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개저녀기는 성균관에 간다 똑똑! 역사 동화
최영희 지음, 유설화 그림, 전국초등사회교과 모임 감수 / 푸른숲주니어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도 개저녀기는 성균관에 간다'

개저녀기...

무슨 의미인지 감이 잡히지 않는다.

책 표지의 그림과 책 제목에 있는 성균관이라는 단어를 보았을 때 개저녀기는 아마도 천민출신 아이의 이름으로 생각된다.

개저녀기라는 아이가 성균관에서 있었던 이야기를 그린 책으로 보였다.

 

이 책을 쓰신 최영희 작가의 작품 이력을 보니 '슈퍼 깜장봉지'가 있었다.

올해 읽었던 어린이 책 중의 하나이고, 재미와 교훈을 함께 준 책이었다.

그래서, 이번에 읽게 된 '오늘도 개저녀기는 성균관에 간다'라는 책도 재미와 교훈이 기대가 되었다.

 

이야기의 시작 부분에 한눈으로 보는 성균관 지도가 나온다.

조선시대 대학교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배경은 성균관이다.

성균관에서 공부를 하는 유생들과 그 유생들의 뒷바라지를 하며 돕는 직동과 수복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 동화의 주인공 개저녀기는 새내기 직동이다.

성균관의 직동들은 성균관 유생들을 위해서 세숫물을 떠오고, 청소를 하고, 식사를 챙겨주는 등 여러가지 뒷바라지를 한다.

달리 말하자면, 성균관 국비 장학생들을 위한 도우미들이다.

성균관 유생들을 위한 직동들이 있었다는 것은 이 책을 읽으면서 처음 알았다.

조선시대에도 역시 공부를 잘 해야 대접받는 삶을 살 수 있었던 것 같다.

지금도 그렇지만...

 

개저녀기는 직동들 사이에서 차별을 받는다.

반촌 출신이 아니라는 이유에서이다.

반촌은 성균관을 둘러싸고 있던 마을의 이름이다.

개저녀기는 원래 버려진 아이였는데, 지금의 아버지가 데려다가 열 살까지만 키우기로 했었다.

그래서, 원래 반촌 출신인 직동들은 개저녀기가 언젠가는 반촌에서 나가야 한다면서 차별을 한다.

 

개저녀기의 이름은 개 저녁 밥 줄 때 태어나서 지어진 이름이다.

한자 이름이 없다.

개저져기는 슬픈 운명을 가지고 살아가지만, 심성은 밝고 착한 아이이다.

 

개저녀기가 돌보는 유생은 성삼문이다.

성삼문(成三問)의 이름에는 특별한 의미가 담겨져 있었다.

성삼문이 태어날 때 하늘에서 "태어났느냐?"를 세 번 물으며서 하늘에서도 눈여겨 보는 분이라는 의미에서 지어진 이름이라고 한다.

위대한 분의 이름에는 그만큼의 위대함이 담겨져 있었던 것이다.

 

성삼문 선생은 이 책에서 공부를 열심히 하는 바른 마음을 가진 착한 유생으로 그려졌다.

집현전 학자이며 사육신이셨던 그 분의 삶을 보았을 때 아마 그렇게 유생 시절을 지나갔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성삼문 선생의 열심히 공부하는 모습은 아이들에게도 좋은 본보기가 될 것 같았다.
개저녀기는 성삼문 선생을 정성으로 보살핀다.

개저녀기도 참 착한 어린이이다.

사람들이 모여사는 성균관 안에서도 역시나 사건들이 발생하고, 또한 괴롭히는 사람과 괴롭힘을 당하는 사람들이 있다.

유생 중에 늦깍이 유생 한 명은 담뱃대로 직동들을 때리며  괴롭힌다.

그리고, 직동들 사이에서도 다른 직동들을 괴롭히는 직동이 존재한다.

사람 사는 곳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모두 같은 모양이다.

하지만, 그런 곳에 성삼문 선생과 개저녀기와 같은 착한 심성을 가진 사람도 존재하는 것도 예전이나 지금이나 같은 모습이다.

 

개저녀기는 어떤 사건의 범인으로 누명을 뒤집어쓰고, 나무에 묶이는 벌을 받고, 성균관 직동에서 쫓겨날 처지가 된다.
개져녀기는 그 사건의 진짜 범인을 알지만, 말하지 않는다.

그 진짜 범인 뒤에는 그 사건을 배후조종한 유생이 있기 때문에 그 진짜범인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성삼문 선생도 개저녀기의 그런 마음을 이해해준다.

 

"개 저녁밥 줄 시간에 하늘엔 저 별이 뜬다. 그래서 사람들은 저 별을 개밥바라기라고 부른다. 앞으로 네 이름을 그릴 때는 꼭 개밥바라기를 그려 넣어라. 개밥바라기는 밤하늘에서 가장 크고 빛나는 별이다. 넌 좋은 이름을 가졌다."

성삼문 선생이 나무에 묶여 있는 개저녀기에게 해 준 말이다.

한자 이름이 없는 개저녀기는 자기 이름을 쓸 때 개, 밥, 달을 그렸었었다.

누명을 기꺼이 뒤집어 쓰고 이를 감당해내는 개저녀기에게 성삼문 선생이 주는 선물같은 말이었다.

개저겨기는 개밥바라기처럼 빛나는 아름다운 아이였다.


개저녀기가 누명을 썼던 사건의 진짜 범인과 배후 조종자가 밝혀지고 사건이 어느 정도 해결이 되고 대책이 마련된다.

진실이 밝혀지면서 성균관에서 쫓겨날 뻔한 개저녀기는 다행히 쫓겨나지 않게 된다.

결론은 해피엔딩...

개저녀기는 다시 성삼문 선생을 만나러 성균관으로 향한다.

 

아이들과 함께 조선시대의 성균관을 상상하면서 양반과 천민의 삶을 생각하며 읽을 수 있는 책이다.

그리고, 성삼문 선생의 유생 시절을 보면서 살짝 성삼문 선생의 전기문의 느낌도 있었다.

열심히 공부하는 유생들, 그 뒷바라지를 하는 개저녀기, 그리고 사람 사는 세상에서 항상 존재하는 사건들을 이 책에서 만날 수 있었다.

책 후반부에는 성균관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한 해설이 부록처럼 실려져 있고, 이 책을 읽으면서 함께 생각을 나눌 주제도 다루어지고 있다.

양반과 천민...

같은 사람인데, 그렇게 분류가 되었다는 것은 참으로 속상한 역사이다.

물론, 지금도 눈에 직접적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신분에 대한 구분은 어느 정도 존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기도 하다.

사람 사는 세상에서 구분과 차별은 어쩔 수 없는 것인가 하는 생각에 안타깝다는 마음이 든다.

 

이 책은 성균관을 배경으로 한 공부하는 유생과 일하는 직동들의 일상과 사건들에 대한 이야기 속에서 재밌게 읽으면서 작은 교훈들을 만날 수 있는 좋은 동화이다.

책을 다 읽고 난 후 책속의 잔잔한 이야기들을 떠올리면서 이 세상이 착한 사람들만이 존재하는 아름다운 사회가 되었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 오늘도 개저녀기는 성균관에 간다 독서후기 포스트는 푸른숲주니어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읽은 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