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우리를 얼마나 알까? - 마음대로 풀어 쓴 『섭대승론』
무착 지음, 정화 옮김 / 북드라망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러모로 석연치 않은 해설서다. 우선 아상가(무착)의 원저와 어떻게 연관이 되는지 원저의 기본 구조라든가 핵심 문장들을 인용하고 풀어주는 부분이 전혀 없다. 원전 텍스트와 타이완의 인순 스님이 쓴 해설서 두 권을 끼고 - 사실상 한 권 - 원전 출처에 대한 링크 없이 내용의 핵심만, 정화스님이라는 필터가 느끼고 반응하는 대로 일종의 적극적 독서노트로서 산출물을 뽑았다고 보는 게 옳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 책이 타이트하게 정수만 알기 쉽게 옮겨져 있냐 하면 또 그렇지 않다. 중언부언 반복하는 부분이 많고, 좋게 생각하면 난해한 내용을 복습해주는 거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완결된 작품으로서의 경제성은 떨어져 보인다. 추측컨대 정화 스님의 다른 저작들 처럼 대중 상대 강의 녹취를 푼 게 아닐까 싶다. 그리고 저자 특유의 '인지 네트워크'= '생명 인드라망'= '대승 보살' 이론이 깊숙이 관류하고 있기 때문에 이 책은 아상가의 사상을 모사하고 정리하고 있는 물건이라기 보다는, <섭대승론>을 소재로 정화스님만의 기본 테마를 재확인하고 있다고 보는 게 맞겠다.


전체에서 3분의 1 이상 분량을 차지하는 후반부에서는, 유식에 근거한 수행론이 전개되는데, 이는 원저에서도 기본 프레임이 그렇다. (목차 중, 依'戒'學勝相, 依'心'學勝相, 依'慧'學勝相,學果'寂滅'勝相)  


한 가지 궁금한 게, "아비달마 대승경을 보면.." 이라고 출처를 밝힌 부분이 몇 번 나오는데 스님은 실존하는 책을 직접 참고하고 하신 말인가? 왜냐하면 <섭대승론>이 <아비달마 대승경>의 주석이라는 설이 있으나, 후자의 경전은 아직 발견된 적이 없고, 현장역에서 <아비달마대승경>이라고 씌어있는 부분이, 진제(파라마르타) 번역에서는 "섭대승론은 아비달마 '교'(가르침)이며 대승'수다라'(경전)이다"라고 되어 있어서. 현장의 오역에서 기인한 존재하지 않는 경전이라는 설이 지배적이라는데 학계의 의견이 뒤집힐 만한 문헌 발견이 있었나 싶어서 언급하는 부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