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옥

작가, 서평가이다. 저서로 ‘감으로 읽고 각으로쓴다」와 「미오기」이 있고, 「당신의 삶이 글이될 때를 엮었다. 현재 <중앙일보》, 《시로 여는세상》, 《문학뉴스》 등의 매체에 칼럼을 연재하고있다. 2024년 양성평등문화상, 대한민국전자출판대상 우수상을 수상했고, 대한민국을빛낸 인물(문화부문), EBS 지식e채널의 인물로선정되었다.

하서찬

중앙대 문예창작과 박사 졸업. 2012, 2015신춘문예 희곡 부문에 「소풍」, 「초대」 당선, 2013한국 신진 극작가로 선정되어 도쿄에서 활동했으며「빨래는 지겨워 (동화)」, 「최소한의 나(공저)」,
「27-7 (희곡)」 등 다양한 분야의 글쓰기를해왔다. 한겨레에서 극작수업을 진행했으며 현재는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김정배

글마음조각가. 포트폴리오 독립생활자,
오른손으로는 글(시인, 문학평론가, 작사가,
공연 시나리오 작가)을 쓰고, 왼손으로는그림(오른손잡이지만 왼손 그림 작가)을 그리는가장 무명한 예술가이자 작독자. 현재 원광대학교문예창작학과와 음악문화학과 대학원에서학생들과 다양한 실패를 궁리하고 있다. 그림책『사과꽃』과 비평집 「무너지는 성 일어서는 폐허를출간했다.

김승일

2007년 계간 《서정시학》 신인상시 부문으로 등단했다. 시집으로「프로메테우스」, 『나는 미로와 미로의키스』가 있다. 최근에는 시인의 꿈을 평생간직해온 74세의 할머니와 함께 멘토링 시집『자꾸자꾸 사람이 예뻐져』를 펴냈다. 읽고쓰고 강연하면서, 각 지역의 교육·문화·예술공간에서 ‘시 창작‘과 ‘시 낭독‘을 통한
‘학교폭력예방근절운동‘을 지속하고 있다.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나도 놀랐고 세상이 놀랐다. 사람들은 출판계에 초대형 호재가 떴다고 흥분을 감추지 않았다. 그런데 이상하지 않은가.
업계가 어렵다는 얘기가 곳곳에서 터져 나온다. 기생충)이 아카데미상을 탔을 때도 그랬다. 성공 수혜의 당사자를 제외하고 대다수는 표정이 밝지 않다. 애써 표정을 드러내지 않으려는 속내가 뻔히 읽히는데도 그렇다.

빛이 강하면 그늘이 짙은 법이니

너무 잘하려고 하지 않겠습니다

누구나 한 시절 앓기 마련이다. 피치 못할 일이다.
나 또한 예외는 아니었다.
본시 삶이 그렇고, 사람이라서 그런 것이다.
돌이켜보면 그 시절, 내가 흘렸던 건 눈물이 아니라 땀이었다.
그리고 이제 깨닫는다. 땀은 사람을 속이지 않는다는 걸.

상처나 결핍의 기억은 평생 영향을 미치는 것 같다.

엄마는 나를 때린 게 아니라 운명을 때렸을 것이다.

누구에게나 상처는 있다. 상처가 고통으로 말을 걸때 귀를 기울여야 한다. 아프다고 다 나쁜 것은 아니다.

명치가K의 주위에는 비트코인으로 집을 날린 사람도, 주식으로 패가망신한 사람도 없었다. 제일 친한 친구 상엽도 노른자 땅에 ‘꼬빌(꼬마빌딩)‘을 가진 부자가 되어있었다.
"실패했어. 나는...."

"영주권이 4천만 원이면 싼 거 아닐까요? 투자이민도 거의 닫혔어요. 미국은 이제 10억이에요."

못하는 것도 실력입니다.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그 힘으로 더 적게 실수하고 더 잘 실패하기!

"너만의 목소리를 찾았으면 좋겠다."

글은 답을 찾는 행위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