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먼 자들의 나라
허버트 조지 웰스 지음, 차영지 옮김 / 내로라 / 2025년 7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서울가본 사람과 가보지 않은 사람 중 서울에 가보지 않은 사람이 이긴다는 말이 있다 눈먼자들의 나라에서 눈이 보이는 사람이 우세할거 같지만 전혀 그렇지가 않다
오래오래 아주 오래전 눈먼 사람들이 태어나기 전에 그들도 눈이 보인채로 살았다 하지만 전염병이 돌자 사람들의 시력이 점점 뿌옇게 변해가며 그뒤로 태어나는 이들은 시력이 사라진채 태어나기 시작했다 그리고 시력이 흐릿하지만 살아있는 그들에게 이곳저곳을 가르쳐주며 살아갈 방도를 마련해준게 그렇게 오래되었다 하지만 세월이 흘러 오래전 그들의 조상은 눈이 보였다는 그리고 보인다는 의미가 어떤지 모를만큼 퇴색되고 그들의 언어 또한 보이는것이 어떤지 모르게 퇴색되어갔다
그런 그곳에 어느날 눈이 보이는 자가 눈먼자들의 땅으로 굴러떨어졌다 그의 이름은 누네즈 그곳에서 왠지 눈먼이라는 단어가 떠올랐고 정말로 눈먼 자들이 살고 있었다 태양이 머리위에 떠있는 따뜻할때는 그들의 밤이었고 해가 지며 날씨가 쌀쌀해지는 그때가 그들이 일하는 시간이었다 하지만 누네즈는 캄캄한 밤에 익숙한 사람이 아니었기 때문에 자주 발을 헛딛기도 하고 휘청하기도 하는데 그때마다 눈먼자들은 누네즈를 걷지도 못하고 미성숙한 인간취급을 한다
눈먼자들의 땅에선 외눈박이가 왕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며 자신이 이곳에서 왕이 되고자 반란을 일으킬 생가가을 한다 하지만 눈먼이라는 단어 자체를 이해하질 못하는 눈먼자들의 나라사람들 그들은 그곳에서 오랜세월 그렇게 살아왔기 때문에 눈이 멀어도 불편함이 없었다 아무런 불편없이 행복을 추구하며 살아가는 이들에게 눈이 보이는 사람이 무슨 왕이 될수 있을까 그들은 누네즈를 더 안타까운 사람으로 여기는데 ....
기준과 어느것이 정상인지 무엇이 바른것인지는 그들의 무리속에 있어보면 알수 있을거 같다 10명중 8명이 아무리 아니어도 2명을 바보로 만들수 있다는걸 여실히 보여주는 거 같은 책이었다 짧지만 깊은 생각을 갖게 만들어주는 책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