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콰이어트 Quiet - 시끄러운 세상에서 조용히 세상을 움직이는 힘
수전 케인 지음, 김우열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흔히들 칼보다 펜이 강하다고는 하지만, 세상을 움직이는 사람은 문장가라기 보다는 웅변가라는 말들을 많이 한다.
대중 앞에서 자신의 주장을 어필할 수 있고 설들시키는 힘을 가진 웅변가들로 인해 세상이 바뀌어 온 것도 사실이다.
침묵이 금이라면 웅변은 다이야몬드라는 우스개말이 그냥 웃자고 하는 말이 아닌 뼈있는 말이 되어 조용히 있는 사람은 '꾸어다 놓은 보릿자루'로 비유되는 시대다.
"시끄러운 세상에서 조용히 세상을 움직이는 힘 - 콰이어트 (QUITE)"
이 책은 일반적으로 생각해 온 내향성과 외향성에 관한 우리의 편견에 대해 새로운 시각으로 다가서서 볼 수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책이다.
외향적인 성격을 가진 세상의 유명한 사람과 내향적인 성격으로 내공을 쌓아 세상에 알려진 사람들의 사례를 독자들에게 들려 줌으로 정말 세상을 바꾸는 힘은 입으로 떠드는 말이 아닌 내면속에 숨겨진 실천력에 있다는 것을 일깨워준다.
책에서 예를 든 간디, 아인슈타인, 고흐, 조엔롤링, 루이스캐럴, 앨리너 프랭클린, 위즈니악..등 수많은 내향성을 가진 사람들을 성공사례를 예를 들면서 내향성을 가진 사람들이 조용히 있는다고 해서 에너지가 부족하거나 의지가 나약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해 보이고 있다.
비단, 유명한 사람들만을 예를 든 것이 아니라 내향성을 가진 자녀를 어떻게 바라보고 이끌어 줄 것인지, 부모와 기질이 다른 아이와의 관계유지의 방법등을 제시하고 있어 자녀 교육을 위한 지침서로의 역할도 병행하고 있다.
초등학교 때는 외향적인 성격의 아이가 성적이 좋은 경우가 많지만, 고등학교와 대학에서는 내향적인 사람이 뛰어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내향적인 사람이 외향적인 사람보다 똑똑한 것은 아니라 (아인슈타인의 말을 빌리자면...) '문제를 오래 물고 늘어져서'라는 단순한 답을 들을 수 있다.
문제를 해결하는데는 열정도 필요하지만 진득한 인내와 성실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얘기로 들린다.
외향적인 성격의 아이들에게 최적화 되어 있는 시스템의 학교에서 내향적인 성격이 자신감 없는 주눅이 든 아이의 모습으로 오해되어 '아이들과 더 어울리고 더 사교적으로 행동하라는 조언' 으로 아이들을 내모는 경우가 많음을 지적하고 교실 안 밖에서 아이들의 자유를 찾고 그들 스스로 내면의 힘을 기르는 방법은 내향적인 성격을 가진 부모라면 꼭 읽어 보아야 할 좋은 조언이다.
작가가 쓴 책말미의 내향적인 사람과 외향적인 사람이라는 단어에 관한 소견을 보면...
'문화'의 관점에서 본 내향성에 대한 얘기였지만, '행동하는 사람'과 '사색하는 사람' 이라는 이분법에 벗어나 두 가지 유형의 사람들이 조화롭게 살아간다면 더 나은 세상이 되리라는 희망을 담고 있다.
맞는 말이다.^^
누구나 한 번 쯤 멋진 말로 좌중의 마음을 움직이거나 어디서나 자신감 있게 당당히 자신을 드러내는 사람을 부러워해 본 기억이 있을 것이다. 그런 사람들을 보면서 괜히 주눅들고 자신이 초라하다고 느낀적이 있다면 이 책은 심리학적인 면에서도 상당한 치료의 효과가 있는 책이다.
큰 소리로 말하는 것에도 용기가 필요하고 누군가에게 주목 받는 것조차 부담스러운 보통의 사람들을 향해 그런 성향을 가진 우리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어 내심 스스로를 뿌듯하게 만든다.
부족한 나를 찬찬히 돌아보게 하고 내 안의 깊숙한 곳에 숨어 있어 몰랐던 작은 장점들이 반짝거리는 것을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