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엄 2 - 하 - 휘발유통과 성냥을 꿈꾼 소녀 밀레니엄 (아르테) 2
스티그 라르손 지음, 임호경 옮김 / 아르테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재미있는 책을 읽는 것은 참 즐거운 일이다.

혼자 낄낄거릴수도 있고, 주인공의 행동을 상상하며 나를 접목 시킬 수도 있으니 말이다.

밀레니엄, 이 책은 내가 최근에 읽은 책 중에 가장 재밌게 읽은책이다.

 재미에도  갈래가 있다면 이건 깔깔거리는 재미가 아니라, 무거우면서도 무섭게 빨려들어가는 흡인력의 재미다.

 

1권에서 보여준 리스베트 살란데르의 가공할 만한 능력과 시니컬한 매력은 2권에서는 그녀의 화려한(?) 이력으로

그 범위를 넓혀간다.

왜 그녀가 스스로가 인정하는  사회적 장애아가 되어야 했는지,

사람들의 관계 속에서 변이적 성격을 보이며 살아야 했는지를 이해하게 된다.

그녀 속으로 한 걸음 들어가 그녀를  보듬고 토닥여 주고 싶어진다.

 

밀레니엄사와 다그 스벤손과 미아 베리만이  매춘에 관한 고발 프로젝트를 펴내려 하던 중

다그와 미아가 살해 당하고 현장에는 리스베트의 지문이 묻은 권총이 발견된다.

증거물로 인해 용의자의 선상에 오른 리스베트는 온갖 억측이 난무하는 가운데, 숨어서 일의 중심으로 접근해 간다.

1권에서 호기심만 남겨 놓고 끝난 미카엘과의 인연도 다시 이어져 리스베트의 결백을 옹호한다.

그러는 중에 알아가는 리스베트 어린시절의 참담한 경험들과 사건과 관련된 새로운 인물들과 사실들..

 

1권을 보지 않고 2권부터 본 사람아라면, 익숙치 않은 스웨덴의 지명과 나오는 이름들의 생소함과 방대함에 질려

쉬~ 재미를 느낄수 없을지 모른다.

그리고, 작가의 스타일이 여러가지 다양한 문제를 제기하고 복선을 깔아 놓은 뒤에 전광석화처럼 몰아쳐 이야기의

흐름을 매듭짓는 스타일이라 중간부분을 이겨내지 못하면 밀레니엄에 열광하는 독자를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다.

(부분부분 사건과 인물의 이해를 돕기 위한 보충 설명들이 있긴 하지만, 오롯이 인물을 파악하기엔 충분하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다루어지는 리스베트의 성장환경과 분명 정상은 아닌 가족들..

그 속에서 사회적 장애아로 남게 된 리스베트 개인적인 이야기만을 떼어다 읽는다 해도, 밀레니엄 시리즈의 독자가 되기에

충분하다고  여긴다.

 

리스베트와 그녀의 성장환경,

그녀를 평가하는 힘(?)을 가진 집단들,

진실이 호도된 맹목적인 시선들,

그 속에서도 꿋꿋이 자기 할 일을 향해 혼자 싸우는 리스베트..

어쩌면 세상을 바꾸는 힘은 오래된 유지된 권력의 무리들이 아니라, 아픔을 이겨내고자 애쓰는 개인적인 분노가

더 빠르다는 것을 작가는 리스베트를 통하여 넌지시 가르쳐 주는 것같다.

 

폭력에 대항하는 것이 폭력이어서는 안된다고,

냉대와 질시 속에서도 진심은 통하는 것이라고,

죄를 짓고 사는 악의 무리들은 벌을 받게 마련이라고..

 

우리가 흔히 믿고 있는 진리 리스베트는 믿지 않는다.

그저 이에는 이, 눈에는 눈으로 맞설 뿐!!

각 장마다 연결되는 수학의 방정식, 그리고 페르마의 정리.

머리 아픈 방정식을 킥, 웃으며 알아차린 그녀에겐.. 골치아픈 방정식이 자신이 살아가는 방식보다는

훨씬 쉽게 느껴졌다는 반어적 표현으로 나는 읽었다.

 

책의 긴장과 이완의 연결시키며 사람을 흡인하는데는  리스베트의 이런 매력들이  톡톡한 역할을 한다.

 

말괄량이 삐삐를 사랑한다는 작가의, 군데군데 심어놓은 까메오들을 보고 웃을 수있는 건 보너스다.^^

아직 끝나지 않은 싸움의 향방이 어떻게 흘러갈지, 마무리가 어떻게 될지..

리스베트와 미미, 리스베트와 미카엘의 이어지는 이야기를 얼른 만나고 싶어 또 좀이 쑤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