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 의사가 경고하는 눈 건강에 치명적인 습관 39가지 - 시력 저하, 녹내장, 백내장, 노안까지 예방하는 방법
히라마쓰 루이 지음, 황성혁 옮김 / 인라우드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고 바로 내가 사용하고 있는 안약을 확인해 보니 개봉한 지 3달이 지났다. 아깝지만 과감히 버렸다. 또한 저자는 점안할 때 눈에 닿을 정도로 안약 용기를 가까이 대지 말고 최소 1cm 거리를 두라고 조언한다. 내가 고쳐야 할 습관이구나 반성한다.

‘나이가 들면 눈꺼풀이 처지는 증상‘을 당연하게 받아들였는데 한쪽 눈꺼풀만 단기간에 처진다거나 눈을 뜨려고 해도 제대로 뜨지 못하는 느낌이 들면 ‘안구 운동 신경‘에 장애가 생겼을 수도 있다는 경고는 내가 알고 있던 상식을 뒤엎는다. 좀 더 내 눈의 상태를 신경 써야겠구나 생각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제는 고흐가 당신 얘기를 하더라 - 마음이 그림과 만날 때 감상은 대화가 된다
이주헌 지음 / 쌤앤파커스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개된 100여 점은 각각 다른 나라의 다른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주헌 도슨트의 작품 설명으로 그 작품 앞에 서있는 기분이 들어 현장에 없는 아쉬움이 그리 크지 않다. 그래도 언젠가 함부르크 미술관에 가서 카스파르 프리드리히의 < 안개 바다의 방랑자>를 볼 수 있기를. 아니 그의 <겨울풍경>을 보러 런던 내셔널 갤러리에 가기를 희망해 본다. 나의 상황을 겸허히 받아들이게 하는 그의 작품으로 지금의 나를 되돌아보게 하는 힘을 그림에서 발견하게 해주어 <어제는 고흐가 당신 얘기를 하더라> 이 책에 감사하다. 내게 < 오늘은 프리드리히가 내게 위안을 주더라>로 읽힌 이 책이 내일은 어떤 제목으로 작품이 내게 말을 걸지 사뭇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제는 고흐가 당신 얘기를 하더라 - 마음이 그림과 만날 때 감상은 대화가 된다
이주헌 지음 / 쌤앤파커스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대를 위한 창조의 미술관>과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인 <이주헌의 미술 세상>으로 나를 미술의 세계로 안내해 준 이주헌 미술평론가의 신간이 나왔다. < 어제는 고흐가 당신 얘기를 하더라> 제목이 예술이다.



이주헌 미술평론가는 미술에 관한 깊이 있는 분석과 해석과 미술과 문학을 결합한 독창적인 시각으로 이 책에서 100여 개의 작품을 소개하며 아트 스토리텔러의 지평을 넓힌다.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에는 소제목이 5개씩 있다. 그러나 첫 장부터 읽을 필요는 없다. 시대와 국경을 초월한 100여 개의 작품들이 사랑, 가족, 고독, 죽음, 희망이란 이름으로 살아움직인다. 화가의 생애나 작품이 탄생된 배경이 그 시대의 역사적 배경과 사회적 문화와 어우러져 각 작품마다 그 시대의 인간상과 풍경을 상상할 수 있다.

'낯설지 않아 더욱 슬픈 사랑의 결말'의 소제목에는 그리스신화의 님프들이 총출동한다.

물(담수)의 딤프인 에우리디케, 바다의 딤프인 갈라테이아 그리고 산의 님프인 에코가 주인공인 작품들을 보여주며 님프들의 이름보다 더 생소한 이름의 화가 장 바티스트 카미유 코로, 미셸 마르탱 드롤링, 알렉상드르 카바넬을 소개한다. 수백 년 전 화가들의 작품을 보면서 '인간의 본성인 사랑과 신화 속 님프들의 사랑에 별 차이가 없음을 느끼게 해준다.



'여행은 돌아오기 위해 떠나는 것'파트에 있는

<망자의 섬>은 스위스 화가 아르놀트 뵈클린의 작품이다. 프로이트의 저서 <꿈의 해석>에서 인용되어 있을 정도로 당대 사람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고 저자는 설명한다. "신을 상실한 이들의 자기 치유 열망에서 비롯된(미국의 역사학자 피터 게이의 글을 인용" 이 그림을 향한 열풍은 그 당시의 1880년대의 사회상을 보여준다. 늘 죽음을 의식하며 공포와 절망을 그림으로 표현한다는 건 삶에 대한 애착이 아닐까. 어둠침침한 그림을 자세히 들여다보며 희망을 더듬거려본다.



