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터스 블랙 로맨스 클럽
리사 프라이스 지음, 박효정 옮김 / 황금가지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가능하다고 생각한 수많은 영역들에서 길게는 백 년 짧게는 몇 십 년 사이에 우리는 <상상하는 모든 것이 현실이 되는 세상>을 체험해 왔고, 이런 문구가 더 이상 첨단 제품을 홍보하는 선전문구가 아닌 '언젠가는 가능한'이라는 열려있는 메세지로 인식되고 있다.

설마? 했던 의문의 문장들이 역시! 하는 감탄의 문장으로 바뀐 사례가 얼마나 많은가?

그러는 동안 발전이라는 것이 무조건 좋은 것만은 아니라는 걸 우리는 어느 순간 엄청난 속도의 자동차를 탔을 때 느낀 멀미처럼 흔들리며 알게 되고 각성의 분위기도 만만찮다.

 

과학적 진보가 인간에게 끼치는 영향이 어떤 변화를 가져 올 것인지..명확하게 어떤 분야의 학문에서도 정의를 내리고 있지는 못하지만, 영화와 소설 분야에서 나타나는 전망은 그리 밝아 보이지 않는다. 밝아 보이지 않는 정도가 아니라 거의 암울에 가깝다.

그 암울한 세상 속에서도 사람이 희망이고 사람이 해답인지라 어떤 악한 조건의 상황이라도 살아가야는 방법을 찾고 희망의 명분을 남겨 둔다는 메세지가 있어 디스토피아를 다룬 얘기는 충격이 클수록 재미가 더하다.

 

첨단기술에 의한 부작용이 초래한 세상과 그 세상에 속한 인간들의 운명을 다룬 디스토피아 스릴러, 스타터스!

생물학 전쟁으로 백신을 맞지 못한 중장년층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모두 사망하고 [스타터스]라 불리는 10대 들과 [엔더]라 불리는 노인들만 살아 남은 세상.

중간이 계층이 없는 처음과 끝만 존재하는 양극화의 세상이 조화로운 삶을 이루어 가리라곤 애초에 생각되어지지 않지만, 인간의 욕망은 언제나 내가 가진 것에 만족하기 보다는 가지지 못한 것을 탐한다는데 비극이 시작됨을 여기서도 볼 수 있다.

 

다시 젊어지고 싶은 부유한 노인들 [엔더]는 10대의 몸을 대여받아 젊음을 다시 만끽해 보려하고 부모도 일자리도 없이 굶주림에 시달리는 어린 [스타터]들은 돈의 노예가 되어 '바디뱅크'에 몸을 맡기는 모습을 통해 우리가 지키고 있는 윤리의 기준마저 혼란해진다.

소설에서 몸을 바꾸어 타인이 된다는 설정은 이미 진부해진 소재이긴 하지만, 어린 미성년자의 몸을 통째로 리스해 그 몸을 쾌락의 도구로 사용하는 노인들..이라니, 디스토피아가 틀림없다!!

%BC%AD~3.JPG

어린 몸들을 렌탈한 [엔더] 리가 인용한 격언 '젊음은 젊은이들에게 허비된다'는 영국의 유명한 극작가 '버나드 쇼'의 명언 중 <젊음은 젊은이들에게 주기엔 너무 아깝다> 는 말과 오버랩된다.

이런 말을 한 버나드 쇼는 젊었을 때 그토록 아까운 젊음을 한 점 오차없이 알뜰히 다 소진하며 썼을까?

젊음을 허비해 본 젊은이들의 시행착오를 통해 만들어진 세상을 우리는 살아왔으며 또 살아가고 있는 걸 생각한다면 젊음의 허비는 어쩌면 세상이 돌아가는 원동력의 한 부분이 아닐까..싶기도 하다.

허비되는 젊음이 아까운 건 사실이지만 내 것일 땐 아까운 줄 모르고 허비하다가 사용기한이 지난 후에 다시 뺏고 싶어 하는 마음, 소설의 소재로 흥미롭다는데는 인정하지만 이런 세상이 정말 올까싶어 나도 소름끼친다.

%B0C89~1.JPG

<스타터스>는 어디서 많이 본 듯한 진부한 소재임에도 독자를 끝까지 끌고 가는 힘이 있다.

렌트를 당한 상태에서도 나를 찾기 위한 정체성, 반짝이는 젊은 사랑의 불꽃, 동생을 향한 희생정신, 음모를 파헤치려는 모험정신..그런 것일 수도 있었지만, 이게 가까운 미래의 실현가능한 이야기가 될 수도 있겠다는 묘한 위기감이 주된 이유였다.

몸을 빌려주는 세상, 나는 아니(..라는 보장도 없지만!)겠지만 내 아이, 내 손자들이 이런 세상을 살아갈 수도 있다는 생각이 제발 그들이 [엔더]들을 물리(?)치고 [스타터]로써의 권리와 희망을 되찾기 바라는 마음이 이 책을 끝까지 읽게 했다.

이야기 시작의 장황함에 비해 후반부로 갈 수록 쫒기는 듯한 사건 마무리와 영화제작을 염두에 둔 듯한 공간(감옥)의 산만함, 주변 인물들의 개연성 부족한 진퇴로 인해 이야기의 맥이 풀어지고 느슨해짐은 아쉬웠다.

책의 인쇄 상태가 좋지 않아 일부분이(P.324)비어 있어 당황하기도 했다.

%BC%AD~4.JPG

<황금가지>의 장르소설에 대한 정평은 익히 들어왔지만, 블랙 로맨스 클럽에 대해선 처음이다.

나 같은 독자들을 위해 '블랙 로맨스 클럽'을 이해시키기 위한 첨부된 페이지를 보니 '기존의 로맨스 소설의 공식을 깨는 개성 넘치는 작품들을 엄선, 시대를 초월한 재미를 추구하는 작품만을 선정한 기대할 수있는 모든 이야기에 로맨스라는 양념이 덧붙여진 종합 선물 세트와 같은 다양한 소설의 색다른 재미'를 담은 장르라고 한다.

 

그래서, 표지도 로맨스 소설로 대표되는 다채로운 색상을 뒤집어 개성넘치는 로맨스 소설을 담고자 하는 출판사의 마음을 담은 '블랙'으로!!

독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재미를 충족시켜 준다면이야 블랙도 상관없고 화이트도 상관없지만, 야심차게 선보인 블랙 로맨스 클럽의 시리즈가 어떤 책으로 이어질지는 사뭇 기대가 크다.

'종합 선물 세트'라고 했으니..분명 다양한 장르가 책 한 권에 공존한다는 얘기인데 부디 블랙 로맨스의 새 지평을 여는 출판사로 거듭나기를 바래본다. 출판사만 믿고 책을 택해도 후회하지 않는 선택이 된다는 건 독자로서도 고마운 일이니까!!

 

우리가 살아가야할 미래 세계의 삶이 어린 사람에게나 나이든 사람에게나 모두 축복이 될 수있는 그런 세상이었음 좋겠다. 유토피아가 멀어진다고 해서 디스토피아를 가까이 할 순 없으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