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과자
이시이 무쓰미 지음, 구라하시 레이 그림, 고향옥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잘 가렴. 너는 또 누구를 행복하게 해 주려나."

--"내가요? 내가 누군가를 행복하게 해 주는 거예요?"

'왕의 과자'라는 이름이 붙은 파이는 프랑스의 전통 과자라고 한다. 처음 주현절을 축하하며 먹던 파이를 이제는 1월의 어느 날이어도 한자리에 가족들이 모여 앉아 먹는다고 한다. 가족이 좋아하는 파이로 그 해의 새로운 날이 시작됨을 축하하는 의미를 덧붙이며 지금까지도 파이를 먹는다고 한다. 파이 안에는 조그만 도자기 인형이 들어가게 되는데 이걸 페브라고 부르고 이 페브가 들어간 조각을 먹는 이가 종이 왕관을 쓰고 하루 동안 왕 혹은 왕비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1년 동안의 행복을 약속받는 것이고 함께 하는 이들은 그의 행복을 빌어 주며 동시에 서로의 행복을 함께 빌어주는 소박하지만 소중한 의식이 이 파이를 사이에 두고 이뤄지는 것이다.

제빵사는 페브를 파이에 넣으며 이 조그만 여자아이 페브가 또 누군가를 행복하게 해줄지 기분 좋은 희망을 품는다. 밀리라는 이름이 붙은 페브역시 누군가를 행복하게 해 줄 수 있냐며 희망을 품는다.

한 가족의 새해에서 함께하는 식사 자리에 이 파이는 오르고, 아빠와 엄마와 잠시 떨어져 있게 된 사랑스러운 여자아이도 함께 자리하게 된다. 밀리는 내심 이 여자아이가 자신을 뽑아주기를 바라는 마음을 내비친다.

누가 밀리를 뽑게 될까요?


읽는 내내 서정적인 글과 구라하시 레이의 섬세하지만 부드러운 그림에 감정이 녹아드는 느낌이었다. 시린 추위보다 서로 배려하고 다정한 마음을 전하는 이들의 모습이 가장 따뜻한 공간에 녹아드는 것 같았다. 실제로 자신의 집에서도 설날에 가족과 친구들이 모여 이 '왕의 과자'를 먹는다는 작가는 이렇게 이야기하며 작가의 말을 전하고 있다.

'"당첨!"이라는 소리를 들었을 때는 무척이나 즐거워지고요. 누군가가 기뻐하는 얼굴을 보는 것도, 그 사람의 행복을 빌어 주는 것도 행복한 일이기 때문이겠지요.'

작가의 시선에서 내어주는 이야기는 파이를 사 가는 여성의 모습, 순진하게 페브를 자신이 찾아내고 싶다며 티격태격하는 두 형제의 모습, 자신의 새 날의 행복을 기다리고 있었을 조용하고 사랑스러운 소녀의 모습까지 다정하게 감싸고 있다. 서로를 향한 배려와 행복을 빌어주는 마음들이 이 책을 읽는 모든 이들에게 전해져서 다가오는 새해에는 서로에게 따뜻한 응원을 보내는 마음이 더 많이 보태질 수 있으면 좋을 거라고 생각한다.

이 책의 이야기는 풍요로움 속에서 사는 지금의 아이들에게는 낯선 모습으로 다가올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빈곤함 속에서 '희망'하고 '소원'하는 것들이 간절함을 품고 소중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아는 나로서는 이런 이야기들이 세상에 많이 나오면 좋겠다는 바람을 조심히 품어 본다. 다른 나라의 문화이지만 그래도 역시 '인간애'를 느낄 수 있는 이런 이야기는 어떤 나라, 시대, 세대를 구분하지 않고 지속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함께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푸른 사자 와니니 창비아동문고 280
이현 지음, 오윤화 그림 / 창비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와니니는 사냥보다 세상 구경에 마음이 끌렸다. 눈에 보이는 모든 것들이 신기했다.

이렇게 큰 강이 있는 초원까지 나와 본 것은 난생처음이었다. 폭이 넓고 물이 깊은 강이 초원을 가로지르고 있었다. 그런 강이 네 개나 흐르고 있어서 '네 개의 강이 있는 초원'이라고 불리는 곳이었다.

황톳빛 물결이 넘실거리는 강을 따라 여러 가지 아카시아 나무들이 무성한 숲을 이루었고, 지평선까지 푸른 풀밭이 펼쳐져 있었다. 건기에도 강물이 마르지 않아 언제나 풀이 무성하게 자라는 초원이었다. 풀을 뜯는 동물들의 발길도 끊이지 않았다.

<푸른 사자 와니니> 10p

암사자 와니니의 어린 시절, 마디바의 무리에서 지내던 순간부터 무리에서 쫓겨나 홀로 지내며 견뎌내야 했던 시간들을 고스란히 그려내고 있다. 오해를 받고 쫓겨나고 사냥도 제대로 배우지 못한 어린 암사자 와니니는 온갖 동물들의 조롱과 멸시를 견뎌내야 했다. 수사자 아산테와 잠보를 만나고 그들과 합류하게 되고 역시 그녀처럼 상처 입었기에 무리에서 쫓겨난 말라이카를 만나 네 마리의 사자들은 함께 길을 나선다. 건기에 살아남기 위해서 말입니다. 이들은 이제 '와니니들'이라는 이름으로 서로를 지지하는 존재로 함께 한다. 그리고 무리의 우두머리였던 암사자 마디바를 향한 존경심이 더 이상 유지되지 않게 되는 것은 와니니에게는 또 다른 성장의 증거로 남는다.

그렇게 사냥보다 세상 구경을 더 좋아했고 다른 사자들보다 유난히 귀가 잘 들렸던 와니니는 그만큼 세심하게 여느 동족보다 더 강한 암사자로 자라고 있다.

어둠이 내리기 시작했다.

사자의 시간이 다가왔다. 잠보와 말라이카의 발소리가 빠르게 가까워졌다. 와니니의 사자들이 와니니에게로 달려오고 있었다.

와니니는 큰 소리로 포효했다.

크하하항! 크하하하항! 크하하하하항!

그것은 왕의 목소리였다. 위대한 왕의 탄생을 알리는 커다란 포효 소리가 온 초원을 뒤흔들었다.

<푸른 사자 와니니> 211p

이 책에서 많이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사자들의 언어였다. 그저 울음소리이지만, 그것은 다시 한번 더 '포효'라는 단어로 그들의 감정을 더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본성과 그들의 의지는 서로 상반되는 언어일지 모르지만 그렇기에 더 큰 인상을 남기게 되는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끝에는 '그들다운' 모습으로 향하게 한다.

어리고 약한 암사자였던 와니니가 '와니니답게' 살아낼 수 있는 의미를 발견해가는 길이 크게 와닿는 것이 곧 이 이야기가 의미 있는 이유일 거다. '와니니들'을 이끌 수 있게 하는 것은 혼자가 아닌 '여럿'이기에 의미가 있다는 것, 그 '여럿'안에 각자의 고유한 존재도 절대 사라지면 안 된다는 것도 너무나 중요한 의미로 다가온다.

이 책을 통해 혼자를 넘어서 여럿이 함께 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 그 안에서 자신과 각자의 고유의 모습을 지켜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