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테일혁명 2030 - 구글, 이케아, 월마트 등 글로벌 브랜드 전략에 참여한 세계적 리테일 전문가가 말하는
더그 스티븐스 지음, 김영정 옮김 / 교보문고(단행본) / 2022년 2월
평점 :
코로나로 인해 여기저기 불황이라서 밥벌이하는데 도움얻고자 하던 차에 이 책을 보게 되었다. 코로나로 인한 거리두기로 인해 안전한 직장도 없고, 코로나와 접종으로 인해 심신에 이상이 안 생긴다는 보장도 없다. 물건을 사러 어디를 가게 되면, 매장 상품진열에 관심이 안 갈 수 없었다. 찾고자 하는 물건을 찾는데, 어느 매장은 상품이 잘 정돈되고 깔끔해서 원하는 상품을 찾기가 편한데, 어느 매장은 매장내부가 지저분하고 어수선해서 들어가고 싶은 생각도 별로 안 든다. 실제로 어디 매장이 그렇게 지저분해서 그런지 몰라도 망했다.
그래서 이 책을 펼쳐봤다. 이 책은 내가 원하는 내용위주로 되었다고 말할 수 없었다. 매장이 개인사업 이 정도의 매장이 아닌 매우 큰 매장 이런 걸 가리켰다. 책초반부에는 코로나로 인해 시장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 나와 있다. 이 정도는 뭐 나도 대충 알고 있기에 이 내용을 보고픈 독자라면 보면 됐다. 고객의 유형에 대해서도 나오는데, 외국인이 기준이고 출생연령대에 대해 그들은 어떤 환경에서 자라왔고 어떤 심리일지에 대해서 나온다. 상품을 팔고자 할 때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거대기업에 대해서 나오는데, 서민이 운영하는 매장과는 거리가 어느 정도 있는 것 같다. 이 책에 나온 내용을 보면서 해외에서도 거대기업으로 인하여 작은 매장 또한 그들의 입지에 휘둘린다는 것을 살필 수 있었다. 책에는 어떻게 매장을 운영할 것인가에 대해서 나오는데 그 중의 하나가 “할인을 절대로 하지 마라”라는 내용이 나온다. 이 내용을 보면 비싸게 불러서 싸게 파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고도 나오긴 한다. 그런데 한국 같은 경우 중소형 마트나 대형마트에서 <할인>이라고 표시하지 않으면, 해당 물건에 대해 크게 들여다보지 않는 경우도 있다. 나 같은 경우에도 그런 터라, 이 말이 얼마나 통할 지는 모르겠다. 그렇지만 다른 경우에는 이 말이 어느 정도 통할 수 있을 것 같다.
이 사람은 이 분야 전문가다. 그런데 어느 분야든지간에 전문가라 하더라도 반드시 그 분야에 대해서 전부 잘 아는 것은 아니다. 나 같은 경우 예전에 내 자동차가 고장났을 때, 카센터를 몇 군데 들러서 내 차를 고치려고 했는데, 10년 이상 자동차 수리를 해왔던 사장님들조차 어느 부속이 고장난 건지 고장부위를 찾지 못했다. 결국에는 자동차에 대해서 잘 모르는 내가 어디일 거라는 추측하에 내가 그 부품을 교체해달라고 하자 그 고장원인을 해결할 수 있었다. 이 말이 뭔 말이냐면, 전문가 말은 참고하는 것이고, 그 상황은 내가 더 잘 알 수 있는 거니까, 내가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큰 틀에서 얘기하는 내용이 많고 세세하게 어떻게 해야 한다는 그런 내용들은 살짝 좀 아쉽다. 그래서 이 책은 큰 그림을 그리려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경우가 많고, 나처럼 세세하게 파고들려고 하는 사람에게는 “누가 그러는데 큰 그림이 이렇대!” 이 정도로 보면 될 듯하다. 이건 내 개인적인 느낌일 뿐이고 독자마다 생각은 다를 수 있다고 본다. 나무만 보지 말고 숲을 봐야 한다는 말이 있듯이, 이 책을 그런 용도로 보면 좋을 것 같다.
나 같은 경우에는 좀 엉뚱한 곳에서 뭔가를 캐냈는데, 책에는 <리테일10가지 원형> 중에 이야기꾼형이라고 그 예로 나이키 광고에 나온 자신의 위대함 찾기 (Find your Greatness) 대해서 잠깐 소개하기도 한다. 내 개인적으로 코로나로 인해 지치고 자신감이 움츠러든 수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위대함>을 찾는 게 현재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았고, 제 나름대로 솔직하게 쓴 주관적인 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