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주의자 선언 - 판사 문유석의 일상유감
문유석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모임이 아니었다면, 읽기까지 꽤 시간이 걸렸을 책이었다. 내내 관심이 가던 책이었지만 나의 편견때문에 쉽사리 시작하질 못했었다. 하지만 1챕터를 지나고나서는, 그 생각을 가졌던 내가 어찌나 부끄러웠는지 모른다.

<판사유감>의 저자로 나에겐 더 익숙한 문유석 판사의 책이며, 법률적인 용어가 나오긴 하지만 마치 법률회사에 다니는 동네 오빠, 삼촌이 이야기해주듯이 전혀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풀어냈다. 무엇보다 개인주의자라는 개념도 '합리적' 개인주의자로써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 했으니, 나의 편견을 철저하게 깨부순 책이었다는 결론을 조심스레 내본다.

이 복잡하고 급변하는 다층적 갈등구조의 현대 사회에서는 특정 집단이 당신을 영원히 보호해주지 않는다. 다양한 이해관계에 따라 합리적으로 판단하여 전략적으로 연대하고, 타협해야 한다. 그 주체는 바로 당신, 개인이다. 개인이 먼저 주체로 서야 타인과의 경계를 인식하여 이를 존중할 수 있고, 책임질 한계가 명확해지며, 집단 논리에 휘둘리지 않고 자기에게 최선인 전략을 사고할 수 있다.

개인이 먼저 서야한다는 것이다. 휘둘리지 않게 견고하게.
이 부분 뒤에 오는 아래 글이 더 와 닿을지도 모르겠다.

현대의 합리적 개인은 자신의 비합리성까지도 자각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런 합리적 태도가 뒷받침되지 않은 개인주의는 각자도생의 이기주의로 전락하여 결국 자기 자신의 이익마저 저해할 뿐이다. 자기 이익을 지속적으로 지키기 위해서라도 양보하고 타협해야 함을 깨닫는 것이 합리성이다. 이와 동전의 양면처럼, 양보하고 타협하지 않는 개인의 이익이 지속가능하지 못하도록 '반대 인센티브(불이익)'를 적절히 제공하는 것이 사회의 합리성이기도 하다.

합리적 개인이라니. 합리적이지 못하다면 그저 이기적인 개인주의자가 될 뿐이라는 것이다. 공공의 이익을 위해서가 아닌 자기 이익을 지키기 위한 합리적인 개인주의를 지키기위해서라도 양보하고 타협해야만 한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개인과 다수의 극단적인 결정만을 놓고 생각해오던 것에서, 이런 합리성에 아이러니하단 생각이 먼저 드는건 어쩔수가 없었다. 물론 마지막까지 덮고 나서야 이 말이 판사 문유석이 말하는, 지금 우리들에게 필요한 합리적인 개인주의겠다 싶었다.

합리적 개인주의는 공동체에 대한 배려, 사회적 연대와 공존한다. 자신의 자유를 존중받으려면 타인의 자유도 존중해야 하기 때문이다. 톨레랑스, 즉 차이에 대한 용인, 소수자 보호, 다양성의 존중은 보다 많은 개인들이 주눅들지 않고 행복할 수 있게 하는 힘이다.

이 말은 좀 더 와닿았다. 자신의 자유를 존중받기 위해서는 타인의 자유도 존중해야한다는 일종의 암묵적인 약속과도 같은 말.

총 3부로 나눈 이 책속에서, 나의 고집스런 편견을 잠재운 부분이 위에 나온 1부였고, '만국의 개인주의자여, 싫은 건 싫다고 말하라'라는 제목으로 여러 이야기를 풀어냈다. 문유석 판사님의 담담하게 말하는 자신의 주변 이야기, 자신의 생각들, 가끔 너무 솔직해서 간지러운 곳을 긁어내듯이 마무리하는 각 챕터들의 이야기가 그를 더 인간적으로 느껴지게 만들기도 했다.

2부는 '타인의 발견' 이라는 이름으로 법관으로써 많은 이들을 만나왔기에 더 절절히 가슴 매이게 하는 상황들도 만났는데, 그 이야기들을 풀어냈다. 동시에 우리 이웃들이나 마찬가지인 그들이 어떻게 해서 법정에 서는지, 또 어떻게 해서 조정을 거쳐가는지를 말한다. 결국, 여기서 연결되는 것은 법도 아니고 약속도 아니고 '사람'이고 '인정', '정'이다.

3부는 '세상의 불편한 진실과 마주하기' 라는 타이틀로, 여러 나라의 겉으로 보이는 모습과 또 다른 속 모습들을 그려냈다. 진실은 불편한 법이다. 우리가 로망으로 생각하는 북유럽, 미국등의 선진국이라 불리는 나라들. 우리가 결국 따라가고자 하는 모델 사회에 대한 생각들. 읽으면서 정말, 불편하긴 하더라. 내가 너무 무지했다고.

유토피아는 믿지 않는다. 다만 확실한 것은 뿔뿔이 흩어진 개인으로 살아가면서 시대의 흐름을 보지 못하고 가만히만 있다보면, 상상보다 훨씬 나빠질 여지는 얼마든지 있다는 것이다. 미래를 스스로 공동 구매하지 않으면 강제 배급받게 될 테니 말이다.

어쩌면 사회, 미래에 대해서 너무 방관적인 태도로 일관되게 살아온 내가 아니었던가. 얼굴이 화끈거릴 정도로 겁이 많았나싶다.

팔짱 낀 채 '한계' '본질' '구조적인 문제' 운운 거창한 얘기만 하며 아무 행동도 하지 않는 것이야말로 아무나 할 수 있는 거라고 생각한다. 진짜 용감한 자는 자기 한계 안에서 현상이라도 일부 바꾸기 위해 자그마한 시도라도 해보는 사람이다. 어떤 통속적인 미국 드라마를 보다가 아래 대사를 듣고 그 통찰력의 깊이에 놀란 일이 있다.

냉소적으로 구는 건 누구나 할 수 있어
Anyone can be cynical
담대하게 낙관주의자가 되라구
Dare to be an optimis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