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가 묻고 교사가 답하는 초등 교육 50 - 교사의 눈으로 본 우리 아이
김여울.문한솔.손주연 지음 / 행북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가 어느 정도 커서 초등학교에 갈 나이가 되면 부모들은 궁금한 것들이 많아질 것이다. 그 전까지는 그래도 어느정도 집에서 보육하는 시간을 보내며 아이에 대해 어느정도 안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초등학교에 아이를 보내고 본격적으로 학습을 시작하는 아이들을 보며 이 아이가 잘 적응할 수 있을지 걱정도 되고 잘 지내는지 궁금도 하게 되는 것이다. 사실 나는 아직 초등학교에 아이를 보내기 전이지만 요즘 학교의 상황은 어떤지 내가 다녔던 때와 비교도 해보며 미리 알아보고 싶어 이 책을 읽게 됐다.

 

부모는 보통 교사의 입보다는 아이의 입을 통해 학교 생활에 대한 단서들을 얻게 될 가능성이 크다. 교사와 면담할 기회가 그렇게 많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책에는 교사의 눈으로 본 아이들의 이야기들이 많이 나와 있어 아이들의 학교생활이 어떨지 생각해 볼 거리들을 주고 있었다. 사실 표면적으로 보면 다 같은 아이들이고 별 문제가 없어 보일수도 있지만 학교생활도 일종의 사회생활이라 볼 수 있기에 그 안에서도 다양한 갈등상황들이 일어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아이들은 학교에서 공부도 해야 하고 다양한 도덕적 교육도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들은 선생님들이기 때문에 상황별로 아이의 행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반응해야 할지 알려주고 있는데 가정에서도 부모들이 참고해보면 좋을 내용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목차를 보면서 궁금한 내용들이 눈에 많이 띄어 이 책을 읽게 됐다. 특정 아이들에게만 나타나는 특징적인 내용에 관한 이야기들도 있었지만 독서교육이나 사고력 교육, 코딩 학원 등 일반적으로 알아두면 참고될 내용들도 있어서 좋았다.

 

앞으로 교육분야도 많은 변화를 맞이하지 않을까 싶다. 학생수가 줄어드는 것도 있지만 교육의 내용이나 방향이 많이 바뀌는 변곡점이 올 것이라 생각한다. 산업계가 당장 반응을 보이고 있으니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상도 변할테고 그럼 당연히 교육의 내용도 조금씩은 변하게 될 것이다. 앞으로 아이에게 어떤 것에 중점을 두고 교육을 해야 하는지 생각해보며 학교생활에 있어서는 다가올 문제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포괄적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아직 먼 이야기라고 생각했었는데 상세히 아이들의 이야기를 읽다보니 시간이 금방 지날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 시간이었다.

 

*이 책은 출판사를 통해 지원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