 끼를 매일 차려먹는다는 것은 집밥을 차리는 이의 많은 수고와 정성, 노력이 필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가족 모두가 세 끼를 먹는데 손을 거들며 돕는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그건 현실 여건상 쉬운 일도 아니고 보통은 한 사람이 그 역할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집에서 밥을 차리는 이들은 보통 메뉴 고민을 한다. 매일 같은 것을 중복해서 먹기는 힘들고 지겨울 수도 있기 때문에 어떻게 메뉴 구성을 할 지 고민하는 것이다. 우리집의 경우 내가 그 역할을 하는데, 제일 힘든 것은 아침밥이 아닐까 싶다. 아침에는 밥을 차리고 먹을 시간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언제부턴가 나는 점심을 좀 많이 만들어서 그 다음날 아침에도 먹고 있다. 똑같이 먹는게 지겹다면 계란이나 김 등을 추가하는 식의 변칙을 쓰기도 한다.

이 책을 읽어보니 그렇게 아이디어를 짜내서라도 밥을 차리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낮추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밥을 차리는 행위에 지쳐버리는 것보다는 간단하게 차려서 맛있게 먹는 행위가 더 좋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책 말미에는 간단히 차려먹을 수 있는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레시피들도 들어있으니 집밥 차리기의 부담에서 좀 벗어나고 싶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레시피들을 보며 자신만의 방법들을 많이 만들어 활용해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을 읽으며 평상시 내가 겪고 고민했던 지점들이 많이 나와 좋았고 집밥에 대해 좀 더 마음 편하게 접근해봐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좋은 시간이었다.

*이 책은 출판사를 통해 지원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