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 뿌미맘 가계부 - 2024.09~2025.12
상큼한 뿌미맘 차지선 지음 / 시원북스 / 2024년 9월
평점 :
ㅡ 도서를 무료로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 견해에 의해 작성된 리뷰입니다 ㅡ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003/pimg_7517711594450684.jpg)
20년 이상 가계부를 고수하고 있는
짠테크 달인의 지출관리로
목돈을 만드는 재테크의 정석!
우리 주부님들 가계부 쓰고 계신가요?
요즘은 워낙 편리한 시대인지라..
가계부 역시 종이가계부가 아닌
전자가계부가 대세지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로 쓴 내역이
자동으로 척척 뜨고~~
현금구매나 세세하게 쓴 내역들은 또
항목별로 차곡차곡 정리
그래프형태로 내 씀씀이가 어디에 몰려있는지
외식, 학원비, 의복비 기타 등등
바로바로 확인이 가능하다보니
아무래도 종이가계부는 잘 사용하지 않더라구요
몇년전만해도 은행 가계부의 TOP 농협가계부는
증정관련 정보 뜨자마자 주거래 농협에 가서
받아오곤 했었는데...
가만히 생각해보니 그것조차 안받아온지 꽤 된 것 같아요
직접 작성하는 종이가계부와 온라인 가계부의 차이점이라면
둘다 해봤던 경험자로서...
온라인 가계부의 경우 그냥 내가 쓴 것들을 기록하는 용도로
쓰게 된다는 단점이 있더라구요
그에 반면 종이가계부는 소비를 줄이는 목적이 명확하다보니
한달계획을 미리 생각하고 소비에 임한다는 것..
저 같은 경우는 그랬던것 같아요
그래서 다시 종이가계부로 눈을 돌려서
2025 뿌미맘 가계부로 수기 가계 작성하고 있답니다.
그런데 가계부가 왜 이렇게 이쁘죠?
보고 또보고 자꾸 보고 싶어지는 뿌미맘 가계부
첫애 태명으로 지었다는 애칭 뿌미~~
진짜 상큼함 그자체가 표지에서도 느껴지네요~
저자는 가계부의 매력이 푼돈 , 여윳돈, 목돈이 되는
공식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거라고 하는데요
가만히 생각해보니..
진짜 종이가계부를 작성했을때 제가 느꼈던 감정 그대로네요
푼돈을 모아서 여윳돈을 만들고
차곡차곡 저축하고 대출하고~~~
대출금 갚아가면서.. 내집마련..
내집을 마련하고... 애셋이 커가니
사실 요즘은 알뜰살뜰 저축에 손 놓게 된게..
애들 교육비가 만만치 않아요 ㅠㅠ
아무튼..... 아이들이 고등학생이 되었을때..
가고 싶다는 학원 보내기 위한 알뜰살뜰 살림
그중에 가장 기본인 가계부쓰기~~
20년 내공을 가진~ 상큼한 뿌미맘 노하우 익혀서
저도 작성시작했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003/pimg_7517711594450685.jpg)
뭔가를 20년이나 하고 있다는건 저절로 고개가 숙여지는 것 같아요
취직하자마자 은행가계부로 가계부를 쓰기 시작했다는 저자
가계부는 단순히 수입과 지출을 기록하는게 아니라고
그것으로 하여금 내 자산을 불려주는 것..
가계부 쓰는 사람은 항상 이것을 염두해둬야된다고 하는게
참 인상적이였답니다.
저도 사회생활 초년에는 딱 저런 생각이였는데..
내집 장만한 주부가 되다보니 자연스레 느슨해진거 있죠 ㅠㅠ
암튼.. 사회생활 초년일때는
내가 번돈을 내가 투명하게 정리하는거라서
오히려 참 편했는데..
이제는 내가 번돈이 아닌.. 신랑이 번돈
그 중에서도 생활비를 기록하고 작성하는거라..
일단은 시작부터 좀 맥이 빠지는 상황이예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003/pimg_7517711594450686.jpg)
신년가계부라고 하면 보통 그해 12월부터 다음해 1년
딱 그정도가 나와있는데 2025 뿌미맘 가계부는
2024년 9월부터 2025년 12월까지~~
작성하게 되어 있어서~~ 저는 10월부터 기록하고 있답니다.
가장 먼저 주부니까~~~
가계부 = 다이어리인거 국룰이죠?
각종 행사 잊어먹지 않도록~~~
다이어리에 차곡차곡 기록할 수 있게~~
한페이지 요렇게 시작합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003/pimg_7517711594450687.jpg)
다음장을 넘기면~~ 이제 등장하고~~
월별 예산 기록하는 코너
우리집 수입과 지출을 작성하는 코너인데요
숨만 쉬어도 나가는 돈이 있잖아요 ㅠㅠ
수입은 월급 하나인데..
지출은 통신비(인터넷, 전화), 애셋 학원비, 관리비, 예적금 및 보험료 등등
그런 큰 항목들을 먼저 정리해둔답니다.
월별 지출 정리하다보면..
진짜 숨만 쉬어도 이리나가니.... 서방한테 잘해야지..
소리가 저절로 나오는거 있죠 ㅠㅠ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003/pimg_7517711594450688.jpg)
본격적인 가계지출 기록페이지예요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7일간 기록을 한페이지에 담게 되는데요
배달, 외식... 우리집은 외식은 일절 없고
마트를 이용해서 집밥 해먹기 때문에
이 부분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구요
걷는다는 핑계로~~~ 반값 할인이란 핑계로 갔다가
의외의 지출도 많이 하는지라..
마트에서만큼은 카드가 아닌
할인상품권 40만원어치 싸서 쓰고 있어요
가계부 쓰면서 10월부터 도전중이랍니다.
9월은 계산해보니.. 65만원을 마트에서 썼더라구요 ㅠㅠ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003/pimg_7517711594450689.jpg)
빚지는 삶이 싫어서 신용카드는
일절 사용하지 않는 현명한 소비중인 뿌미맘님
학원비 혜택으로 인해서 신용카드는 꼭 써야하는 우리집
알뜰살뜰한 그녀의 짠테크 꿀팁들 중에서
취할건 취하고~ 버릴건 버리면서
일단은 대형마트에서 쓰는 소비부터
차근차근 줄여서 나가보려구요
2024년이 이제 석달 남은 시점이예요
2025년을 위한 새로운 도전거리를 물색중이라면
건전한 소비를 위한 가계부 쓰기 어떨까요?
매일쓰기가 부담스럽다면
일주일 몰아쓰기도 가능하니까~~
이쁨이쁨한 2025 뿌미맘 가계부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