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유수한 종합병원 메이오 클리닉에서는 성격장애 정신장애의한 유형으로, 사고와 기능 및 행동에서 경직되고 건강치 못한 패턴을 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성격장애가 있는 사람은 세상을 당신과 확연히 다른 방식으로 본다. 인간관계와 사회 활동, 일이나 학업에 상당한 문제와한계를 야기하는 방식으로 보는 것이다.
성격장애 아닌가 하는 의심을당사자에게 드러내지 말라
의 모든 접촉을 잃을 수도 있다. 사랑하는 사람이 당신과 함께 겪은 상황을 전혀 다르게 기억한다면, 당신의 기억에 결함이 있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해리 때문일 수 있다.
것, 그것이 유독성 수치심의 핵심에 놓여 있다. 수치심에 기반을 두고 살아가는 사람은 타인에게 자신의 내면을 드러내지 않으려고 경계하지만, 더욱중요하게는 스스로에게도 자신을 노출시키지 않으려 한다.
나르시시스트는 다른 사람들의 기대와 선호에 따라 자신을 정의해야 한다는 심적 압력을 받는다. 그들은 이만하면 됐다는 내적 감각에 의존하기보다는 인정과 안도감을구하는 데 집착한다. 칭찬이나 아침을 끊임없이 받지 못하면 그들의 우월감과 특권의색은 약해지고 불안정해진다. 깊이를 모를 구덩이 위에 지은 집이 삐걱거리기 시작하고방바닥이 위태로우리만큼 얇게 느껴지기 시작한다. -마크 에튼슨, "나르시시즘을 벗긴다-당신 삶 속의 나르시시스트를 이해하기 위한 길잡이
(공동의존 codependency)은 ‘공의존, 동반의존이라고도 한다. 중독이나 성격상애, 질병 같은 것 때문에 주위에 의존하는 사람을 오랜 기간 돌볼 때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인데, 그 주요 형태 중의 하나가 이 사례에서처럼 돌보는 이가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낮은 순위에 두면서 상대의 욕구 충족과 문제 해결에 지나치게 몰입하고, 거기서 자신의가치와 정체성을 찾는 것이다. 옮긴이 자아감 상실 유발 (주변인)
경계성 성격장애가 있는 사람이 당신을 가혹하게 대하는데도 불구하고 그에게 ‘중독된 것처럼 느낀다면, 그 관계에서 간헐적 강화가 작용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잘 살펴볼 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