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치하는 아이들
김기수 지음, 박연옥 그림 / 윌마 / 2025년 7월
평점 :
ㅡ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료로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된 리뷰입니다 ㅡ

2024.12.03 대통령의 계엄령이 있던 날
아이들과 함께 있다가 멍하니 서로의 눈을 바라보던 기억
잔뜩 겁을 먹고서는 품으로 파고 들던 생생한 기억
그날을 아직 기억하고 있는데요
제가 초등학생 시절일 때는 정치는 어른들의 전유물이라고만
여겼었고 그닥 관심이 없었는데
요즘은 시기가 시기이니만큼 많은 관심을 가지더라구요
아이가 그때 호기심 가득 질문을 했어쓴데
대답을 해주면서도 모르는게 많아서 같이 검색하며
이야기해줬던 기억이 있어요
관련 내용이 도서로 나온 것이 <정치하는 아이들>인지라
다른 어떤 책보다 관심이 가더라구요
정치를 어떻게 초등 아이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을까...
교실에서 시작되는 살아있는 민주주의 수업
어떤 사안에 대해 의견을 내고 토론을 거치고
결과로 나온 것들은 실천하는 것
사회와 교실에서의 정치가 크게 다를게 없다는 것을
아이들의 작은 사회인 교실에서 풀어낸 이야기
교실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사건들이 책 표지에도
하나하나 나와있는만큼 공감대 형성하면서
정치라는게 어른들만의 세상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구나
알고 할 수 있는 도서
200페이지가 넘는 글밥의 도서지만
어렵지 않게 이해하며 읽을 수 있었어요

우리나라에서 대통령의 비상계엄이 선포되던 그 뒷 날
초중고 학생들의 수업에서는 관련이야기가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게 진행되었답니다.
그런데 바로 이 교실에서는 "김선생님법"을 통해
교실에서의 계엄과 민주주의가 어떤 것인지
현직교사의 조금은 색다른 수업이 있었답니다
시끌벅적한 여느 초등학교 교실과 다를바가 없는 상황에서
김선생법을 선포한 선생님
1호 친구가 때리면 같이 때린다
2호 친구를 때린 사람은 1시간동안 말을 하지 못한다
3호 친구를 때린 사람은 급식을 꼴찌로 먹는다
등등 아이들이 떠들때마다 규칙이 하나하나 늘어가는데
자신들의 의견은 하나도 반영되지 않은 선생님의 막무가내 규칙들
아이들은 그 규칙들로 인해서 우리 초등학교의 전통인
다모임 역시 참석하지 못하게 되는데요

조용히 교실에서 아무 말도 하지 못한채 선생님의 규칙을 따르던 그 때
6학년 선배가 교실문을 열고 지금의 상황을 파악
아이들의 입장에 서서 관련된 내용들을 의견으로 내서
김선생님법이 아닌 우리반법을 만들게 된답니다.
말도 안되는 선생님법을 독재라 여기고
계엄령을 탄핵안으로 막았던 국회의원들처럼
교실에서의 재판관들이 우리반법을 통과시키면서 선생님의 독재를
민주주의로 이겨내는데요
사회에서의 정치와 교실에서의 정치가 크게 다르지 않음을
이렇게 하나의 사례로도 알 수 있게 해주더라구요

교실에서의 부당함을 자신들의 소중한 의견과 한표의 행사로 막아낸 아이들은
그 후 주체적으로 교실 혹은 학교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직접 토론으로 해결하기 위해 똘똘 뭉치게 되는데요
내가 속한 사회에서의 의견은 내 삶을 바꿀만큼 중요한 것이기에
참여하는 정치에 대해 책을 읽으면서 아이도 느끼는게 많았는데요
우리가 교실에서 했던 의견을 내고 서로 조율해서
하나의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과정
이게 바로 어른 사회에서의 정치와 다르지 않다는 것
교실에서 시작되는 살아있는 민주주의 수업은
정치에 무관심한 어른들이나 혹은 정치가 궁금한 아이들
누구에게도 꼭 필요한 교양서라
부모와 아이가 함께 의견을 나누며 읽는거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