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
요나스 요나손 지음, 임호경 옮김 / 열린책들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웨덴 소설이 이렇게 인기 있는 경우가 있었나 궁금해졌습니다. 더구나 작가가 처음으로 쓴 장편소설인데 전세계적으로 인기라니 놀라웠습니다. 리뷰를 쓰려고 검색해 보니 영화로도 만들어졌었군요.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은 양로원에서 100번째 생일을 기다리던 주인공이 갑자기 바깥으로 도망가면서 시작됩니다. 읽어보니 재미있고 역사에 대해 배울 내용도 있네요. 베스트셀러가 될만하다고 생각됩니다.




두 가지 내용이 교차편집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현재라고 할 수 있는 2005년에 주인공이 양로원을 나와 벌어지는 이야기와 1905년에 태어나서 이후 겪어왔던 예전 역사적 사건들이 번갈아가며 나옵니다. 주인공은 살아오면서 세계사의 주요한 순간에는 꼭 참여하였습니다.


'현재' 이야기에서는 악당이 추적해오며 갖가지 사건들이 벌어지게 됩니다. 추리소설이나 범죄소설이라 하기는 힘듭니다. 여유 많은 주인공의 기상천외한 활극이 대부분입니다. 100세 노인이 말도 안되는 일을 계속 벌입니다. 그런데 너무나 활당한 사건들이 별로 거부감 없이 다가옵니다. 아마도 주인공 나이를 100세로 설정했기 때문일 겁니다. 뭔가 특별하고 위기탈출 능력이 뛰어난 사람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또한 '과거'에 있었다고 전해지는 더욱 현실성이 떨어지는 이야기 덕분입니다. 얼마나 논리성이 있나 따지지 않고, 그저 있을법한 희극으로 여기는 것입니다. 주인공 알란은 프랑코장군, 쑹메이링, 트루먼, 장칭, 처칠, 스탈린, 김일성, 김정일, 존슨대통령 등을 만납니다. 김정일은 멍청한 울보 어린이로 묘사합니다. 이러한 '과거' 이야기는 지난 100년의 세계 역사를 담고 있습니다.




단순히 역사를 배경으로 하였기 때문에 인기있는 것은 아닐겁니다. 현재와 과거가 교차 편집되었듯이, 예전 역사 이야기가 마치 지금 벌어지듯이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과거의 사건을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주인공이 사건이 일어나던 당시에도 살았으며 역사 속 사람들과 친하게 지내는 모습을 보는 재미가 줍니다. 마치 현재의 일처럼 친근하게 느껴집니다. 시간의 경계가 애매하게 느껴집니다.


저자가 가끔 주인공의 나이가 늘고 있음을 상기시켜 주지 않으면, 정확히 몇살에 있었던 일인지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아니 느끼기 어렵습니다. 과거에도 100세 노인으로 살았다고 느껴지기도 하고, 반대로 현재에서는 도망치며 난장판을 만들고 있는 젊은 청년 알란을 만날 수 있습니다.




옛날 이야기 속의 알란은 현대인의 사고방식을 가졌습니다. 인종차별 반대와 같이 현대인의 일반적 정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나란히 배치된 현재 이야기는 옛날 동화의 구성방식입니다. 현대인이 안데르센 동화에 출연하고, 현재 도시와 시골을 배경으로 명작동화 구연이 되고 있습니다.


한명씩 사라지는 악당이라니 조금은 어이없지만, 즐겁게 읽게 되더군요. 다른 분의 어떤 리뷰에서는 결론이 황당하다고 쓰셨던데, 동화의 결론이란 정해져있고 논리적 해결방식을 가질 필요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이런 황당한 스토리에는 비논리적 결말이 오히려 자연스럽습니다.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가서 지금까지 살아온 현대인과 동화나라를 이곳저곳 돌아다니는 비현실적 캐릭터는 결국 현재에 만나게 되고 하나가 됩니다. 꿈과 현실의 경계가 애매한 곳에서 벌어지는 일이니 결론도 말이 되는듯 안되는듯 흐릿한가 봅니다. 그래서 독자가 오히려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됩니다. 상상력의 세계에서 읽은 사람은 목적지까지 제대로 가게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