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만나는 양자의 세계 - 처음 만나는 양자의 세계 처음 만나는 세계 시리즈 1
채은미 지음 / 북플레저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처음 만나는 양자의 세계

양자 역학부터 양자 컴퓨터까지


채은미 지음

북플레저


2025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는 양자(퀀텀)에서 나왔다. 올해는 UN이 정한 양자의 해, 양자역학이 탄생한지 100주년이 되는 해다.

양자 역학이라는 말은 자주 듣고 관련책을 보기도 했지만, 이 번에 만난 책 처럼 읽기 좋고 이해하기 좋은 책은 드물었던 것 같다. 채은미 교수님의 책《처음 만나는 양자의 세계》. 최대한 수식을 넣지않고 실제 우리가 만나는 현실에서 양자 물리학을 설명하며, 마치 우리가 스마트폰의 구조와 원리를 다 모르더라도 사용하는 것 처럼 양자 물리학의 기본 개념과 실제 어떻게 이용되는지 알 수 있게 해주었다.


연속된 힘, 측정해 보고 결정론적으로 위치와 힘을 예측하는, 우리가 익숙하게 여기던 고전 역학과 달리, 빛이 파동- 입자 이중성을 보인다는 것에서 시작해, 에너지가 연속된 것이 아니라 작은 단위, 고전물리학과 다른 양과 단위를 표현하는 양자로 나타내며, 원자와 전자 관계를 들여다보며 이러한 이론을 여러 과학자들의 가설과 실험으로 양자 역학을 입증 하는 것이 흥미로웠다.


'양자 역학'이라는 것이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세계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 같은데, 우리가 사는 거대한 세상의 원리를 밝혀내는 열쇠로 작용하고 있다니.


양자역학이 현대물리학에서 어떻게 논의되고 증명되었는지 그 역사에 대해서도 언급해주셨는데, 조금 더 자세히 알고싶었지만 그러면 낯선 수식과 용어로 어려워지겠다는 판단이셨는지 간략하게 다루고있었다. 짧게 나온 불확실성에 대한 수식도 무척이나 낯설었다.  하지만, 기회가 된다면 양자 얽힘과 양자 중첩의 논쟁과 실험한 이야기, 그리고 양자 텔레포테이션을 더 자세히 알고싶다는 마음이 들었다.

 

형광등에도 LED속에도, 매일 사용하는 스마트폰 속에도 양자 역학이 있다는 것이 놀라웠다. 해마다 발표되는 노벨 물리학상에 왜 양자역학을 연구하시는 분들이 언급되는지, 그리고 그 파급력이 어떤 것인지 이제야 조금 보이는 듯 했다. 

양자의 입자성을 이용한 레이저, 광통신, 원자시계, GPS는 물론, 0과 1로 인식한다는 지금의 컴퓨터가 아니라 양자의 파동성에 주목해 양자 중첩과 양자 얽힘을 활용한 양자 컴퓨터, 그것의 핵심인 큐비트는 낯설었지만 새로운 미래모습을 기대했다.


다가올 미래사회를 바라보며 많은 직업이 지금과 달라진다는데, 양자 역학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이들이 많이 요구되겠구나 싶었다. 진로를 탐색하고 찾는 이들이 이 책을 접하고 흥미를 느끼며 이 분야에도 도전해 보았으면 하는 마음이 든 책.

양자역학을 알고 싶은 이들에게, 특히 진로를 고민하는 청소년, 청년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 《처음 만나는 양자의 세계 》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어로 스몰 토크 이렇게나 쉬웠다니
김영욱 지음 / 모티브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영어로 스몰 토크 이렇게나 쉬웠다니

김영욱 지음

모티브




외국인을 잘 만나지 못할 때는 한국에 있으면서 외국인 만나볼 일이 뭐 많겠어 하고 상황을 핑계로 넘겼던 영어대화. 그런데, 정말 세계화가 되었는지 시장에 가서도, 학교에서도 외국인을 심심찮게 만난다. 그들도 우리 문화를 알기에, 고개를 숙이고 한국말로 대화를 하려고 하지만, 스몰토크로 이어지기는 부담스러웠다. 그 때 이 책 제목이 눈에 들어왔다. 가장 많이 쓰이는 일상 표현 90개, 패턴 50개를 확장해서 활용할 수 있도록 담아놓은 책. 《영어로 스몰 토크 이렇게나 쉬웠다니》 책 제목처럼 꼭 이렇게 말하고 싶은 제목을 하고서 말이다.




