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미솔 박미희의 김치 이야기 : 제주 김치
박미희 지음 / 디자인하우스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인의 필수 반찬인 김치를 다룬 책이다.

저자는 연 매출 400억원 규모의 도미술식품이라는 김치회사를 만들어 내었다.

저자가 만든 도미솔김치는 각종 대회에서 여러 번 수상을 하였고, 여러 판매 채널에서 판매량 1위를 차지한 유명한 김치라고 한다.

책 제목에 제주 김치라는 말이 있듯이 이 책에서 다루는 김치는 제주의 맛이 담겨진 김치이다.

책에서는 전통 제주 김치를 소개하고, 제주 식재료로 만든 김치를 소개하고 있다.


제주에 이렇게 특별한 김치가 있다는 것을 이 책을 보고서 알았다.

제주가 김치도 유명했다.

이 책에 맨 처음 등장한 김치가 놈빠김치이다.

이름이 참으로 특이하다.

놈빠는 무의 제주도 방언이다.

놈빠김치는 결국에는 무 김치이다.

책에는 주재료와 양념재료를 준비하는 방법부터 김치풀 쑤는 방법, 기본양념 준비법을 먼저 설명한 후 여러 종류의 김치별 재료, 담그는 법, 더 알아보기, 김치 생각 순으로 설명해주고 있다.


재료를 준비하고 담그는 법을 따라하면 맛있는 김치가 만들어질 것 같다.

저자에게 김치는 단순히 음식이 아니라 그 이상이다.

김치를 소개하면서 '김치생각'이라는 글을 써서 저자의 김치에 대한 애정을 표현했다.

김치 생각에는 저자의 어렸을 때 추억이 있고,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이 있었다.

그래서, 이 책은 김치 요리책이면서 김치 에세이책이라고 해도 될 책이다.

맛있는 김치를 담그는 법과 저자의 김치에 대한 생각이 잘 버무려져 담겨있는 김치 책이라고 해야할 것 같다.

김치에 대한 지식을 넓혀준다.

요즘 김치에는 양파를 사용하는데 원래 양파는 김치의 재료는 아니었는데, 김치 공장들이 원가 절감과 당도 보완을 위해서 양파를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김치를 담글 때 김치풀을 사용하는데 김치풀 만드는 법이 나와 있는 점이 좋다.

메밀풀, 차조죽, 보리죽을 만드는 법을 설명해주었다.

3개의 파트 각 2개씩 총 6개의 챕터에 총 42개의 김치 레시피와 담그는 법이 설명되어 있다.

각 김치별로 저자의 김치 생각은 모두 쓰여져 있다.

제주 김치의 모든 것을 담고 있다고 해야할 것 같다.

놈삐김치, 데유지동치미, 더덕김치, 빼데기김치, 패만오김치, 세우리김치, 구억배추김치, 돌미나리김치, 유채꽃물김치, 조선오이꿩마농김치, 뎅유지물김치, 밀감김치 등이 나온다.

이름만 들어도 제주 김치라는 것이 느껴지는 김치들도 여러 개 있다.

담그는 법이 간단한 것도 있고, 좀 복잡한 것도 있다.

신기한 김치들이 있다.

과일을 사용한 과일 김치가 있고, 생선을 사용한 생선 김치가 있고, 해조와 패각류를 사용하는 김치도 있다.

생선 김치에는 조기김치, 갈치김치, 자리물김치, 멜김치, 문어김치, 해산물복주머니김치가 있다.

생선 김치와 해조 김치, 패각류 김치는 일반인이 담그기에는 상당히 어려운 김치로 보였다.

내가 갓김치를 좋아하는데 청갓김치를 담그는 법도 소개되어 있다.

제주에서는 청갓을 갯나물이라고 말한다.

김치 담그기를 시도하는 좋은 가이드북이다.

제주가 아니라도 제주 김치를 담가볼 수 있도록 잘 설명되어 있다.

그냥 요리책이 아니고 요리책 이상이다.

김치 레시피와 함께 저자의 추억 레시피가 곳곳에 있어서 그런 것 같다.

맛있는 사진이 식욕을 자극하고, 친절한 설명이 김치 담그기 도전을 유혹하는 책이다.

주말에 아이와 함께 김치 담그기에 도전해보고 싶어진다.

맛있는 제주 김치를 직접 담가서 맛을 느껴보고 싶어진다.

※ 출판사에서 책만을 제공받아 읽은 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