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해, 왕이 된 남자
이주호.황조윤 지음 / 걷는나무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가 흥행의 열기를 이어가 추석연휴로 이어지는 관람객 700만을 돌파했다는 소식을 들으며 책을 읽고 있는 나는 빙긋 웃는다.

얼마전에 영화를 봤고 다시 책으로 그를 만나다보니 글이 영상화 되고 영상이 글이 되는 3D식 입체 사고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책이 나은지, 영화가 나은지에 대해선 함구하기로 한다.

왜냐, 나름의 장단점이 머리와 꼬리를 맞물고 있어서 나도 뭐가 좋더라고 딱부러지게 얘길 하기 힘들어서다.^^

영화제작 시나리오에 바탕을 두고 나온 책이어서 더 그렇다.

한동안 젊은 왕 개혁과 중용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던 <정조>에 대한 관심으로 매스컴이 후끈 달아오르더니 요즘엔 싸이 다음 <광해>라 해도 손색이 없을 만큼 광해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영화의 흥행에 기인한 일시적인 현상일수도 있겠으나, 광해군에 대한 이런저런 책들이 심심찮게 출판되는 걸 보면 폭군의 이미지로 덮여 있던 광해군의 재조명에 한번쯤 관심을 가져도 좋을 법 싶다.

우리가 알고 있는 태정태세문단세...로 이어지는 조선 스물일곱 명의 왕 중에 군으로 그 호칭이 격하된 왕이 <연산군><광해군>

이다. 그러다 보니 어렸을 때 연산군과 광해군은 똑 같이 포악하고 잔인무도한 임금으로 각인되어 연산군이 광해군인지 광해군이 연산군인지 잘 구별 할 줄도 몰랐고 여하튼 나쁜놈의 범주에서 치부하며 시대적인 이유와 어떤 일들로 인해 그들이 왕이라는 호칭조차 얻을 수 없었는지 관심이 없었다. 기행적인 행각들만 소설의 소재로 드라마의 극적인 요소로 부각되어 그들은 언제나 나쁜놈들로 보여지고 그들의 입장에서 생각해 본 적이 한 번도 없었다.

정치적 암투와 자신을 둘러싼 환경의 정신적 트라우마를 극복해 내지 못해 돌출된 행동이었을 거라는 연민이 생긴건 역사시간에서 배웠다기보단 인생을 살아가면서 내 삶의 경험에 빗대어 남의 처지를 생각할 수있는 타산지석의 힘이 더 컸음이다.

"광해군 8년 승정원 일기에서 사라진 15일간의 기록"

이라는 모티브에서 시작된 내용은 작가의 상상력에 박수를 보내게 되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폭군 광해군의 이미지를 아주 폭군이지만은 않은 그도 어쩌면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던 나라를 생각하고 백성을 잘 돌보고 싶었던 성군의 자질이 조금은 있었던 사람은 아니었을까?를 의심(?)해 보게 된다.

사대의 예를 다해왔던 명나라와 떠오르는 새 별 청나라 사이에서 중립외교를 펴며 실리를 추구했던 왕으로 현싯점의 IMF와 FTA의 굵직한 국제관계속에 중심을 잡지 못하고 흔들리는 우리에게 광해군이 편 실리외교의 교훈은 크다.

역사속의 광해와 책 속의 광해는 분명 다르다.

역사속의 광해에 대해선 내 역사적 지식이 짧은관계로 깊이있는 조명이 어려울 듯 싶고 책 속 광해에 대해서 얘기해보자.

정쟁과 당파간의 싸움 속에서 목숨에 위협을 느낀 광해는 도승지 허균과 모의해 그와 꼭 닮은 만담꾼 하선을 찾아내 살해의 음모에서 비껴서 있게 된다. 광해가 깊은 산사에 몸을 피해 있는 15일 동안의 허균의 지시 아래 꼭두각시 왕 노릇을 하는 하선의 눈에 비친 조정신료들의 이기와 사리사욕에 치를 떨게 되고 백성의 안위와 나라의 장래에 대해선 눈꼽만큼도 걱정하지 않는 행태에 대해 분노한다. 왕의 피가 흐르지 않고 왕의 수업을 받은 일 없는 일개 만담꾼의 눈에도 옳고 그름이 보이는 정책이건만 권력을 가진자들의 끝없는 욕심에 치를 떨게되고 점점 왕보다 더 왕다운 면모를 갖게 된다. 하선을 단지 돈에 눈이 어두운 시장의 만담꾼으로만 여겼던 허균도 하선의 바른 판단과 백성을 위한 애민정신에 감동하게 되고 백성을 편안케 하고 나라를 바로 세울 수있는 왕이 어쩌면 하선같은 왕이 아닐까 흔들리는데.....

영화에서 이미 본 내용들이라 흐름을 이미 알고 있어 책을 읽는 재미가 떨어지지 않을까 걱정했지만, 책에서만 느낄 수있는 디테일한 묘사와 영화에서 다 담지 못했던 유머와 세세한 표현들은 같은 이야기지만 표현력 뛰어난 다른 두 사람을 통해 듣는 것처럼 또다른 매력이 있었다.


나라를 살리고 백성을 위하는 왕의 모델을 <광해, 왕이 된 남자>가 간접적으로 보여주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정치적을 술렁이고 후보자 모두가 내가 아니면 안된다고 외치고 있는 이 때, 과연 우리가 의지할 수있고 진정 백성을 위해 일 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를 이 책을 통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었다.

책의 결말과 영화의 결말이 다르니 영화를 본 사람도 책을 통해 영화와는 또 다른 여운을 느껴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