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큰비 - 2017년 제13회 세계문학상 우수상 수상작
정미경 지음 / 나무옆의자 / 2017년 9월
평점 :

문학상이 주는 공신력을 믿는편이다.
공모를 통한 수많은 응모작 중에 발탁의 영예를 안았으니 당연히 괜찮은 작품일 거라는 무조건적인 믿음 같은 게 있다.
대부분의 작품이 이런 믿음에 부응해 왔고 이런 이유로 문학상을 탄 작품에 대한 일반 독자들의 선택도 높아졌다고 본다.
가끔 기대에 못 미친 작품도 있었지만, 이건 취향의 문제지 작품의 수준과는 별개의 문제라고 위로한다. 책을 읽는 흔한 독자인 내가 글로 뼈가 굵은 심사위원의 안목을 뛰어넘을 리가 없잖은가?
이번 세계문학상도 그렇다. 내겐 좀 아쉽지만 심사위원의 안목과 문학상의 공신력을 믿고 싶은.
조선 무녀들의 순수하고도 불길한 역모의 꿈.
하늘과의 접신을 통해 큰 비를 내리게 하고 큰 비가 어둡고 부조리한 세상을 쓸어버린 후, 새로운 세상을 꿈꾼다는 내용이다.
미륵이 도래하는 세상, 양반도 없고 상놈도 없는 평등한 세상을 용녀 원향과 원향을 도와 큰 일을 이룩할 박수 여환을 앞세워 만들고자 한다. 원향과 여환이 꿈꾼 종착의 세상은 같았으나 접근하는 방법이 다름을 조금씩 알게 되고 새 세상의 서막인 큰 비에 대한 염원도 균열이 일기 시작하는데...
무녀들 삶에 대한 방대한 자료와 신비한 능력을 통해 이루어진 기사와 이적, 굿의 종류와 굿마다의 특징, 무녀들의 신내림과 계보에 대한 이야기들은 작가가 이 작품을 쓰기 위해 얼마나 많은 수고와 노력을 기울였는지 알게 해 주었다.
굿이나 보고 떡이나 얻어 먹는 일반인들이 모르는 무녀들의 눈물나는 삶과 무녀가 되기 위한 노력과 무녀가 되고 나서도 신탁을 받기 위해 정신을 닦고 몸을 정갈히 해야하는 묵계들을 읽으면서 굿이 샤마니즘적 주술이 아니라 장인의 영역에 드는 퀼러티 높은 직업정신 없이는 할 수 없는 일이구나! 생각하게 되었다.
새 세상을 향한 무녀들의 역모라고는 하지만 이야기의 흐름이 역모보다는 무녀들 개개인의 사연과 삶에 더 가깝다.
큰 뜻이 하늘로 부터 온다는 건 알지만, 거슬려서도 안 된다는 것도 알지만 어쩔수 없는 상황에선 인간의 눈으로 보고 인간의 마음으로 판단하는 결국엔 사람을 먼저 생각하는 것이 하늘의 마음이라는 걸 넌지시 일러 주기도 했다.
책 속의 많은 인물들, 많은 자료들, 많은 이야기들은 작가가 이 작품을 세상에 내 놓기 위해 애쓴 땀과 노력이 진득하게 베여있고 미신으로 치부되고 독특한 문화의 일부로 지정되어 명맥만을 유지해 가는 굿과 무당을 재조명해 보인데 대한 노력이 상을 받게 한 원동력이 되었지 싶다.
그 노력에 아낌없는 박수를 보내는 바이나 작가가 연구하고 수집한 방대한 자료로 인해 소설은 서사가 분산되어 집중력이 흐트러지고 큰 비라는 임팩트는 소리없이 페이드 아웃되는 느낌이었다.
확- 쓸고 지나갈 듯 싶었던 비는 끝내 내리지 않고 여기 저기서 목소리를 내며 들어 보라는 개개인의 사연들에 촛점이 흔들리다 보니 원향이 접신하는 날을 기다리며 함께 한 여정 어디쯤에서 독자도 함께 길을 잃어버린 기분이었다.
수집한 자료가 아깝고 어느 것이라도 버리기엔 살을 깎는 고통이었겠지만 나같은 무매한 독자에겐 중구난방의 보따리 보따리 얘기보단 눈을 뗄 수없는 단순하고 헷갈리지 않는 얘기가 좋다.
앞서도 얘기했지만 작품의 수준하고 별개로 내 취향의 문제다.
숙종때 경기도 양주 무당 무리들이 도성에 큰 비를 내려 세상을 바꾸어 보려 했다는 대우 경탕설을 연구한 논문이 있었다는 것도 신기했고 이 논문을 토대로 무당의 삶을 집대성한 소설을 써 낸 작가의 상상력과 노력도 대단하다 싶은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