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의무라는 것은 법률·윤리·철학의 문제가 아닌, 오롯이 사회적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는 사실은 인류학자에게는말할 필요도 없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사회적 의무라는 것
실제로 진정한 의무의 신호는 동정심보다는 짜증으로나타난다. 행실이 좋지 않은 동생이 마약에 돈을 다 써버려집세를 내지 못한다거나, 그러고는 당신 집에 와서 소파에
우리는 친구도 만들고 적도 만든다. 그러나 신은 우리의이웃을 만든다. 그러고는 자연이 만들어내는 온갖 종류의비정한 공포를 들고 우리를 찾아온다. 그는 하늘의 별만큼이나 낯설고 쏟아지는 빗줄기만큼이나 부주의하고 무관심하다...... 그렇기 때문에 옛 종교와 옛 경전의 지혜는 인류에 대한 의무가 아닌, 이웃에 대한 의무를 그토록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저소득층은 이 잔인한 정치과정에서 종종 스스로를 일종의 낭비라고 여기기도 한다. 캄팔라에서 살아가는 동물들
최근 몇 년 동안 현존에 근거한 요구가 달성한 의미심장한 분배적 결과는 무엇일까? 아마도 현존에 관해 좀 더 포괄적이고 범세계적으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더 큰 규모의 정치적 전략의 시작점을 제안한 것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여기 우리와 함께‘ 있다는 인식이 사회적 의무를 이끌어내는 과정을 명확하고 사려 깊게 이해하게 되면, 이러한의무를 확대하고 도달 범위를 넓히기 위한 정치적 발전도가능해질 테니 말이다.
사회인류학의 전통과 ‘관대함‘에 대한 분석인류학 문헌을 살펴보면 사람들이 사회생활에서 자신이 원하는 대로 행동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자주 발견할 수있다. 다른 사람과 공유해야 하는 의무, 다른 이에게 관대해
21세기에 들어선 지 24년이 흘렀다. 매일 별반 다르지 않은하루하루를 보내는 것 같지만 20세기의 대한민국과 21세기현재의 대한민국은 완전히 다른 나라가 되었다. 2000년 약5,667억 달러였던 GDP는 2023년 약 1조8,000억 달러로 성장했다. 1인당 GDP 역시 2000년에 약 1만 2,081달러에서2023년 약 3만 5,000달러로 늘어났다. 이에 힘입어 2000년세계 45위 수준에서 2023년에는 30위권으로 상승했다.
‘현존‘과 ‘나눔‘을 토대로새롭게 열어가는 미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