소개된 100여 점은 각각 다른 나라의 다른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주헌 도슨트의 작품 설명으로 그 작품 앞에 서있는 기분이 들어 현장에 없는 아쉬움이 그리 크지 않다. 그래도 언젠가 함부르크 미술관에 가서 카스파르 프리드리히의 < 안개 바다의 방랑자>를 볼 수 있기를. 아니 그의 <겨울풍경>을 보러 런던 내셔널 갤러리에 가기를 희망해 본다. 나의 상황을 겸허히 받아들이게 하는 그의 작품으로 지금의 나를 되돌아보게 하는 힘을 그림에서 발견하게 해주어 <어제는 고흐가 당신 얘기를 하더라> 이 책에 감사하다. 내게 < 오늘은 프리드리히가 내게 위안을 주더라>로 읽힌 이 책이 내일은 어떤 제목으로 작품이 내게 말을 걸지 사뭇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의 목적 - 베일리 어게인
W. 브루스 카메론 지음, 이창희 옮김 / 페티앙북스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의 목적>은 환생을 거듭하는 개의 시선으로 묘사되는 사람들의 인생 이야기다.


" <말리와 나> 그리고 <모리와 함께한 일요일> 이 만났다.

- 커커스 리뷰 "


<말리와 나>는 예전에 영화로 보고 <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은 나의 인생 책이기에 < 개의 목적> 책 커버의 이 한 줄 평으로 이 책을 읽기 시작하였다. 한때는 애견인이었지만 지금은 개와 함께하는 삶을 살지 않는 나. 이 책은 과거로의 추억여행을 하게 해주었다. 내 가족이었던 '고미'는 어떤 개로 환생하여 누구의 가족이 되어 그들과 함께할까.



나는 이 책이 영화 < 베일리 어게인>의 원작인 걸 몰랐다. 올해 출간된 이 책은 2014년 출간되었던 < 내 삶의 목적>과 2018년에 출간된 <베일리 어게인>의 개정판이다.

떠돌이 개 엄마에게서 태어난 주인공.

엄마와 형제들과 야생의 삶을 살다가 보호소에 갇히게 된다. 토비란 이름을 얻는다. 토비는 개천지인 보호소에서 좋은 개의 의미를 배운다. 자기를 예뻐해 주었던 보호소 직원을 기쁘게 하는 일이 그의 삶의 목적이었는데 불법 보호소였던 그곳은 폐쇄되고 입양 받지 못한 토비는 안락사로 생애를 마감한다.

" 왜? 왜 나는 다시 강아지가 되었을까? 왜 개로서 내가 '해야 할'일이 있다는 생각이 끊임없이 떠오르는 걸까? 61p "


그의 평생의 반려인인 '에단'을 만나지 못했다면 베일리는 어떻게 되었을까?



에단은 베일리와 함께 놀고, 탐험하며, 서로의 삶을 함께 나눈다. 에단에게 베일리는 단순한 반려견이 아니라 위로하고 힘을 주는 지지대 같은 존재다. 여러 번 환생하면서도 에단과의 시간을 추억하는 베일리. 에단을 향한 그리움과 사랑은 그의 삶의 목적이 된다.


"왜 나는 이번에 엘리가 된 걸까? 개가 한 가지  이상의 목적을 가질 수 있는 걸까?

230p "


베일리는 다시 태어나 경찰견 '엘리'로 환생한다. 사랑과 헌신을 보여주는 엘리는 반려인의 외로움을 덜어주고 삶의 기쁨을 함께 나누며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전생의 삶을 기억하며 여러 생애를 거치며 지금의 시간을 보내는 베일리가 배우는 교훈들은 우리네 삶과도 연결이 된다. 인생은 끝이 없고, 사랑은 계속해서 이어짐을 개의 시선으로 바라보게 한다.


"이 순간 내 마음을 채우는 느낌은 평화였다. 몇 번의 삶을 살아오면서 모든 것이 결국 이 순간을 향한 것이었음을 깨달은 평화.  나는 개의 목적을 달성했다. 413p "


<개의 목적>이란 직설적인 제목이 시사해 주는 바가 상당하다. 단순한 애완동물 이야기 이상의 깊이를 지닌 작품이다.



네 번의 새로운 삶을 살아가면서 베일리가 고민하고 실천하는 사랑과 충성, 삶의 의미는 인간과 동물 간의 관계뿐만이 아니라 지금 나는 어떤 자세로 주변인들을 대하는지 되돌아보게 해준다. 지금 내 삶은 평화로운가? 인생의 <나의 목적>대로 살아가고 있는지 베일리가 내게 묻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의 목적 - 베일리 어게인
W. 브루스 카메론 지음, 이창희 옮김 / 페티앙북스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의 목적>이란 직설적인 제목이 시사해 주는 바가 상당하다. 단순한 애완동물 이야기 이상의 깊이를 지닌 작품이다. 번의 새로운 삶을 살아가면서 베일리가 고민하고 실천하는 사랑과 충성, 삶의 의미는 인간과 동물 간의 관계뿐만이 아니라 지금 나는 어떤 자세로 주변인들을 대하는지 되돌아보게 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