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제도, 조선을 들썩이다 푸른숲 역사 퀘스트
이광희.손주현 지음, 박양수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거제도를 다룬 청소년용 역사책이다. 

과거가 지금의 대학입시보다 쉬웠을까 하는 질문으로 시작한다.

과연 그럴까?

일단, 결로은 그렇지 않다이다.

옛날의 과거도 지금의 대학입시만큼 힘든 시험이었다. 


이 책은 과거제도에 대한 한국사적 의미와 세계사적 의미를 모두 다룬 책이다.

청소년용 책이라서 읽기 쉽게 설명해주고 있지만, 과거제도에 대한 역사 내용만큼은 매우 자세하고 풍부하게 담고 있다.

또한 과거제도와 연관된 역사를 보는 것은 작은 보너스이다.

 

과거는 고려 광종 때부터 조선 고종 때까지 약 천년 동안 시행된 시험이다.

선비들의 출세를 위한 유일한 길이었고, 그래서 경쟁률은 매우 매우 높았다.

과거제 도입의 목적은 시험으로 인재를 뽑아서 이들을 왕이 자기세력으로 키워서 왕권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정치적인 목적이 다 있는 것이었다. 


우리나라 고려시대부터 시행된 과거제도에 대한 역사를 잘 서술하고 있는 책이다.

역사공부에 도움이 되는 내용이 많고, 어렵지 않게 과거제를 중심으로 역사를 풀어나가기 때문에 역사 참고도서·교양도서로서의 의미가 있는 책이다. 

쌍기, 4군6진, 삼사, 붕당정치, 이황, 집현전, 정조, 고종, 실학, 김구, 이승만 등 다양한 역사의 키워드가 다루어지고 있다.


양인은 원칙적으로 과거 응시가 가능했지만 농사짓는 일에 바빠서 실제로는 준비하고 응시할 시간적 여유가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과거시험은 오롯이 양반들의 차지였다고 한다. 


서얼에 대한 의미를 이 책에서 배웠따.

서자는 양반남자와 양인첩에서 태어난 사람이고, 얼자는 양반남자와 천인첩에서 태어난 사람이고, 이들을 아우르는 말이 서얼이라고 한다.


과거제는 여러 종류가 있었다. 

소과, 대과, 초시, 복시, 전시...


이퇴계 선생도 떨어진 적이 있는 과거시험이라고 한다.

과거시험이 결코 쉽지 않았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유럽의 과거제도 역사에 대해서도 알려준다.

세계 대학의 역사도 알려준다.

중세시대부터 대학이 존재했고, 유럽에서는 신학, 철학, 법학, 의학을 교육시켜서 성리학 중심의 조선과는 완전 다른 교육을 했다.

실용학문을 등한시 한 조선의 역사가 아쉬웠다.


잡과가 어떻게 전문직으로 변천하였는가도 설명해준다. 


과거응시-과거합격-관직으로 가는 절차를 단계적으로 설명해주고, '멍 선비'를 인물로 등장시켜서 사례를 들어서 이야기식으로 설명해주기도 한다.


과거에 합격해서 관리가 되어 거치게 되는 마치 신입관리 신고식과 같은 신참례는 매우 나쁜 관습이었다. 

지금도 어딘가에 있는 못된 문화가 아주 오래전부터 이어진 악습이라고 하니 씁쓸하다. 


과거제 vs. 음서제 vs.천거제

표를 그려서 설명해준다.

이율곡 선생과 이퇴계 선생은 과거제 출신이다.

황희 아들 황수신은 음서로 관직에 올라 영의정까지 갔다고 하는데, 황희 정승 아들이 음서제 출신이라는 것은 살짝 놀라움을 주었다.

장영실은 천거제 출신이다.


조선시대 과거시험에도 많은 부정행위가 있었음을 알려주는 내용에서는 쓴웃음이 났다.

베껴쓰고, 대신 시험보고, 책보고 답을 쓰고, 답안지를 바꿔치고, 시험문제를 유출하고, 부정 채점을 하는 일들이 많았다고 한다.


권세가의 과거제도 부정행위로 과거제의 목적과 의미는 많이 퇴색해지고 폐단에 대한 지적이 일어났고, 과거제 개혁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권세가, 불만가, 실학자의 끝장토론 내용은 실제 토론을 연상시키는 대화형 서술로 흥미와 의미를 전달해주었다. 

정해진 형식의 내용만 달달 외워서 보는 시험은 한계가 있다는 실학자들의 주장은 설득력이 있었다. 


이 책을 읽어보니 조선시대에도 금수저가 있었고, 지금도 그러함이 씁쓸한다.


'압권'과 '관광'은 과거제와 관련된 단어였음을 알았다.

압권 = 종이를 누른다 = 과거 시험 채점이 끝나면 제일 뛰어난 답안지를 맨 위에 올려 임금에게 바침 = 혼자 월등히 뛰어나다.

관광 = 빛을 본다 = 빛은 임금, 과거시험에 급제해 임금의 얼굴을 보고 오겠다는 뜻으로 관광하러 간다고 했다.


이렇게 새로운 의미들을 책을 통해서 알게되는 것은 매우 흥미롭고 유익하다.

그래서 책을 읽는다.


조선말에 결국 과거제는 폐지가 되고 고등문관시험이 등장하고, 일제강점기가 되면서 경성제국대학 입학시험이 등장하고, 사법시험과 행정고시가 등장하였다. 


책 마지막의 김구 선생, 이승만 선생에 대한 과거 시험에 대한 일화는 이 책에서만 볼 수 있는 색다른 이야기이다.

두 분 모두 과거시험에 불합격하였는데, 과거제 폐지로 결국 과거 급제를 경험하지 못했다. 


과거시험의 역사의 의미를 충실히 다루고 있는 책이다.

나도 그렇고 사람들은 종종 이런 생각을 한다.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사회 등 여러 과목 시험 준비를 해야하는 지금의 시험이 한 과목만 준비하는 조선시대 과거시험보다 훨씬 어렵지 않을까?

하지만, 이 책을 읽어보니 과거시험도 결코 만만치 않은 시험이었다.

어느 시대에나 어려움과 힘듦이 공존하고, 기득권과 약자가 공존하고, 금수저와 흙수저가 공존했다. 


역사도 공부할 겸 시험 제도의 의미도 살펴볼 겸해서 읽을만한 책이다. 

지금 입시를 준비하고 있는 중고등학생들이 읽으면 역사공부도 하면서 시험에 대한 상식도 넓히는 두 가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일석이조의 책이다.

 
※ 과거제도 조선을 들썩이다 독서후기 포스트는 푸른숲주니어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읽은 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