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리게 배우는 사람]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느리게 배우는 사람 창비세계문학 30
토머스 핀천 지음, 박인찬 옮김 / 창비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해에 소설 두세 편을 읽을까 말까 하다가 최근 3개월간 외국 소설을 10편가량 읽었다. 공교롭게 다 장편 소설이었다. 그리고 이름은 익히 들었지만 한 번도 읽은 적 없던 대가들(알베르 카뮈, 필립 로스, 무라카미 하루키, 줄리안 반스 등)의 작품이었다. 작품들을 읽으며 느낀 공통점은 처음부터 흥미를 쉽게 부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30페이지가 넘어가기 전까지 섣불리 작품을 가늠하거나, 인물을 파악할 수 없었다. 읽히지 않아 앞 페이지를 두세 번 더 펼쳐보기 일 수였다. 하지만 책을 다 읽고 나면, 긴 터널 끝에 눈부신 빛줄기가 한꺼번에 쏟아지듯 그 묘한 어지러움에 흥분했다. 『느리게 배우는 사람』을 읽고 느끼게 될 감동 역시 마찬가지일 거라 예상했다. 그러나 내게는 그 터널이 너무 어둡고 길었다.

 

 원래 서문이나 작품 해설을 먼저 읽지 않는 터라 작품을 먼저 펼쳤다. 책에서 처음 만난 러바인이라는 인물을 파악하기 위해 애쓰며 읽었다. 하지만 자꾸만 흩어지기 시작하는 이미지들을 주워 모으기에 힘이 들었다. 책을 읽으며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 말’을 어떤 인물이 말하고 있는지조차 쫓아가기 힘들다는 것이다. 번역의 잘못인지, 원서가 그런 것인지, 인물이 많아서 혹은 인물의 개성이 말에 배여 있지 않아서, 그저 나의 이해력이나 집중도의 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영 읽기 불편했다. 힘들게 <이슬비>를 다 읽어 냈을 때는, 몹시 어려운 시를 읽은 듯한 머리아픔. 그리고 단서들을 조합하여 만들어낸 나름의 해석이 나조차도 무책임하다는 생각이 들어 작품해설을 읽지 않고는 다음 장을 넘길 수가 없었다.

 

 작품해설을 읽고 서문까지 읽어버렸다. 그리고 작품보다 오히려 서문에서 더 매력을 느꼈다. 작품을 다시 읽기 시작했고, 여전히 읽기는 고역이었다. 단편을 너무 오랜만에 읽어서인지, 장편이 주는 상대적인 친절함이 없어 힘들었다. 다섯 작품 모두 아주 짙은 매력을 가진 인물들이 각자에게 주어진 상황을 너무도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은밀한 통합>의 그로버나 <이슬비>의 러바인 등 인물들은 너무 자기 잘난 맛에 살고 있었고, 가끔은 그 잘난 체가 부담스럽기도 했다.
 
 소설 속에 등장하는 상황은 기꺼이 공감 가능한 일상의 일이지만, 과하게 낯설게 다가오는 문체와 인물들이 끝없이 펼치는 공상은 따라가기 어렵다. 그나마 가장 힘을 풀고 읽을 수 있었던 것은 <로우 랜드>라 할 수 있다. 플랜지와 아내 씬디의 재치있는 대화가 앞부분에 배치되어 작품 안으로 쉽게 이입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아내의 바가지에 못 이겨 밖으로 나온 친구들과 쓰레기 폐기장에서 과거에 대한 허세와 현재의 회의는 그리 어렵지 않게 읽힌다. 그 밖에도 중간 중간 양념을 치는 핀천 특유의 유머가 그나마 책을 끝까지 버티고 읽게 하는 원동력이 되어주었다.
 
 이 책은 단편이 주가 되는 단순한 단편집이 아니라, 그의 서문과 함께 읽어야만 비로소 완성된다. 그가 말하는 작품 배경과 작품을 쓸 때 느낀 고뇌와 반성을 엿보며 읽는다면 핀천을 좋아하는 독자들에겐 그의 작품을 더 깊이 알 수 있는 계기가 되는 책이 될 것이다. 비록 나는 핀천의 다른 작품을 읽지 못했지만, 핀천이 앞서 내놓은『브이』나『중력의 무지개』를 읽은 독자라면 그의 작품을 상호적으로 읽어 또 다른 의미를 도출해낼 가능성 또한 농후하다.

 

 책 표지는 짙은 핏빛이다. 마치 토머스 핀천이 소설을 쓰기 위해 흘린 핏자국들이 오랜 세월 동안 묵혀져 바랜듯한 분위기다. 책에 대한 전체적인 감상은 이렇다.『느리게 배우는 사람』이라는 제목은 토머스 핀천 자신을 가리키거나,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아직 이루지 못한 성장을 빗대어 말하는 거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책을 읽고 있는 나 역시 아직 이 책을 완전히 소화해내지 못하는 느린 독자이다. 얼마나 더 느리게 읽어야 이 책을 독파할 수 있을지 의문이지만 언젠가 터널 끝에 빛줄기를 맛볼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