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리다의 글소리
살아감이란 언제나 "함께 살아감"이다.
(Living is always "living together.")

연민은 "함께 살아감의 근원적 방식(Compassion a fundamental mode of "living together.") 

나는 애도한다, 고로 존재한다.
(I mourn, therefore I am.)3

살아남음-그것은 애도의 다른 이름이다.
(Surviving—that is the other name of a mourning.)4

매번 ... 죽음은 세계의 종국이다.
(each time..., death is nothing less than the end of the world.)5

무관심 또는 수동성은 ‘인류에 대한 범죄‘의 시작이다.
(Indifference or passivity is the beginning of a crime against humanity. - P266

또한 이 ‘함께‘에는 살아있는 타자만 포함되는 것이 아니다. 나 자신과 함께 살아감, 죽은 자들과 함께 살아감의 문제도 중요하다. 한인간이란 단순한 결을 지니지 않는다. 자신 속에 상충하는 다양한 모습의 ‘나‘가 있다. 데리다가 "나는 나와 하나가 아니다"라고 하면서 한사람 속에 여러 ‘나‘가 있음을 강조하는 이유다. 그 다양항 ‘나‘들과 ‘함께- 잘 - 살아감‘ 의 의미는 무엇인가. 어쩌면 이 물음은 한 사람의 삶에서 지속적으로 성찰해야 하는 심오한 주제라고 할 수 있다. - P280

구제 (charity)는 고통과 어려움의 정황이 ‘왜‘ 일어나는가를 묻지 않는다. 그러나 연민은 그 ‘왜‘를 묻는다는 점에서 정의(justice)에 관한 것이다. 구제와 정의의 결정적인 차이다.
셋째, 연민은 ‘함께 살아감‘의 과제와 책임의식으로 작동된다. 나의 삶이 너의 삶과 분리될 수 없기 때문이다.
넷째, 연민은 인간됨의 실천과 확인을 하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무관심은 ‘인류에 대한 범죄‘의 시작"이라는 데리다의 말은 의미심장하다. 
다섯째, 데리다의 말처럼 연민이란 결국 ‘함께 살아감의 근원적인 존재방식이다. - P2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난민들은 숫자가 아닙니다. 그들은 얼굴을 지니고, 이름들이있고, 삶의 이야기들이 있는 사람들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인간으로대우받아야만 합니다.  - P27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년 전 학교 도서관 사서샘에게 추천 받은 책을 이제야 읽었다. 그 때 읽고 같이 이야기를 나눴다면 더 좋았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이런 좋은 책을 추천했던 샘에게 또 좋은 책을 추천받고 싶다. 심시선과 그의 가족들이 계속 마음에 남는다. 전형적인 여성 캐릭터로 살지 않았던 심시선 덕에 그의 딸들은 편견과 맞서 싸울 힘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화수처럼 한국의 혐오의 따가움을 온몸으로 받아내는 사람도 있고 명혜와 경아처럼 이 따가운 세계에서 버텨주는 여성도 있다. 헌신적인 엄마가 되지 않은 나에 대한 스스로의 낮은 평가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기도 하고 아들을 키우는 엄마로서 심시선처럼 아들에게 몸을 낮추어야 한다는 걸 가르쳐야 한다는 걸 깨닫게 된다.

거의 곰만하게 커다랗고 복슬복슬한 개가 조그만 요크셔테리어가 오는 걸 보더니 한 이십 미터 앞에서부터 납작 엎드꼬리를 살랑살랑하며 기다리더라고. 인사하고 싶은데 자기 덩치에 요크셔테리어가 겁먹을까봐 미리 몸을 낮춘 거지. 엄마가 그장면에 감탄하면서 나한테 그런 남자가 되어야 한다고 그랬어." - P317

"할머니 덕에 중산층이 몰락하는 시대에 몰락하지 않을 수 있었죠. 행운이란 걸 알아요. 그래도 요즘 여자들이 아이를 낳지 않는 걸 모조리 경제적인 이유로 설명할 수는 없어요. 공기가 따가워서 낳지 못하는 거야. 자기가 당했던 일을 자기 자식이 당하는걸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견딜 수가 없어서 혼자서는 지켜줄 수없다는 걸 아니까. 한국은 공기가 따가워요." - P322

만약 혹독한 지난 세기를 누볐던 여성 예술가가 죽지 않고 끈질기게 살아남아 일가를 이루었다면 어땠을지 상상해보고싶었다. 쉽지 않았을 해피엔딩을 말이다. 또 예술계 내 권력의 작동방식에 대한 소설이기도 하다. - P33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을 얼마나 사랑해야 하는지 여전히 감이 오지 않았다. 일들사랑하는 마음이야말로 길들여지지 않는 괴물 늑대와 같아서차하면 이빨을 드러내고 주인을 물 것이었다. 몸을 아프게 하고인생을 망칠 것이었다. 그렇다고 일을 조금만 사랑하자니, 유순하게 길들여진 작은 것만 골라 키우라는 것 같아 자존심이 상했다. 소소한 행복에서 의미를 찾자, 바깥의 평가보다 내면이 충실한 삶을 택하자는 요즘의 경향에 남녀 중 어느 쪽이 더 동의하는지 궁금했다. 내면이 충실한 삶은 분명 중요한데, 그것이 여성에게서 세속의 성취를 빼앗아가려는 책략은 아닌지 의심스러웠다.
그런데 성취를 하려니 생활이 망가지고, 일만 하다가 죽을 것 같고…… - P248

남매를 낳은 걸 후회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가벼운 삶이 무엇에든 집중할 수 있는 여유가. 경아는 집중력도 기억력도 다른 온갖수행 능력도 사실 산산조각난 채 십수 년을 살아왔다.ㅑ - P263

.진짜 희망이 나타나기 전의 대타 같은 희망 말이다. 레드오션 업계에서 무난한 자질을 가지고도 오래 견디는 여자가 있다는걸 보여주면 뒤따라오는 사람들도 힘을 얻겠지 싶어서. - P264

전시회 전에 큰 작품들을 몇 점, 늦지 않게 할 수 있었고 그때이후로도 종종 점검합니다. 내가 나 자신을 작은 틀에 가두고 있지는 않나? 부엌 뒷방에 방치해두고 있지는 않나? 그림이 마음에들지 않을 때에도 점검합니다. 이걸 네 배, 다섯 배, 열 배 크기로그리면 달라 보일까?
"여자도 남의 눈치 보지 말고 큰 거 해야 해요. 좁으면 남들 보고 비키라지 공간을 크게 크게 쓰고 누가 뭐라든 해결하는 건 남들한테 맡겨버려요. 문제 해결이 직업인 사람들이 따로 있잖습니까? 뻔뻔스럽게 배려해주지 말고 일을 키우세요. 아주 좋다. 좋아. 좋을 줄 알았어요."
전시회에서 그렇게 흡족해하시던 심시선 선생이 가끔 뵙고 싶습니다.
- 그때 나를 구한 한마디』, - P2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원히 그 정수에 가 닿을 수 없을 것 같아 슬퍼졌지만 그 슬픔이야말로 여행의 본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호감을 가지고 있지만 연결되지 못할 거라는 깨달음 말이다. - P2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