영어를 정말 못했지만, 세계를 경험해 보고 싶어 떠난 캐나다에서 의사소통 영어에 재미를 느끼고, 한국으로 돌아와 영어의 뉘앙스, 언어적 문화적 차이를 함께 전해주는 45만 구독자를 가진 유튜버 '달변가 영쌤'으로 활약중인 저자. 자신의 경험과 영어를 실생활에 맞게 쓰도록 알려주고 싶은 그의 열정이 담긴 책이라, 책 안에 담긴 글도 남달랐다.

처음 알려주는 문장 뜻이 '넌 왜 이렇게 눈치가 없니?'라니! 그런데, 이 말을 영어로 어떻게 하지? 눈치?눈치는 영어로 뭐라고 하지??

눈치, 눈치가 없다 에 해당 하는 표현을 알려주는 데, 'take a hint', 'clueless','read the room' 이란 표현들이었다. 어려운 단어 하나 없지만, 좀처럼 혼자서는 떠올리지 못한 조합이었다. 세 가지 표현이 각각 가진 뉘앙스를 알려주면서 같은 말이라도 어떤 상황에 더 어울릴지 생각하며 쓸 수 있도록 배려했음이 보였다. 상황 예문과 대화문, 비슷한 표현과 단어 하나 더 들어가고 말고의 차이까지 언급한 '영쌤의 마지막 한마디'까지. 주옥같은 영어문장들이 가득했다. 한 번 읽고 머리에 다 담겼으면 좋겠는데, 그게 쉽지 않으니 아무래도 한 번 읽고 또 읽고 또 봐야 할 것 같은 책이다.

첫 Day30은 대화할 때 가장 많이 쓸 수 있는 한국어 표현 30가지, 그 다음 Day30은 빈도수 1위 필수 패턴, 마지막 Day20은 '빈도수 1위 조동사 패턴'으로 아낌없이 공부하고 마음껏 표현하라는 당부와 함께 담아 놓은 책.

좋아한다, 호감이 간다는 표현에 like말고 means a lot to란 표현을 떠올려 본 적이 있던가!

헤어질 때, '오늘 정말 재미있었어'라는 표현, Good bye 밖에 떠오르지 않았다면 지금 이 표현 기억해두기.

It was to much fun today.

I had a great time/a lot of fun with you today.

We should do this again sometime.

패턴 표현은 우리가 일상에서 잘 쓰는 문장으로 예문들이 나와있어서 바로 쓰기 좋아보였다. 왜 늦었어? -알람을 맞췄는데도 늦잠을 자버렸어. 라고 대화한다면, 대답의 표현을 I overslept even though I set an alarm. 으로 하면서, even though가 들어간 표현을 연습하는 식으로 말이다.

조동사는 몇 개 없어서 쉬울 것 같으면서도 그 뉘앙스를 잘 담아 나눠서 연습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좋았다. '나라면 그럴거야'란 표현에 I would를 쓰는 것. (나라도) 같은 기분이었을 거야. I would feel the same way.

다문화 학생들을 만나고, 파파고를 통해 어렵사리 의미는 주고 받는다 하더라도 내가 의도한 맥락의 문장으로 전해지는지 아쉽기만하다.

적어도, 가장 많이 노출되었고 접해왔던 영어라도 내가 원하는 느낌을 담아 전해질 수 있다면 참 좋겠다.

이 책의 표현들을 익히면 스몰토크는 겁내지 않고 시도할 수 있을 듯하니, 선생님의 말처럼 아낌없이 공부하고 마음껏 표현해 보자.

걱정마 다 잘 될거야.

Everything will be fine.

Everything will work out OK.

