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사는 집 바다로 간 달팽이 6
최모림 지음 / 북멘토(도서출판) / 2013년 3월
평점 :
품절



다문화 가정이 갖는 여러가지 문제가 우리 사회에 많은 이슈를 던져 준 지는 좀 오래 되었다.

하지만, 다문화 가정이 갖는 여러가지 문제만큼이나 우리 사회가 관심을 가지고 보아야 할 문제가 '새터민 가정'에 대한 문제 일 것이다.

우리와 같은 피를 가진 우리 민족이지만 스스럼 없이 얼싸 안기에는 뭔가 껄끄러운 그들이고 아니라고 부정하기엔 같은말, 같은 모습을 가진 우리 동족임이 틀림 없다.

 

최근 몇 년 사이 북한의 기근으로 말미암은 탈북자들이 속출하고 온갖 어려움과 고초를 겪으며 여러 경로를 통해 우리나라로 입국하는 새터민들의 소식을 심심찮게 듣게 된다.

십 여 년 전 쯤, 북한의 경제 사정이 그리 어렵지 않을 때만 해도 북한에서 일가족이 넘어왔다! 하면 큰 뉴스였고 대대적으로 북한 체제를 비판하는 홍보거리가 되었던 적도 있었다.

하지만, 이젠 주변에서 흔하게 들을 수 있고 볼 수 있는 그들에 대해 우리는 호기심 어린 호의보다는 귀찮은 적의를 품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도 사실이다.

'위대한 조국 북조선'의 사람일 수도 없고 '자유 대한민국' 국민이라 얘기 할 수 도 없는, 어디에도 맘 편히 정착할 수 없는 그들이

정체성에 혼란을 가지는 것은 당연하고 사회적 문제가 됨도 어쩌면 인과응보의 결과인지도 모르겠다.

 

[마음이 사는 집]은 이런 상황에 놓인 새터민 가족에 대한 이야기다.

가족 모두가 굶어 죽을 수는 없어 중국으로 배불리 먹을 양식을 구하러 떠난 아버지와 아들은 우여곡절 끝에 '새 조국 남한'으로 왔다.

생경한 문화와 새로운 아이들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철민이는 꽃제비로 떠돌며 삼켜야 했던 '배고픔' 대신 어디에도 끼일 수없는 '따돌림'으로 힘겨운 생활을 하게 된다.

북한으로 수소 풍선을 날리는 아버지는 날마다 새벽에 나가고, 철민이는 북한을 헐뜯는 삐라가 들어있는 풍선을 북한으로 날려 보내야 하는 아버지가 마음에 들지 않지만, 그것 말고는 아무것도 할 일이 없다는 아버지의 말에 속상하면서도 북한에 남겨둔 할머니와 어머니 생각으로 가슴이 아프다.

그러다가 우연히 지하철 역에서 구걸하는 아저씨를 보게 되고...

[마음이 사는 집]안에 그려진 내용은 새터민 아이들이 목숨을 걸고 오고 싶어했던 남한의 현실이 이 정도인가? 싶을 만큼 너무나 가혹하고 매몰차 읽는 내내 가슴이 아팠다.

물론, 동화속에 그려진 모습이 우리 전부의 모습은 아니겠지만, 조그마한 배려나 호의없이 숨기지 않고 드러내는 적대감을 새터민의 아이들이 어떻게 감당해 나갈지 걱정스러웠다.

 

대한민국이라는 새로운 사회에 적응하기도 힘든데 새로운 학교며 교과목들 친구들까지 모두들 내 편이 하나도 없음을 느끼게 되면 민철이와 함께 남한으로 내려왔던 미주처럼 앵벌이로 더 힘겨운 삶을 살아가야 하는지도 모른다.

민철이네 반 아이들도 어쩔 수 없이 시달려야 하는 공부와 대학 진학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풀 만한 상대를 민철이를 택했다고 생각은 하지만 또래들의 관심과 배려가 새터민 아이들이 이 곳에 적응할 수 있는 가장 빠른 길이라는 걸 알았으면 좋겠다.

 

새터민 아이들에게 가장 행복했던 순간은 힘겨운 경로를 통해 대한민국에 입국했을 때와 하나원에서 같은 아픔을 가진 아이들과의 합숙생활까지!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내 주변에서 볼 수 없다고 나와는 상관없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그들도 본래는 우리였다는 생각으로 좀 더 따뜻한 마음과 눈길로 안아 줄 수 있는 마음으로 살아가야 함을 알게 해 준 책이었다.

우리에게 통일은 입으로만 부르는 노래가 되어버렸을 수도 있지만, 백두산이 폭발해야 가족을 만날 수 있다는 염원을 가진 민철이 같은 아이에게 통일은 눈물을 삼키면서 바라고 구걸을 하면서도 부끄럽게 생각되지 않는 꿈에도 소원인 것이다.

 

민철이와 아버지가 진심으로 행복했음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