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어로 읽는 5분 한국사 - ‘짜장면’ ‘막걸리’ ‘도깨비’ 등으로 새롭게 역사를 읽는 시간! 단어로 읽는 5분 역사
김영훈 지음 / 글담출판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한국사를 좋아해서 한국사에 대한 책을 읽는 것을 즐겨하였고, 그동안 한국사 을 법 많이 읽었다.

한국사 책을 때는 재밌었는데, 읽고난 후 시간이 얼마 지나면 기억에 남는 양이 자꾸 줄어드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반면에 험 과목으로 한국사를 공부해야 하는 내 첫째아이에게 한국사는 재미난 대상이 아니라 부담스러운 대상이다.

시험공부를 하기 위해서 한국사를 알아가는 것과 재미로 한국사를 알아가는 진정 하늘과 땅만큼의 차이가 있음은 분명하다.

어떻게 하면 한국사에 대한 기억량을 높일 수 있을까 하는 희망과 어떻게 하면 첫째아이에게 한국사에 대한 재미를 높여줄 수 있을까 하는 마음에서 손에 잡은 책이 '단어로 읽는 5분 한국사' 책이다.

이 책은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로 재직중이신 김영훈 교수님께서 쓰신 책이다.

이 책은 단어의 원으로 한국사를 새롭게 바라보고 알게하는 것을 제안하는 책이다.

 

그 동안 시험과목으로 한국사를 공부한 방식인 시대순으로 나열한 연표에 치중한 한국사가 아니라 지금 현대인의 일상 생활에도 자주 사용되고 있는 수많은 단어(용어)들에 담겨진 어원속에서 우리나라 역사를 알고 한국사를 들여다 보게 해주는 책이다.

단어로 읽는 5분 한국사라는 제목은 단어의 어원과 역사를 통해서 한국사를 살펴보고 배운다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들은 어떤 것일까?

 

고대 시대 : 단골, 노래, 씨가 먹히다, 꼬드기다

 

고려 시대 : 참외, 굴비, 수박, 깡패, 소주, 반지, 설렁탕, 시치미, 후추

 

조선 시대 : 이판사판, 퇴짜, 영문을 모르다, 패거리, 거덜 나다, 참, 난장판, 공부, 전하, 흥청망청, 건달, 은행, 미련, 비빔밥, 건배, 청양고추, 고구마, 담배, 막걸리

 

근대 시대 : 탕수육, 땡전, 어영부영, 양배추, 전기, 독도, 코끼리, 버스, 트로트, 호떡, 개판 5분전

 

참 많은 단어들이 등장하고 있다.

지금 일상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말들이 많이 보였다.

이런 단어들이 역사적 의미와 어원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신기하다.

 

각 단어에 대한 설명은 4∼5페이지의 분량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5분 정도면 한 단어에 대해서 읽으면서 한국과 한국사를 공부할 수 있다.

어원, 한국사, 세계사, 작가의 생각이 담겨져 있어서 매일 하나씩 5분 정도 시간을 내어서 읽는다면 한국사에 대한 지식도 늘어나고, 상식도 늘어날 것 같다.

 

'단골' 단어는 원래 무당을 나타내는 말로서 단골의 어원은 '단군'이라고 한다.

단군을 한자로 옮긴 말이 단골이라니 처음 알게된 사실이었고, 읽으면서 놀랐다.

단골 어원 설명과 함께 우리나라 무속신앙에 대한 역사 지식을  설명해주고 있다.

 

'씨가 먹히다'라는 말은 실을 내어 옷감을 짜는 길쌈에서 유래한 단어인데, 길쌈을 할 때 씨줄과 날줄이 엮이며 옷감이 만들어지는데서 나온 말로 베를 잘 짰다는 것을 뜻한다고 한다. 씨는 과일의 씨가 아니라 길쌈의 씨였다. 길쌈을 설명하면서 우리나라 옷에 대한 역사를 함께 설명주고 있다.

 

'꼬드기다'는 연날리기에서 유래한 단어로 연줄을 잘 조절해 바람에 따라 움직이게 하는 것을 꼬드긴다라고 하는데, 연줄을 잘 다루는 실력이 사람의 마음을 움직인다는 의미로 확장된 것이라고 한다. 연은 삼국시대 이전부터 날린 것으로 추정되고 있고, 우리나라의 방패연은 세계적으로도 놀랍고 특별한 연이라고 한다.

