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에서 온 남자
전건우 지음 / 북오션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때 날렸던 조폭 진혁은 사랑하는 여자를 잃고 몸도 마음도 시들어가는 중이다 죽기로 결심하고 치매를 앓고 있는 엄마를 마지막으로 만나고 돌아가던중 고속도로에서 연쇄충돌 사고가 나고 앞차를 들이받았던 진혁은 앞차 운전자가 나오지 않자 차안을 들여다보지만 그는 진혁을 쳐다만 볼뿐 꿈쩍도 하지 않는다 그러다 그차 트렁크가 열린걸 보고 뭔가 심상찮다 생각한다 트렁크에는 짝이 맞지 않은 하이힐이 한가득이었다 진혁의 차를 들이받았던 차 주인도 다가오면서 하이힐이 있던 차 트렁크 차주가 갑자기 튀어나와 산속으로 달린다 그를 잡아야겠다는 일념으로 쫓아가던 진혁은 동굴속에서 길을 잃고 어제로 가게 된다

동굴을 빠져나왔다 생각하고 들어간 편의점에서 5월 29일이 아니라 28일인걸 확인하고 뭔가 이상하다 생각도 잠시 연쇄살인범 용의자로 경찰에 잡혀가고 진술하는 과정에서 유팀장을 만나면서 자신이 시간역행자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리고 그사실을 무조건 믿어주는 유팀장. 진혁은 유팀장을 100% 신뢰할수 있을까를 고민하게 된다

진혁은 29일 자신이 있던 곳의 연쇄 살인사건의 사망자수가 점점 달라지는걸 보고 28일이 29일 전날이 아닌 다른 28일이라는걸 알게 된다 이곳에서 진혁은 또다른 자신을 보게 되고 지금과는 다른 아직도 잘나가는 건달이사로써 그리고 자신이 사랑하던 여자 서희도 살아 있음을 알게되지만 곧이어 서희는 다시 그 살인마에게 당하게 되고 도대체 어떻게 해야 서희도 살리고 이 살인마가 벌이는 이 이상한 사건의 전말을 알아낼수 있을지 진혁의 고군분투는 28일과 29일 사이에서 왔다갔다 한다

트렁크에 쌓여있던 짝짝이 하이힐들로 인해 연쇄살인사건을 쫓는 줄알았던 어제에서 온 남자는 한때 잘나가는 건달이었던 진혁의 순수한 사랑을 지키고자 애쓰는 한 남자의 순애보같은 이야기였다 어제에서 온 남자가 아닌 어제로 간 남자가 아닐까 싶은데 스릴러에서 타임슬립 그리고 순애보로 끝나는 시간 순삭인 재미있는 이야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테이블 포 투
에이모 토울스 지음, 김승욱 옮김 / 현대문학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이모 토울스의 이번 작품은 단편들 모음을 엮은 책이다 토미의 부부는 카네기홀에서 연주회를 보고 식사도 즐기는 그런 하루하루를 좋아한다 다음시즌의 표를 미리 구하고 싶지만 그건 쉽지가 않다 하지만 카네기홀에서 정기적으로 공연연주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알고 비싼 돈을 들인만큼 멋진 연주를 감상하던 날의 일이다 공연이 시작되고 얼마지나지 않아 옆자리 80대쯤으로 보이는 노신사가 레인코트를 입고 들어온다 이내 노신사의 소매에 슬쩍 나온 까만 마이크를 보고 기분이 좋지가 않다 카네기홀에선 모든 공연을 녹음하는건 불법이기 때문이다

그래도 나에게 불편을 끼치는건 아니라 그냥 지날갈수도 있으련만 토미는 끝내 그걸 끄집어내고야 만다 노신사의 녹음을 방해하기 위한 작전을 펼쳐보지만 이내 다른 사람에게 토미만 무례함이라는 딱지만 얹어질뿐이었다 공연도중 밖으로 나와 끝끝내 노신사의 녹음을 잡아냈지만 그의 사연을 들은 다른 사람들의 표정은 노신사보단 토미에게 너무하다는 반응뿐이었다 노신사는 부인과 함께 즐기는 이 공연을 좋아했지만 나이가 들고 몸이 좋지 않아 같이 하지 못해 그녀에게 들려주고 싶어 시작했다는 녹음. 토미도 미안함에 노신사에게 사과겸 잘못됐다는 점을 인지 시키고 싶어했지만 만나지 못했다 그리고 그의 끈덕진 노력(?) 덕분에 노신사가 사는 집을 찾게 되고 그의 집으로 가서 연신 사과와 함께 노신사의 딸에게도 한소리 듣게 된다