Everything will fall into plac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십 대를 위한 문학 속 세계사 여행 - 문학과 역사를 넘나드는 드라마틱 세계사 여행 십 대를 위한 인문학
송영심 지음 / 팜파스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십 대를 위한 문학 속 세계사 여행

송영심 지음

팜파스


책을 읽어야하고, 또 청소년인 아이들에게 책을 권하고싶은데 어떤 책을 봐야하지?

서울대 추천, ㅇㅇㅇ추천 등 여러곳에서 추천목록을 제시한다. 100대 추천도서에 많은 책이 등장하지만 맥락을 가지고 유의미한 순서로 읽기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주면 더 좋겠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딱 이 책이 그런 가이드북이 되어주었다.

저자는 역사선생님으로, 역사를 문학을 통해 입체감있게 바라볼 수 있도록 역사 흐름에 따라 대표적인 고전문학과 연결해 시대를 읽을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문학과 역사가 닮았다는 저자의 의견에 공감이 되었다.

문학 속에서 생생한 삶의 자취를 보여주는 인물들이 살았던 시대를 추적하는 것은 정말 각 작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문학을 통해 역사적 사실을 흥미롭게 이해할 수 있었다. 교과서 속 한 두장으로 요약된 이야기가 생생하게 다가 오는 느낌! 소설은 소설대로, 역사는 역사대로 봤을 때와 다르게, 이 소설이 어떻게 이 시대를 담고 있는지 설명을 들으며 요약된 소설 내용 전체를 한 눈에 보니 더 재미있게 다가왔다.


고대 트로이 전쟁 속 신과 영웅들의 이야기를 담은 호메로스의 <일리아스>(B.C. 750~700년경) 로마의 대 화제를 비롯 크리스트교 박해를 담은 시기를 담은 헨리크 시엔키에비치의 <쿠오바디스>(1896)를 지나, 중세를 배경으로 한 중국의 삼국시대를 담은 나관중의 <삼국지연의>(14세기), 중세 가톨릭교가 지배한 시대를 담은 알리기에리 단테의 <신곡> 중 지옥편(1321), 월터 스콧의 <아이반호>(1819)을 보며 어렵게만 느껴졌던 책들이 손에 잡히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지금과 시간차가 클 뿐, 그 시대 전체를 조망하는 느낌이랄까. 그래서 문학 책을 찾아 읽어보고 싶어졌다.




근대와 현대를 배경으로 하는 책은 더 재미있었다. 재미 있었다고만 표현하기에는, 산업혁명으로 인한 빈민, 혁명, 남북전쟁, 세계1,2차 대전 등의 전쟁을 배경으로 하기에 다소 무거운 주제일 수도 있지만, 그 시대를 먼저 보고 그 모습을 담고 있는 문학으로 연결되니 확실히 더 잘 이해되었다. 작가가 무엇을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인지를 시대를 생각하며 보게되니 평면적인 인물이 아니라 그 시대를 대변하는 인물로 더 입체적으로 보였다. 

<돈키호테>(1605)가 그랬고, 찰스 디킨스의 <올리버 트위스트>(1838)가 그랬고 빅토르 마리 위고의 <레 미제라블>(1862)이 그랬다. 노예해방을 한 링컨 대통령을 위대하다고만 생각했는데, 그 당시의 정치적 상황, 그리고 미국 남부의 입장에서 쓰여진 마가렛 미첼의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1936)를 보면서 여러 방면으로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제 1,2차 세계대전을 겪은 현대를 배경으로 한 소설 중 특히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1945)은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스탈린의 독재 정치를 이해하지 않고서는 제대로 읽었다고 할 수 없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전에 읽은 책도 그 때의 느낌에 선명한 선이 겹쳐지는 듯 했다. <위대한 개츠비>(1925)가 왜 '위대한'이란 수식어가 붙었는지도 시대와 그 인물의 마음을 다시 들여다보는 시간이 되었다.


한 마디로 재미있게 읽혔다. 