 

'굴비'는 조기를 엮어 말리는 과정에서 머리와 꼬리가 쳐지는 모습이 굽은 등처럼 구부러져 보여서 '굽이'라고 말하는 것이 굴비로 바뀌었다고 한다. 굴비를 설명하면서 이자겸에 관한 역사를 알려주고, 명태에 관한 어원을 알려주기도 한다. 명태를 잘 말리면 북어, 얼리면 동태, 눈과 바람에 얼렸다가 녹이면 황태, 반쯤 말리면 코다리, 황태가 되지 못한 먹태로 다양하게 불리우는 명태이야기는 재미난 상식이기도 하다.

 

요즘 여름에 흔하게 먹는 수박은 서양에서 온 과일로서 고려시대에는 양반들의 과일이었고, 고려말에는 수박 한 통 값이 쌀 반 가마니 값과 같았다고 한다. 물이 많은 박이라서 수박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깡패'는 갱스터의 갱(gang)과 어울려 다니는 무리를 뜻하는 패가 합쳐진 말이라고 한다. 우리 역사에 조직화된 깡패의 등장은 고려 무신 정권기라고 한다. 무신 정권의 패단이 싫었던 경대승이 사병을 조직해 만든 도방이 우리나라 첫 조직폭력배라고 한다.  조선시대 수양대군을 도왔던 홍윤성과 그가 이끌었던 한양패도 깡패라고 할 수 있다고 한다. 김두한 이야기도 나오고, 건달, 양아치 얘기도 나오고 이 책이 다루는 분야는 벽이 없다. 한국과 한국사에 대한 재미난 상식들이 집대성되어 있는 책이라 생각된다.

 

태울 소(燒)증류 주(酎)로 구성된 소주는 원래 아랍에서 원산지라는 점과 지금 우리가 마시는 소주와 고려시대의 진짜 소주는 다르다는 점에서 소주를 역사적으로 자랑스러운 술이라 할지는 되물어야 한다는 점을 제기했다.

곡식으로만 증류하던 소주를 1965년에 정부에서 금하면서 에탄올에 물과 감미료를 섞은 지금의 소주가 만들어졌다고 한다.

 

책을 읽으면서 새롭고 인상적이었던 몇 가지 내용들을 정리해 보았다.

한 번에 이 책을 쭉 읽는 것보다는 매일 하나씩 천천히 읽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사물, 용어, 대화 속에 담겨진 단어들의 어원과 한국사를 알아가는 것이 재밌는 일이 될 것 같고, 이 책을 읽음으로써 나날이 늘어나는 상식들이 매우 유익하고 의미가 있을 것 같다.

 

수험과목 한국사를 싫어하는 아이에게 한국사에 대한 관심을 높여주려는 목적으로 이 책을 손에 잡았는데, 과연 그런 내 의도가 현실적으로 얼마나 효과를 낼지는 좀 미지수이다.

내가 읽어보니 이 책은 수험서적과는 좀 거리가 멀고, 역사서라기보다는 상식책이라고 하는 것이 더 적합할 것 같다.

한국사를 바탕으로 상식을 넓혀주는 책이 바로 이 책이다.

재밌게 그 동안 몰랐던 역사 상식을 알아가는 것이 이 책이 주는 재미이고 매력이다.​

 

5분 정도 읽으면서 일상 단어들의 어원과 한국사를 공부하는 이 책이 그렇다고 해서 내용이 가볍거나 부족하지도 않다.

4∼5페이지를 읽으면서 한국사, 세계사, 현대사 모두를 조금씩 맛볼 수 있고 넓은 지식을 얻을 수 있다.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단어들에 이렇게 많은 역사적 의미가 담겨져 있는 줄 몰랐다.

세상의 뭐든 그냥 허투루 만들어지는 것은 없으며, 모든 것들이 그들만의 사연과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이 책에서 언급된 소주, 탕수육, 설렁탕, 건배, 이판사판이 그런 것처럼 말이다.

 

개인적으로 역사와 상식의 폭을 넓히면서 다른 사람과 대화할 때 흥미로운 이야기 소재로  사용할만 한 이야기들이 참 많이 담겨진 책이다.

한국사를 통한 상식의 확장이 바로 이 책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감히 말한다.

 

※ 단어로 읽는 5분 한국사 독서후기 포스트는 책과콩나무카페 그리고 글담출판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읽은 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