이제 더는 카네기홀을 갈수 없게 되고 사망한지 좀 되었지만 녹음을 하면 왠지 그녀와 함께 한다는 기쁨에 녹음을 멈추지 못했다는 슬픔을 드러낸다 그렇게 헤어진 노신사의 집 앞에 선 토미에게 딸은 "영원히 바흐의 음악을 들을때마다 첼로연주를 들을때마다, 내가여기 62번가에 서서 당신에게 독선적이고 무신경한 개자식이라고 말한 일을 기억하면 좋겠어요." 라는 말을 듣게 되고 토미는 그렇게 평생 카네기홀을 지날때마다 또는 바흐의 음악 첼로연주를 들을 때마다 이 상황을 기억하게 된다

때론 험하고 독한 말보다 그 당시의 기억을 떠올릴때마다 당신이 얼마나 잘못을 했는지에 대해 되새기게 해준다는게 삶에 무서운 벌인지 느끼게 된다 그날 토미가 노신사를 밀조업자라며 담당자에게 신고하러 간 순간 이설리스가 기분이 좋았는지 2분 30초가 일찍 끝나고 또 다른 연주가 시작되었을때 토미의 아내는 토미가 그 연주를 듣지 않아 다행이라 생각하는 장면이 남편을 생각하는 것인지 모를 얄궂은 하루였다고 설명하는게 재미있긴 했다 가끔 누군가와 2인용 테이블에서 1대1로 대화를 나누는 장면들이 영화에서 가끔 나오는 경우가 있다 로맨틱 상황같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게 연인과 누군가와의 대화를 나누는 table for two가 정말 사람들의 삶을 움직이는 시작점이 되기도 하는거 같다 단편을 좋아하지 않았지만 짧지만 강렬한 그리고 밀조업자를 읽을 때에 글이 아닌 마음이 움직여서 괜찮은 단편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앵무새 죽이기
하퍼 리 지음, 김욱동 옮김 / 열린책들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30년대 미국의 대공황시기 또는 그때가 제일 활발했을때였을거란 생각도 든다 그중 앨라배마 남부가 백인 중심주의가 가장 심했고 백인과 흑인의 차별이 가장 많았던 곳이라고 한다 그 당시는 백인이면 흑인은 잘못을 저지르지 않아도 경찰에 잡히거나 억울한 누명을 쓰는일이 밥먹는 일상보다 더 많았을 것이다

앵무새 죽이기는 스카웃이 6살인 순간부터 차곡차곡 쌓아가며 자신이 겪은 이야기를 이어나가고 있다 아이의 눈으로 보는 그 당시의 사람들의 인종차별 그리고 억울함등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어서 아마도 많은 이들이 성경보다 많이 읽은 책이라고 소개 하지 않았나 싶기도 하다 스카웃의 아빠는 학교를 다닌적은 없지만 지금은 변호사를 하고 있다 그리고 억울한 이들을 도와 주기도 아직 어린 딸과 아들에게 매스콤군에서 부당하지만 그들을 배려해야 한다는 걸 잘 알려주는 사람이었다 어느날 백인 여성을 성폭행한 혐의로 기소된 톰의 변호를 맡게 되면서 자신의 가족들 또한 사람들에게 위협을 받게 된다 당연히 사람들은 톰이 무고하다는걸 알지만 무고하지 않다고 생각하며 말을 하고 지켜볼것이다 그게 그 시대의 일이었으니까 흑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인종차별문제는 꼭 미국의 문제만은 아닐것이다 어느 인종이 더 우월하진 않다 그저 자신들의 무리가 사는 곳에 다른 인종이 들어왔다는 것만으로 마음에 들지 않아 배척하고 따돌리고 하는 것 자체가 차별이니까

앵무새 죽이기는 여자 아이의 시선으로 바라본 인종차별에 대한 미국인들의 진심을 들여다본 이야기 이기 때문에 누구나 읽어도 어렵다 생각하지 않아 더 많은 사람들이 읽혀진건 아닐까 싶다 많은 사람들이 앵무새 죽이기를 읽으며 어떤 생각을 가질까 어떻게 반응을 할까 궁금하지만 이 책을 읽는 이들중에도 여전히 차별과 색안경을 끼는 사람은 있을 것이다 재판의 결과는 현실을 안겨준다 아무리 톰의 무죄를 밝힌다 하더라도 그들의 색은 바뀌지 않았다 앵무새를 죽이는건 죄다 그걸 지금도 모르는 이들이 우리 주위에 많다는게 문제이거 같다 스카웃의 아빠는 자신이 변호하던 톰의 결과가 어떻게 나오리라는건 아마 알았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를 끝까지 변호하는 용기가 멋져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귀신 저택 미야베 월드 2막
미야베 미유키 지음, 이규원 옮김 / 북스피어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고보니 나 미미여사님 책 좋아하네~ 기다렸습니다~ 날씨도 더운데 귀신저택이라니
너무 기대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애프터 유 미 비포 유 (다산책방)
조조 모예스 지음, 이나경 옮김 / 다산책방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루이자와 함께 성장할수 있는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