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낯설게 그리기 - 일러스트레이션을 위한 드로잉
마틴 솔즈베리 지음, 안지아 옮김 / 드루 / 2024년 12월
평점 :
_“드로잉을 글이나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중 한 가지는 드로잉 자체가 하나의 언어라는 사실입니다.”_
_“시각적으로 생각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 드로잉 학습의 핵심이다.”_
_클링거는 회화에 비해 드로잉이 ‘재현할 수 있는 세상과 한결 자유로운 관계’라고 표현했다. 다시 말해 드로잉은 현실의 공간감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다. 드로잉 속에 여백이 있으면 사람들이 무심결에 연결하거나 해석해서 ‘채우기’ 때문이다.
.... 사람들은 그림을 배웠든 아니든 자신만의 방식으로 그림을 그린다. 긴장한 채 탐색하며 그리는 선부터 과감한 필치의 단도직입적인 선까지 저마다 다른 이야기를 전한다. 때로는 가지각색의 이야기가 하나의 그림에 다 들어있기도 하다. 선을 조금 더 힘줘서 그리거나 방향만 살짝 틀어도 그 성격이 달라진다._p16
그림은 보는 것만으로 나에겐 충분하다고 여기며 살다가, 최근 몇 년 사이에 그림을 직접 그려보게 되었다. 이 안에서 뜻밖의 몰입감과 행복을 접하게 되면서, 그림을 그리는 것에 대한 관심이 생기게 되었다. 전공이 아니고 일찍이 그리기 자체에 관심은 없었던 지라, 그 기초에 대한 궁금증이 많을 수밖에 없어서, 관련 도서를 종종 보고는 한다.
이런 갈증의 선에서 최근에 만난 ‘ #낯설게그리기 : 일러스트레이션을 위한 드로잉’, 저자 #마틴솔즈베리 는 케임브리지예술학교의 일러스트레이션 교수로 유명한 아동 도서 일러스트레이션 석사 과정을 설계하고 강의 하며 관련 각종 대회에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이 책을 보다보면 한 학기 대학 과정을 접하는 기분이였다. 1장에서 #드로잉 과 일러스트의 역사와 차이점 등을 설명하고, 그림 자체에 대한 기초, 관찰에서 상상으로 넘어가는 법, 기억을 바탕으로 드로잉하는 법과 여러 가지 예시들, 드로잉과 응용 일러스트에 대한 실제적인 내용들에 대한 이론과 예시들, 그리고 마무리로 스타일에 관한 조언으로 맺음을 하고 있었다.
제목인 “낯설게 그리기”에 끌려서 궁금했었던 책이였는데, 보다보면 이것이 어떤 뜻인지를 어렴풋이나마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나처럼 사물을 있는그대로 그리는 것에 마음이 안가는 이들에게는 더없이 용기를 주는 면이기도 하였다.
예를 들면, 저자는 도서 일러스트라고 할지라도, 작가의 글을 있는 그대로 옮기거나 되풀이한 그림이 아니라, 오히려 이를 피해서 글과 거리를 두고 그 분위기와 배경, 환경을 넌지시 보여줘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었다. 또한 동물을 그릴때는 “완전히 낯선 형태를 그려야 한다” 는 내용은 가장 기억에 남는 페이지이다.
그렇다고 드로잉 자체를 무시하라는 뜻도 아니다. 스케치북을 항상 가지고 다니며 여러 형태로 오감을 통해서 들어오는 정보들을 수집하고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데 활용할 것도 샐리 던의 예를 들면서 친절하게 알려주고 있었다.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일 텐데, 그 중 하나라도 삶 속에 가져올 수 있다면 정말 행운이지 않을까? 이 책을 보면서 늦게라고 그림그리기에 관심을 갖게 되어 나는 참 운이 좋다는 생각과 함께 다양한 표현법과 도구도 중요하지만 그 바탕에는 깊고 넓은 생각과 관찰, 기록이 있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다.
평생 도움이 될 수 있는 그림에 관한 안내서다.
_눈을 훈련하는 가장 좋은 방법 가운데 하나는 동물원이나 농장으로 드로잉 여행을 가는 것이다._p98
_미술 대학을 졸업하고 나서 일러스트를 ‘완성’해 출판사에 처음 보여주면 늘 ‘스케치북 그림과 비슷하게 수정해 줄 수 있겠느냐’는 피드백을 받았다고 한다. 처음에 스케치하면 생동감이 넘치는데 막상 이를 바탕으로 완성하면 너무 심심한 그림이 나오는 이들이 흔히 겪는 상황이다. 그래서 디컨은 시작부터 ‘끝’까지 손대는 횟수를 정해놓는 전략을 세웠다._p136
_사람 그리기는 당연히 정물 그리기보다 어렵다. 사람들이 늘 움직이는 상태라 그렇기도 하지만, 꼭 이 때문만은 아니다. 사실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또 화면을 통해 아주 많은 시간 동안 사람을 본다. 그래서 머릿속에 인간의 형상에 관한 선입견이 가득 차 있다. 이러한 이유로 냉철한 형태 분석과 사람들의 움직임 및 상호 작용에 관한 관심이 건강하게 하나의 짝을 이룰 수 있어야 한다._p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