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임페리움 -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4-4 ㅣ 로마사 트릴로지 1
로버트 해리스 지음, 조영학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모든 시대의 역사가가 '지금이 과도기다' 라고 말한다!!
현대에는 물론이고 제국주의 시대를 건너 고대 그리스 역사학자들까지 이런 정의를 내렸다는 기록이 있는 걸 보면 언제나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현재는 혼란스럽고 골치아프고 나은 내일을 향한 과정이라고 생각했던것 같다.
어느 시대나 문제를 안고 있기는 마찬가지 였고 그 문제를 해결하고 뛰어넘어가는 과정을 통해 역사는 발전하고 다음 세대의 사람들에게 교훈을 남기며 오늘에 이르렀음을 다시 생각할 수있다.
The No.1 Bestselling Author 로버트 해리스의 임페리움!!
책장에 적힌 금빛 명함만큼이나 표지도 내용도 묵직하게 다가 온 소설이다.
'명불허전'은 책을 덮으면서 느낀 한 줄 소감.
논픽션과 팩션의 차이를 사실과 허구로 금을 딱 그어 말하기엔 애매한 경계가 있어 (개콘의 애정남에게 정확한 경계를 물어보고 픈 생각이 든다.^^)정확한 세계적 지식과 역사관이 서 있지않은 나에겐 혼동되기는 마찬가지지만, 픽션에선 느낄 수 없는 재미와 스릴이 팩션에는 있다는 것이다.
경험으로 말하면, 팩션으로 시작된 관심 역사 공부 초석된다..쯤 되겠다.
모든 길이 로마로 통하던 시절부터 아니 신화의 시대까지 올라가 다시 현대에 이른 지금까지 로마는 많은 분야의 관심이자 배경이 되었고 여전한 창작의 모태다.
<임페리움>역시 로마 건국이후 675년이 되던 해 만난 훗날 로마사의 집정관으로 남을 아직은 미미한 존재 키케로와 노예 티로의 만남으로 시작된다. 키케로의 노예인 '티로'의 입을 통해 회고되어지는 키케로의 일대기는 격랑과 파란의 정쟁을 헤쳐나가 고화정의 최연소 집정관으로 자리하기까지의 과정을 담았다.
키케로의 웅변이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고 선동해 유명한 '베레스의 재판'을 승리로 이끄면서 그의 입(?)의 힘이 필요한 세력들로 부터 관심을 받으며 정치적 입지를 굳히는 계기가 된다.
권력의 힘을 과시하며 은근한 압력을 행사하는 보이지 않는 암투들이 이천년이 지난 요즘의 정치판과 다를게 없고, 키케로의 화려한 언변의 변호는 법정 드라마를 방불케하는 스릴과 재미는 책읽는 동안의 행복이었다.
키케로 이 양반 당시로선 닥공을 실천한 '시대의 입'이 틀림없었겠는걸..하는 생각과 함께 칼보다 펜이 강하다고는 하지만 시대를 이끌어 가는 건 문장가 보다는 웅변가였다는 사실을 다시금 확인하는 대목이기도 했다.

키케로는 타로의 회상처럼 비쩍 마른 체구에 새우등, 볼품없는 외모에 허약체질로 청중을 휘어잡는 웅변을 하기엔 턱없이 부족한 시쳇말로 찌질한 인물이었다. 이런 키케로가 노예 티로의 도움을 받아( 티로, 혹 자기 자랑을 위한 회고?^^;) 청중들에게 어필되는 웅변가(변호사)의 모습은 어떤 것인지, 정적을 물리치기 위한 술수와 때론 연극과 배신도 서슴치 않아야 한다는 것을 배운다. 특히, 키케로와 타렌티아의 결혼은 모종의 정략결혼으로 비취기도 하는데, 아내를 지배하는데 비하면 로마 정복은 애들 놀이(P.66)라는 세르비우스의 말에서 남자들 권력의사각지대인 아내들의 힘은 양날의 검처럼 묘사되어 읽는 재미를 배가 시켰다.
남자들 머리속엔 모험심 강한 사냥꾼이 살고 여자의 머리 속엔 경계심 강한 탐정이 살고있다는 말을 확인시켜 주는 부부관계였다.
키케로가 아무리 화려한 언변술을 가지고 있었던 들, 그 말에 진정성이 없고 정의를 위한 의지가 없었다면 그는 수많은 로마인 중 한사람으로 잊혀진 채 살아갔을 것이다.
권력이라는 욕망이자 이겨내야 할 힘에 대항해 싸울 때 '누구를 위한 싸움인가"를 잊지 않은 것이 키케로를 키케로로 각인시킬 수 있었던 가장 큰 힘이 아니었나 생각케 된다.
로마에 대해 알고 있는 건 그리스. 로마 신화 뿐인 나에게 사람 이름도 배경도 정치적인 용어도 쉽지 않은 소설이어서 처음 100페이지까진 장님 코끼리 만지는 것 처럼 궁둥인지 배인지 몰라 헤매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조각들이 이어져 그림이 완성되는 마지막에 가서는 야생의 덩치 큰 코끼리를 조련해 등 위에 타고 있는 듯한 뿌듯함이 느껴진 소설이었다. 이어질 <루스트룸>은 코끼리 위에 앉아서 읽는 즐거움이 추가 될 듯 싶다.^^
당리당락과 조삼모사로 말의 힘과 신용을 모두 잃고 있는 이 시대의 정치인들이 한 번 쯤 읽어봐야 할 소설이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