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드 톰 높이나는 새 문학선 4
샐리 프루 지음, 이영 옮김, 이지선 그림 / 높이나는새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차갑고 푸른색깔의 요정 톰.

같은 종족에게서 쫒겨나고 위협을 당하는 톰.

모습이 같을지라도 본질이 다르면 융화가 힘들다는 것을 톰은 아직 모르고있다.

왜 자신이 종족들이 말하듯이 고슴도치처럼 눈도 귀도 멀고 쉰 목소리에 조심성이 없는지.

 

요정이라고 하면 날개 한쌍 쯤은 으례 달고 나타나려니 했다.

비단같은 날개가 아니래도 작고 귀여우리라..당연한 듯 생각하고 있었지만,

날카로운 송곳니로 날고기를 씹어먹는 요정이라니!!

보잘것 없는 외소한 몸에 작살로 종족을 찌르는 잔인함, 낳은 자식이라도 도움이 안되면

과감히 없애버릴 계획을 세우는 부모.

상상했던 세계와는 너무 다른 요정들의 이야기로 시작되는 책은 의외라서 더 끌렸다.

 

종족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으면서도 어딘가 조금씩 다른 톰이 소외와 위협을 견디다 못해

요정들이 말하는 악마 (인간)의 마을을 선택한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었다.

종족에게서 도망치다 다친 몸을 피하기 위해 잠시 숨은 악마의 헛간에서 만난 애나에게서

들은 가족이나 엄마, 오빠 같은 얘기들은 위장이 꼬이는 것 같은 불쾌감을 느낀다.

서로 걱정할 일없고 혼자 살아가야하는 요정이 보기에는 그런 단어들은  서로를 얽어매는

노예밧줄 일 뿐이기 때문이다.

 

인간이 서로 사랑하고 염려하는 마음이 노예밧줄??

톰의 눈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감정이었으나, 이 말이 주는 느낌은 생소하면서도 싫지 않다.

'넌 내 노예밧줄에 묶였어. 우린 이 밧줄이 풀리는 날까지 서로를 위해 살아야해!!' 이런 느낌이 들어서.^^

 

애니의 이복오빠인 조까지 톰의 존재를 알게 되면서 톰은 점점 더 악마의 세계에서 벗어나기가 힘들어지고,

 별에게 기도해서 몸을 사라지게 하는 능력까지 점점 잃게된다.

톰은 자신의 몸이 변해간다는 것을 느끼고 있지만, 왜 그런지는 모른체 조의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해

모험을 강행하다  헛간은 불타고 톰은 튕겨져나가 악마들의 중심에 노출되고 만다.

 

톰의 눈으로 보는 인간의 세상은 그다지 아름다워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톰도 서서히 노예사슬에 묶이고 있는 자신을 어쩔수 없이 느끼고 애나의 할머니에게서

새로운 사실을 듣게 된 후, 자신이 왜 종족들에게 융화 될수 없었는지를 깨닫는다.

 

스코틀랜드의 인간과 요정의 사랑을 노래한 민요에다 상상력을 가미해 쓰여졌다는 이 책은

요정이었다가 인간의 삶으로 천천히 걸어들어오는 톰을 보며, 우리가 늘 동경했던 요정의 세계가

어쩌면 인간의 삶보다 더 거칠고 험난할 수도 있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알게한다.

 

인간과 요정의 관계를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한 신선함이 묻어있어 읽는 내내 즐거웠다.

기존의 이야기들이 인간의 눈으로 보는 요정 세계의 동경이라면,

이 책은 요정들 눈으로 보는 구속하고 묶이길 좋아하는 이상한 인간들 나라다.

아이들에게 함께 요정의 눈으로 우리가 사는 모습을 들여다 보게 하는 특별한 경험과

이야기의 재미에 푹 빠지게 하는 기회가 되리라 믿는다.

 

별의 힘을 빌릴 수있는 요정들의  환타지와 악마로 그려진 인간이 가진 따뜻한 마음이

잘 버무려진 달콤하고 맛있는 책, 아이들에게 당장 손에 쥐어 주고 싶은 흥미로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