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후회하지마
                    박중훈 지음 / 사유와공감 / 2025년 10월
                    
                  평점 :
                    
                    
                    
                    
                    
                    
                    
                    
                    
                    
                    
                 
                
            
            
            
        
 
        
            
            
            
            
            
            
            

10월신간 책추천 박중훈 에세이 후회하지마 서평 사유와공감 출간
박중훈, 1966년 서울에서 태어나 20살의 나이에 스크린에 데뷔한 이래 40여 편의 영화에 출연하며 대한민국 영화의 한 시대를 이끌어온 배우이자 감독이다. 깜보, 투캅스, 마누라 죽이기, 인정사정 볼 것 없다, 라디오스타 등 수많은 작품 속에서 대중은 그를 ‘유쾌한 배우’, ‘국민배우’로 기억한다. 그러나 그의 첫 에세이 '후회하지 마'는 화려한 무대 뒤, 오롯이 인간 박중훈으로서의 고민과 성찰을 담은 고백록이다. 배우로서, 감독으로서, 한 남편이자 아버지로서, 그리고 이제 인생의 후반부를 맞은 한 사람으로서 자신을 되돌아보며, 그는 반성은 하되 후회는 하지 않는다며 살아왔던 세월을 진솔하게 풀어놓는다.
책을 처음 손에 들었을 때, 가장 먼저 시선을 사로잡은 것은 표지였다. 커다랗게 인쇄된 박중훈의 얼굴, 그 익숙하고 따뜻한 미소 속에 그의 지난 세월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배우로서 수많은 얼굴을 연기해 온 그이지만, 이번 표지의 그는 어떤 배역도 아닌 ‘그냥 박중훈’이었다. 눈가의 잔주름과 선한 웃음에서 세월의 무게와 삶의 흔적이 느껴졌고, 덕분에 이 책은 한결 더 친숙하고 따뜻하게 다가왔다. 마치 오래 알고 지낸 친구가 조용히 자신의 이야기를 건네는 듯한 느낌이었다.
그는 반성은 과거의 잘못으로부터 교훈을 얻고 앞으론 그러지 않겠다는 미래지향적 생각이라면, 후회는 그저 가슴만 치다 마는 과거 집착적 태도라 여겨져 그러지 않으려고 노력하며 지내왔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렇게 대차게 마음먹고 살았는데도 이제 와 생각하니 후회되는 일이 너무 많다고 솔직히 털어놓는다. 이 문장은 완벽을 가장한 스타가 아닌, 인간 박중훈의 진심을 보여준다. 그는 후회를 부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 감정을 껴안으며, 그것조차 자신의 일부로 인정한다.
가장 인상 깊었던 대목은 ‘행운아’라는 글이었다. 그는 '한국인의 평균수명 85세는 바꿔 말해서 7만 5천 시간이다. 나의 2시간짜리 영화 한 편을 극장에서 1,000만 명이 봤다면 난 2,000만 시간을 위임받은 셈인 것이다. 그 엄청난 시간을 내가 웃길 수 있었다는 게 너무 행복이고 영광이다'라며 배우로서 관객에게 받은 사랑을 겸허하게 회고한다. 그는 자신을 여전히 행운아라 부르며, 그 이유를 명예나 부가 아니라 남의 시간을 웃음으로 채웠기 때문이라 한다. 배우라는 직업의 본질을 이보다 더 진심 어린 언어로 표현할 수 있을까.
그는 또한 인간의 본질에 대해 놀라운 통찰을 보여준다. 
-스타는 자존심이 세고, 사모님은 자존심이 세고, 회장님은 자존심이 센 게 아니다. 인간 자존심의 크기는 다 같다. 다만 그 자존심을 부릴 수 있는 처지인 사람과 꾹 참을 수밖에 없는 사람이 있을 뿐이다.-
오랜 세월 대중과 업계 속에서 사람을 보고 겪어온 그가 내린 결론이다. 사람의 겉모습은 다르지만, 그 속의 마음은 모두 같다는 그의 시선은 따뜻하고도 현실적이다.
책에는 그가 아버지와의 추억을 통해 보여주는 깊은 감정선이 담겨 있다.
-촬영하는 6개월 내내 아버지 이름으로 불리며 연기할 수 있었다. 아버지의 몸은 더 이상 만질 수 없지만, 아버지는 그때도 지금도 여전히 내 곁에 계신다.-
그는 “누군가 내게 ‘그리움’을 연기하라고 한다면, 난 정말 잘할 자신이 있다”고 고백한다. 배우로서의 기술이 아니라 인간으로서의 감정이 진하게 전해지는 부분이다.
무엇보다 그가 던지는 삶의 메시지는 담담하지만 단단하다. 
-나는 중요한 선택 앞에서 늘 자신에게 묻는다. ‘이걸 하지 않으면, 죽을 때 후회할 것인가?’ … 할까 말까 망설여질 땐 ‘하는’ 선택을 하고 살아왔다. 후회되더라도, 하지 않고 후회하는 것보다 하고 후회하는 길을 택했다.-
그는 완벽을 추구하기보다, 불완전한 채로라도 행동하고자 했다. 그것이 바로 그의 40년 배우 인생을 지탱해 온 신념이다.
'후회하지 마'는 유명 배우의 회고록을 넘어, 한 인간이 후회와 반성, 사랑과 그리움 속에서 자신을 단단히 세워온 과정을 그린 인생의 기록이다. 그리고 그 표지 속 선한 미소처럼, 그의 이야기는 독자에게 따뜻한 위로를 건넨다.
그는 말한다. “나는 완벽한 사람이 아니니까. 하자가 많고, 허점투성이인 사람이니까.” 그러나 바로 그 불완전함 속에 인간의 진짜 아름다움이 숨어 있다.
이 책을 덮고 나면, 우리는 모두 각자의 무대 위에서 여전히 연기를 이어가는 배우임을 깨닫게 된다. 박중훈은 그 무대에서 후회하지 않기 위해 웃고, 울고, 버텨왔다. 그리고 지금 그가 우리에게 건네는 말은 단순하다. “후회하지 마. 그것이 네가 선택한 길이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