다음 추천책이 어떤 책일까, 이 시대를 대표하는 문학책으로 내가 예상한 책이 나올까? (물론, 목차를 미리 보았기 때문에 이 물음이 맞지 않을 수 도 있지만, 목차를 보기 전에 각 시대를 대표하는 문학책이 무엇일지 먼저 예상해보는 것도 좋을 듯 하다.) 왜 이 문학 책이 이 시대를 대표하는 것일까? 정말 그렇네! 이런 의미가 있었다고? 사실과 문학이 다른 부분은 무엇인지도 찾아보며 전체 숲을 볼 수 있도록 돕는 책. 

배경을 알고 문학책을 읽기 원하는 사람에게, 또 세계사의 숲을 그려보고 싶은 이에게도 권하고 싶은 책 《문학 속 세계사 여행》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지리 - 다섯 가지 키워드로 보는 초예측 지정학
최준영 지음 / 교보문고(단행본)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지리

최준영 지음

교보문고



유튜브 <지구본 연구소>의 최준영 박사님의 책이 나왔다.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지리》.  다섯 가지 키워드로 보는 초예측 지정학이라는 부제를 가지고 세계의 여러 나라를 소개한다.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지리'는 5개의 분야 ㅡ 주택, 경제, 에너지, 인구, 기후 ㅡ로 나누어 이야기한다.


책을 바로 읽어도 좋겠지만,
 유튜브가 우선된 컨텐츠였기에 역시나, 저자의 모습과 책 소개영상을 유튜브로 볼 수 있었다. 영상으로 보니 저자 직강을 듣는 느낌이랄까. 책이 더 친근하게 느껴진다.

현실을 정확하게 들여다 보는 것,

그리고 그 안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는 것.


좋은 것이라도, 다른 나라에서 내가 그리던 천국을 보았다고 해서 그것을 우리나라 그대로 옮겨올 수는 없다는 것을 전제하며 보지만, 그래도 집 걱정없이 공공주택을 임대하여 사는 오스트리아의 지금 모습이 부럽게 느껴지는 건 사실이었다. 땅을 얻고 조세주권을 이룬 빈에 운이 따른 것도 있지만, 당시 세탁소, 실내 스포츠 공간, 어린이 치과 등과 같은 커뮤니티 시설을 갖춘 집을 지은 것이 여성을 가사로 부터 해방시키기 위한 것이었다는 것도 놀라웠다. 당장 국가소유 땅을 늘리고 돈을 확보하는 건 어려울지라도, 빈이 어떻게 우리보다 더 낮은 건축비로 더 수준 높은 집을 건설할 수 있었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지않겠느냐는 저자의 말에 동의가 되었다.


복지 국가인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이야기. 석유가  개발된 것이 다 좋은 것이 아니라는, 유입된 자금을 현명하게 사용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도 다시 보게되었고, 지하자원도, 풍부한 강수량을 가진 미얀마이지만 나라의 문을 닫고 다양한 민족들을 인정하기 보다 핍박을 선택한 결과가 지금의 모습이라는 것도 보게 되었다. 

 한 나라의 지금의 모습은, 위치로 가지게 된 자연적인 장단점과 함께 그 나라가 겪은 자국 안에서의 상황과 주변 나라들과의 관계 속에서 가지게 된 상황의 결과물이라는 것. 그 다양한 사례들을 보고 반면교사 삼아 우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


 다양한 국가의 모습들을 각 주제별로 살펴보면서 피상적으로 알던 나라들을 구체적으로 들여다 보는 시간이었다.

학창시절에 배운 지리, 사회의 영역이 실제적인 생활의 옷을 입고 현실적으로 다가온다고나 할까, 사람을 알게되고 이해하려면 그 사람의 지나온 시간을 아는 것이 큰 도움이 되듯, 지금의 모습에서 부러워 할 만한 것과 피하고 싶은 모습들이 어디서 유례된 것인지 알게되었다. 


