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아이들은 책보다는 영상 매체를 더 자주 접하게 되는 것 같다. 코로나19로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나 책을 보기에 더 좋은 환경이 조성됐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만큼 핸드폰이나 텔레비전을 통해 많은 영상에 노출되기도 쉬운 환경이 됐다. 결국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삶을 이끌어 나갈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지점이 아닐까 싶다. 코로나19로 외부활동보다는 내부활동이 많아졌기에 누구에게나 똑같이 주어진 시간을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해볼 지점이 됐다는 것이다.
아이들의 경우 많은 것들을 흡수하고 배우는 연령대이다. 명심보감은 '마음을 밝게 만드는, 본보기가 될 만한 보배 같은 귀중한 책'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고려 말, 조선 초 이후 가정과 서당에서 어린이들을 가르치는 교재로 널리 쓰인 것이 명심보감이라는데, 집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진 이 때에 아이들과 명심보감을 읽으며 삶의 방향성을 어떻게 가져가는 것이 올바른지 도덕적인 면에서 같이 생각해보기 좋은 때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위 사진에도 나왔듯이 등장인물들이 아이들이 좋아할 만한 캐릭터들로 나오고 가르침별로 만화 스토리가 나와있어 부담없이 읽을 수 있게 돼 있다. 아무리 좋은 가르침도 그냥 객관적인 가르침으로만 끝나서는 의미가 없다. 아이들이 실생활에 그 가르침을 적용해보며 읽어볼 수 있어야 단순한 이야기가 아니라 '나의 이야기'가 될 것이다. 그런 면에서 스토리와 함께 읽는 명심보감은 아이들에게 더 유익할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읽으며 아이들의 평상시 생활 모습들을 돌아보며 어떻게 사는 것이 올바른 삶인지 이야기해 보는 시간을 가지는 것도 좋을 것 같다. 꼭 이 책에 나오는 이야기는 아이들에 국한된 이야기들로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어른들의 경우도 자신의 삶에서 있었던 일이나 경험들을 공유하며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서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가 끝나게 되면 이제 바깥으로 나가 사람들과 이전에는 못한 더 활발한 사회적 관계 맺기 활동들을 이어가야 할 텐데 잠시 쉬어가는 이 때에 이런 책들을 같이 읽으며 어떻게 사는 것이 좋은 것인지 같이 생각해볼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 될 것이란 생각이 든다.
*이 책은 출판사를 통해 지원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