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지구력 - 삶의 경로를 재탐색하는 발칙한 끈기에 대한 이야기
윤홍균 지음 / 21세기북스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에 자존감 열풍을 일으키신 윤홍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선생님은 내가 좋아하는 작가이면서 의사이다.

자존감 수업 책을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윤홍균 원장님의 블로그 글을 보면서 그 분이 주는 메세지를 잘 받아들이며 내 마음에 새기고 힘을 얻고 있다.

윤홍균 원장님의 책을 제대로 읽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어떤 책일까 궁금했고 기대도 많이했다.

책을 읽어보니 기대에 충분히 부응했고, 자존감 수업 책이 일으킨 자존감 열풍이 당연한 현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책의 부제목은 '삶의 경로를 재탐색하는 발칙한 끈기에 대한 이야기'이다.

제목과 부제목은 특별하면서 특이하게 보이지만 내가 느끼는 이 책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가져야 할 멘탈력이라고 하면 될 것 같다.

제목이 마음 지구력이라고 해서 뭔가를 꾹 참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거나 그러지는 않는다.


이 책을 읽으면서 좋았던 점은 윤홍균 원장님의 삶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가 많이 언급되었다는 점이다.

정신과 의사 선생님이 '나는 이런 사람이다. 나도 이렇다'라는 말씀을 해주시니 공감이 많이 되었고, 정신과 의사 선생님도 저렇게 살아왔다고 말씀하시는데 하물며 일반인인 내가 이런 고민 저런 고통을 느끼며 삶을 헤쳐나가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과정이라는 그런 위로가 되기도 했다.

이 책은 성공에 대한 책이라고 말하셨다.

실패를 딛고 회복하고 성공할 수 있는 힘으로 첫째는 지구력, 둘때는 공감 능력, 셋째는 적응력이라고 했다.

지구력 / 공감 능력 / 적응력

사람들은 왜 실패를 할까?

윤 작가님은 실패를 소진이라고 말했고, 소진 증후군(번아웃)을 막는 것이 실패하지 않는 길이라고 했다.

진료를 하면서 만나 사람들의 소진에 대한 이야기를 말해주셨고, 한국인이 소진 증후군에 특히 취약하다고 했다.

그것은 한국이 가진 지형적인 영향으로 한국인은 무더위와 강추위를 매년 겪어야 하니 부지런해야 한다는 강박이 심하다고 한다.

그래서 힘들면 힘들다고 말해야 한다고 한다.

정신과 의사가 쓴 책 답게 책 중간 내용부터는 정신과학적인 내용들이 나온다.

편도체, 해마, 자율신경계가 나오면서 생리학적인 설명이 곁들여졌다.

마음 지구력을 가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은 해피엔딩적 인생관을 가지라고 했다.

생각은 긍정적으로 하고, 생활도 긍정적인 것을 가까이 하라고 했다.

드라마를 보더라도 희망적인 요소가 많은 것을 보면서 해피엔딩을 보며 보상 중추를 활성화시켜야 한다.

윤 작가님은 영화 맘마미아,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 드라마 스물다섯 스물하나를 성장 드라마라고 추천했다.

살면서 만나게 되는 주변 사람들을 분류하여 그 특징에 맞게 대응해야 한다는 점은 익숙한 이야기면서도 신선하게 느껴졌다.

무지인 / 지인 / 친구 / 연인 / 가족

"일단 가까울수록 좋은 게 아니라, 적당한 거리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쓸데없는 에너지 낭비를 줄이면서 관계의 틀 안에서 최선을 다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p.91)"

책 중간부터 마음 지구력을 늘리는 구체적인 방법이 나온다.

첫번째는 잘 자야 한다.

눈 감고 머리는 기대기 / 기상 시간 지키기 / 오전 중에 햇빛을 쬐기 / 나는 잠을 자고 싶은 사람이다

두번째는 체력을 길러야 한다.

잘 먹고 운동을 해야 한다.

세번째는 잘 놀아얀 한다.

그 다음은 방어력과 공감능력이다.

방어력의 핵심이 공감능력이라고 한다.

무엇인가를 선택할 때는 "이게 내 마음에 공감을 주나?"를 기준으로 선택하라고 한다.

"그랬구나"라는 말을 많이 해주는 사람을 만나고, 사랑하는 사람에게는 "그랬구나"를 많이 해주라고 조언했다.

자신과 타인의 감정 문제게 공감해 주는게 자기 방어의 핵심 능력이라고 한다.

"멘탈이 강하다는 건 감정을 느끼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다. 감정에 대한 대책이 있다는 뜻이다.(p.158)"

인생은 새옹지마이다.

쓸모없는 나무가 한 구루 있었는데 아무도 베어가질 않으니 제일 오래 살았다.

인생은 멀리서 보면 희극,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다.(찰리 채플린)

실천하는 게 말하는 것보다 낫다.(벤저민 플랭클린)

처음부터 겁먹지 마요. 막상 가보면 아무것도 아닌 게 세상에는 정말 많아요.(김연아)

있으면 좋은데, 없어도 된다.(백종원)

책에는 방어력을 낮추는 잘못된 습관들을 나열해주었다.

방어력을 높이려고 노력하는 것보다 낮추는 습관을 제거하는 것이 방어력을 높이는 것이다.

자신이 약하다고 생각하지 말자.

흑백논리를 갖지 말자. 이럴 수도 있고, 저럴 수도 있다.

도움을 받는 것을 거부하지 말자.

완벽주의를 버려야 한다.

책을 읽으면서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 이야기가 나올 때 윤 작가님은 대중적인 드라마도 많이 보신다는 것을 알았다.

최근에는 드라마 고려 거란 전쟁을 보고 있다는 말도 나왔다.

현대 한국 사회에서 필요한 것은 이제 적응력이라고 한다.

빠르고 복잡하게 돌아가는 지금 이 시대에 가장 필요한 것은 민첩한 적응력이라는 것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지조 있는 선비나 늘 용맹스러운 장수보다 민첩한 적응력을 가진 사람이 더 매력적인 시대라고 한다.

책을 읽으면서 좋았던 점은 윤 작가님의 학창시절 이야기가 많이 있었다는 점이다.

의사가 되기까지 완벽한 삶을 살았을 것 같았는데 그렇지는 않았고 지극히 인간적인 삶을 사셨고 실패도 성공도 모두 경험하셨다.

인간적인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는 점이 참 좋았고, 그 점에서 이 책에 쓰여진 내용들에 더 공감이 되었다.

"너무 겁내지도 말고, 너무 자만하지도 말자. 최대한 긍정적으로 생각하면서 앞으로 가자. 확신이 들면 어찌할 것이며, 그렇지 않으면 또 어찌할 것인가. 좋은 뜻을 품고 열심히 하자. 세상과 자신을 사랑하면서 웃으면서 가자. 그것 외에 다른 방법이 있다면 그렇게 하겠지만, 대안이 떠오르기 전까지는 그렇게 살자.(p.329)"

기대 이상의 책이었다.

많은 위로, 많은 격려, 많은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책이었다.

내 마음에 회복력, 지구력, 적응력, 공감능력이 늘어난 것 같다.

성공의 길은 멀리 있는 게 아니고 내 곁에 아주 가까이에 있음을 다시 느낀다.

그 성공이 크든 작든 그 길은 내 바로 앞에 있고 그냥 그 길을 가면 된다.

※ 책과콩나무카페 그리고 출판사에서 책만을 받아서 읽은 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