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중한 사람]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신중한 사람
이승우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4년 7월
평점 :
한참 책을 읽던 중이었다. 누군가 나에게 '너는 신중하기 때문에'라는 전제로 무언가에 대한 해답을 스스로 찾기를 원했다. 나는 그런 말을 처음 들어봤다. 그가 내게 왜 신중하다는 표현을 하는지 고민을 해보며, 나는 신중하다는 표현 대신 '생각이 더럽게 많다'는 말이 더 내게 어울릴 것 같다고, 만약 신중하다는 말이 생각이 더럽게 많다라는 말과 같은 뜻이라면 그 말을 인정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것을 인정하는 순간에도 나는 그 순간 조금 불쾌해졌다. 그리고 그 불쾌함의 이유를 찾아보자 책상 옆에 노랗게 놓인 이 책이 있었다.
나는 이승우라는 소설가를 이번 소설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다. 따라서 그의 소설은 이 단편집의 첫번째 순서를 맡고 있는 <리모콘이 필요해>이 처음이었다. 제목에 드러나는 '필요'는 곧 대상을 향한 욕구이며 의지의 표현이다. 하지만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은 제목과 달리 자신의 의지가 무엇인지조차 잘 알지 못한다. 오히려 주위의 욕구와 변명에 하릴없이 끌려다닐 뿐이다. 그러면서 자신의 진짜 속내는 감추고 그 속을 가리고 있는 1차적인 (쓸데없는) 욕망, 리모콘에 집착을 하며 리모콘만 있으면 숨어있는 불분명한 욕구까지 해소될 수 있을거란 신중하지 못한 결론에 다다르는 것이다.
그것이 무엇이든, 온몸을 내던지듯 달려드는 사람들에게 나는 불편을 느끼는 것 같다. 그런 사람들의 세상에대한 적극적인 태도와 과감하고 거침없는 움직임을 거북해하는 것 같다. 그들이 곧 과감하고 거침없이 나에게 무언가를 들이밀고 대들 것 같아 무섭다고 해야할까. 나에게 친절을 베풀려고 애쓰는 선배가 왜 거북한지, 왜 그를 피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지 알 것 같아졌다. (34p)
이 소설 속 인물의 심리상태를 가장 잘 드러내는 문단이라고 생각한다. 짧은 문단에서 '같다'라는 말이 무한히 반복되어 나온다. '같다'는 자신의 의견에 대한 책임을 한발자국 뒤로 내빼는 말로, 적극적인 주장이 필요한 논술에서는 가차없이 빼버려야하는 서술어 중 하나이다. 선배에게 끌려다니는 것을 끊임없이 끔찍해하고 싫어하면서도 결국에는 술집에까지 끌려와 덩그러니 앉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인물을 시작으로 이 단편집은 유사한 형태의 '신중한 사람'을 소개한다.
다음으로 등장하는 <신중한 사람>은 표제작인만큼, 작가가 말하는 '신중한 사람'의 정의를 꽤 강력하게 드러내고 있다.
신중한 자는 저지르거나 부수거나 걷어차지 못한다. 신중한 자는 보수주의자여서가 아니라 신중하기 때문에 현상을 유지하며 산다. 현상이 유지할 만한 가치가 있기 때문이 아니라 현상을 유지하지 않으려 할 때 생길 수 있는 시끄러움을 피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현상을 받아들이고, 그 때문에 때때로 비겁해진다. 그럴 때는 먹은 것이 얹힌 듯 가슴이 답답해서 가끔 쿵쿵 소리 나게 가슴을 때렸다. 그것이 그가 할 수 있는 전부였다. 신중했으므로, 그는 완전하고 완벽한 자기 세계에 대한 꿈을 유보하는 편을 택했다.(4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