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축왕 정세권 - 집을 지어 나라를 지킨 조선 최초의 디벨로퍼
김경민 지음 / 와이즈맵 / 2025년 10월
평점 :
*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건축왕 정세권
집을 지어 나라를 지킨 조선 최초의 디벨로퍼
김경민 지음
와이즈맵
멋들어진 한옥마을을 생각하면 전주가 떠오른다. 하회마을도 생각나지만, 근대까지 거주해온 지역이면서 지금도 활기가 넘치는 곳, 서울의 북촌도 빼놓을 수 없다. 익선동은 또 어떤가. 종로, 인사동 인근의 좁으면서도 운치있게 옛모습을 살리면서도 멋스럽게 들어선 카페등 상점에 지금도 여전히 사람들이 몰린다.
그런데, 이 한옥마을 북촌과 익선동을 만든 건축가가 있다고?
집을 지음으로써 조선사람들의 거주지를 일본으로부터 지키고 나라를 지킨 조선 최초의 디벨로퍼(부동산 개발의 전체과정을 총 지휘) 《건축왕 정세권》을 책으로 만나게되었다.
이렇게 멋진 분을 왜 이제야 알게된건지 싶을 만큼, 건축 뿐 아니라 조선물산장려운동, 조선어학회 등 우리 근대사에 큰 영향력을 끼친 분이 이분이셨다.
조선 총독부는 왜 경복궁 옆에 지어졌는지, 북촌은 어떻게 파괴되지않고 조선인들이 사는 지역으로 남게되었는지 궁금하지 않은가?
사실, 이 질문조차 책을 읽으면서 알게된 이야기들로, 글을 읽으며 아하!하며 당시를 상상하며 볼 수 있었다.
청계천 이남에 쏟아지듯 들어오는 일본인들과 그들을 위한 가옥들, 일본인들의 거주지를 확장하기 위해 조선인들의 가옥이나 토지보상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국유지였던 궁궐에 지어진 일본관청들, 그리고 청계천 북쪽까지 터를 잡아 주거지역으로 삼으려 짓는 일본 관사들... 거기에다가 지방에서 올라온 조선인들과 경성에 있으면서도 자본이 없어 점차 자신의 거주지역에서 밀려나는 조선인들. 이 맥락에서 건양사의 정세권이 등장한다. 발전 가능성이 높은 주택사업으로 경제적 성공을 내다보는 동시에 나라를 지키겠다는 민족적 소명을 가지고 말이다.
그러고 보니, 북촌의 한옥은 안동 하회마을과 같은 전통 한옥이 아니라 다닥다닥 붙어져 있는 모습이라는 것이 떠오른다. 작은 평수의 한옥을 지으며 위생시설인 화장실이 도시형 한옥 내부로 들어오고, 부엌은 입식구조로, 한옥의 바깥처마까지 방의 벽면을 확장해 수납공간을 늘렸다. 시대적 필요에 따라 조선식 한옥을 공급했다는 측면을 넘어, 일제강점기 경성 내부에서 유일한 조선인 거주공간이었던 북촌을 지켰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당시 경성의 3명의 왕이라 불렸던 유통왕, 광산왕, 건축왕 중 건축왕이라 불렸던 정세권만이 친일의 행적을 보이지 않았다. 물론 강압에 의한 행보였겠으나 정세권은 끝까지 압박을 견디며 오히려 신간회, 조선물산장려회, 조선어학회 회관을 기증하는 등 물심양면으로 후원했다. 대가는 참혹했다. 일제에게 재산을 강탈당해 회사가 몰랐했으니 말이다.
이어진 글을 통해 그의 어릴적 이야기 부터, 건양사를 세우며 건축을 진행했던 일들, 그리고 민족운동가로서의 활동을 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가 지금 보는 것은 북촌과 익선동의 아름다운 한옥 외형이다. 하지만, 그것을 실현했던 그의 행적은, 민간 디벨로퍼로 자체 자본으로 서민 주택금융을 보조하고 대단위 민간 주택임대사업을 개시하며 부동산 사업의 수직적 계열화를 이룬 사업은 지금도 다시 시도하기 어려운 사업일거다.
전후 시대적 경제적 사회적 맥락에서 최초의 디벨로퍼이자 민족운동가 정세권을 기억하게 해 준 책.
K문화 열풍을 보이며 북촌을 찾는 이들이 많아지는 지금, 아름다운 사진에 담긴 한옥의 외형과 함께 그것을 지은 이가 가졌던 마음과 열정까지도 관심이 확대되길 바라며 동경하는 건축가들 이름 사이에 '정세권'의 이름도 새겨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