소개된 나라를 친근하게 느낄 정도로 어렵지 않은 문체로 차근차근 설명해주며, 우리나라가 가진 장점과 다른 나라에서 닮고 싶은 모습 중 우리 현실에 적용 가능 한 것을 찾아 더 나은 미래를 그려볼 수 있도록 생각할 질문을 던지는 책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지리》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도를 펼치고 전쟁 대신 평화 푸른역사 주니어 2
유정애 지음, 노영주 그림, 김진 기획 / 푸른역사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지도를 펼치고 전쟁 대신 평화

푸른 역사 주니어2


글 유정애, 기획 김진, 그림 노영주

푸른역사


성경에 나오는 구절이 떠오르는 시간이었다. 

전쟁용 무기를 가지고 농사에 필요한 농기구를 만드는 평화의 시기가 오기를. 지금처럼 라오스에서 녹슨 포탄 껍질로 숟가락을 만들고 탁자를 만드는 정도가 아니라 진짜 전쟁이 없는 평화가...


이 책은 국제 비영리기구에서 활동하는 유정애 선생님이 실제 방문하고 도왔던 지역의 이야기를 그곳 아이들과의 편지글 형식으로 대화를 주고 받으며 현지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푸른역사 주니어1권인 《지도를 펼치고 차별 대신 평등》에서 남아프리카공화국, 미국의 아메리카 원주민, 이란, 베트남을 보여주었다면, 2권인 이 책 《지도를 펼치고 전쟁 대신 평화》에서는 팔레스타인, 라오스, 에리트레아, 시리아 이야기를 들려준다. 


팔레스타인의 난민이야기는 이스라엘의 입장에서 많이 들어왔는데, 이 책에서는 팔레스타인지역에 오랜시간 거주했던 이들의 입장에서 다시 보게해주었다. 이스라엘민족도 과거 로마의 핍박으로 그 땅에서 흩어지고 독일 나치의 반유대주의를 지나며 험난한 시간을 지나, 나라를   세우고자 다시 팔레스타인 땅을 찾았고, 영국이 그 사이에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양 쪽과 이중계약을 한 탓에 이스라엘 탓만 할 순 없지만, 그 땅을 차지하기위해 지금처럼 전쟁을 해야 했었나 하는 생각이 들긴했다. 종교의 성지 예루살렘이 평화의 마을, 신성한 도시 라는 뜻 대로, 레몬청을 담그며 겨울을 나고, 아몬드 꽃을 보며 봄을 기다리는 평화로운 팔레스타인 땅이되길...


멈추지 않고 꺾이지 않는다면,

에리트레아도 분명 민주화를 이룰 수 있을거야. 그때까지 희망을 읺지 않길 바랄게. (p.93)


듣기에도 생소했던 나라 에리트레아.

동아프리카 아프리카의 뿔이라 불리는 지역 근처에 에티오피아와 이웃한, 아프리카 다른 나라들처럼 여러 나라의 식민지가 되었다가 에티오피아로 부터도 독립하기위해 전쟁을 하고 독립을 이루었지만, 지금은 변질된 대통령의 독재로 이전보다 더 한 어려움을 겪고있음을 보았다. 당장 내일 전쟁으로 나가기 전, 전쟁중에 사막에서 결혼식을 올린 비나암 부모님의 이야기를 들으며 사람과 사람 사이에 전쟁은 사라져야 하는 것임을 깊이 생각하게 했다. 


중립국이었지만 전쟁의 소용돌이에 휩쓸린 라오스나, 전쟁때문에 고국을 떠나 난민으로 살고있는 시리아 사람들의 이야기. 그들 잘못이 아닌데도 우리는 전쟁과 혼란이 가득한 나라 사람들을 편견을 가지고 대하곤 한다. 난민이라는 말 대신 '박해와 전쟁의 피해자'라고 부른다면 그들을 도울 마음으로 바뀌게 될까.


불쌍하다 안타깝다는 생각과 마음이 들고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알아야한다.

세계 곳곳에서 무슨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말이다. 한류 문화가 확산되고 세계에 영향을 주는 것이 기쁜만큼, 우리도 세계의 이야기를 접하고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며 더 나은 세상으로 만들어가는 데 마음을 쏟는 것이 마땅할 것이다.

아이들에게 세상을 보여주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을 거다. 거기에 이런 책들도 하나씩 더해져 아이들이 세계의 아름다움과 아픔을 알고 세계를 품는 시간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