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는 인격의 됨됨이에서 나옵니다. 인격은 사람의 근본에서 나옵니다. 말나무의 뿌리는 사람의 인격이고 말나무의 줄기는 사람의 언행입니다. 말나무의 가지는 그 사람의 관계이고말나무의 잎은 그 사람의 영향력입니다. 말나무의 꽃은 그 사
프랑스의 소설가 미셸 투르니에는 ‘독서를 기적‘
래‘ ‘막내여서 그래‘가 적용됩니다. 요즘 세상은 관계적 융통성을 가지고 모든 조직에서 서로 다른 역할에 맞게 변신하는 ‘올라운드 플레이어All-round player‘가 필요한 것입니다. 그래서 대화환경 적응력이 필요합니다.
에스키모인들은 늑대를 사냥할 때 얼음 속에 있는 날카로운칼에 피를 묻혀서 꽂아 놓습니다. 피 냄새를 맡은 늑대들은 얼음칼을 핥기 시작합니다. 피 맛이 달콤하기 때문입니다. 핥고또 핥다 보면 얼음이 녹고 칼은 날카로운 칼날을 드러냅니다. 그 칼날에 늑대의 혀가 베어 피를 내고 그 늑대는 얼음으로 둔김해진 혀로 계속 자신의 피를 핥아 먹느라 자리를 떠날 줄 모릅니다. 자신의 멸망이 기다리고 있는 것도 모른 채 말입니다. 험담의 달콤함이 그렇습니다. 자신의 혀가 둔해지는지도 모
올바른 표현력을 가진 사람은 늘 자신감에 충만합니다. 는
참, 경청의 ‘경‘자는 ‘기울일 경‘이라고 하더군요. 몸을 기울여서 들어야 진짜 경청입니다.
모라토리엄 증후군 oratorium syndrome 이라는 사회적 질환이 있습증후군oratorium니다. 지적이나 육체적으로 한 사람의 사회적 역할이 충분히가능한데도 사회적 책무를 기피하는 증세를 말합니다. 대개 20대 후반부터 30대 초반 사이에 많이 나타나며, 대부분 고학력청년들로 대학 졸업 후 사회로 나가는 것을 두려워하여 졸업하지 않고 학교에 남아 있거나 취직하지 않고 빈둥대는 것도 포
신약성서에서 야고보라는 사람은 "혀는 능히 길들일 사람이없나니 쉬지 아니하는 악이요 죽이는 독이 가득한 것"이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