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공부 - 2500년 인문고전에서 찾은
조윤제 지음 / 흐름출판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을 하고서 후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느 장소나 이벤트에서 멋지게 모임의 분위기를 띄우기는 쉽지 않죠. 너무 가벼워도 안좋고, 품격 있으면서도 재미 있으려면 많은 고민이 앞서야 합니다. 적절한 용어의 선정부터 말투까지 주의해야 할 것들이 많습니다.

 

더 고민되는 말은 사람 사이에 대화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내용 전달이야 대중 앞에서 말하는 것보다는 쉽겠지만 뒷끝이 있기 때문에 어렵습니다. 듣는 사람이 상처 받을 수 있고, 말한 사람에게 커다란 후회를 남길 수 있습니다. 또한 완전하게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것도 쉽지 않죠. 인간은 오해 없이 상대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의견을 주고 받기 쉽지 않은 존재입니다. 조금이라도 상대방이 자기 위주로 말한다면 금방 상처받고 감정이 흔들리기 마련입니다. 그리고 자신도 상대를 같이 무시하기 시작하죠.

 

'2500년 인문고전에서 찾은 말공부'는 대화와 같은 단순한 말을 잘하게 하는 목적의 책이 아닙니다. 상황의 전체적 맥락 하에서 유효적절한 삶의 태도에 대한 내용입니다. 인간관계와 인생에 대한 조언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배우고 행동하는 태도에 대한 설명이라 할 수도 있습니다.

 

논어부터 십팔사략까지 다양한 중국 고전의 예화를 바탕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이야기에서 여러 교훈들을 꺼내고 있습니다. 단점이라면 보편적 '인문고전'이라 단정할 수 만은 없는 중국 고전을 다루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미 많이 보아온 이야기들을 근거로 설명하고 있지만, 사람의 마음을 흔드는 감동적 스토리가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즉 읽으면서 저자만큼 원문의 내용에 감동을 느낄 수 없었습니다. 저자는 별로 대단하지 않은 대화의 예를 가지고 교훈을 끄집어 내는데, 사실 그런 내용이 특별하게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책 전체적으로 적절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각 장이 동떨어져 단편적으로 느껴졌습니다. 예화를 우선하여 해석하고 의견을 그에 맞추어 제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전체 책이 하나의 이야기로 다가오지 않았습니다. 각 예화에서 저자가 말하려던 교훈을 억지로 발굴해낸 느낌이랄까요. 물론 아주 유명하고 도움이 되는 예화도 많습니다.

 

중요한 것은 읽으면서 중국 고전이 생각 외로 시답잖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저자가 자신의 지혜를 아주 잘 전달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고전을 바탕으로 하기 보다는 저자가 그냥 해주는 이야기가 더 재미있고 도움이 될 것 같다는 느낌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