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 현상학 뉴아카이브 총서 6
미셸 앙리 지음, 박영옥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시 한 번 환원이 전제되는 이유는 그것이 자기 자신의이전으로, 즉 보는 행위의 이전으로 절대로 가지 않기 때문이며, 환원은 사유가 보는 행위와 일치하고 그것에만 복종하고 그것의 내적인 목적론에 복종하는 것과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방법 전체, 현상학적인 방법은 환원과 더불어 그리고 지속적으로 그것에 의존하는 현상학의 출발점이다. - P103

증여로서, 주는 것donnante 으로서 증여가 스스로에게 자기를 주는 의미에서, 이런 의미에서만 자기-증여가 있다.
이 증여의 본래적인 자기-증여는 바로 절대적인 주체성의 스스로자기를 느끼고 견디는 것, 즉 주체성 그 자체, 즉 cogitatio이다. - P1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음악에서 무엇을 들어 낼 것인가 - 세계적 작곡가의 음악 사용 설명서 음악의 글 3
에런 코플런드 지음, 이석호 옮김 / 포노(PHONO)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화성은 리듬과 선율보다 훨씬 더 까다로운 요소입니다. 우리는 화음이있는 음악에 너무도 익숙해진 나머지 화성이 다른 요소에 비해 비교적최근의 혁신에서 비롯된 신참이라는 점을 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리듬과 선율은 인간이 지구상에 존재할 때부터 자연스레 구사해왔던 요소인 반면, 화성은 다분히 이지적인 개념에서 출발해 서서히 진화한 요소입니다. 그리고 그 최초의 개념은 인류 지성사를 통틀어 가장 독창적인것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 P109

화성의 발전은단연코 음악 역사상 가장 경이로운 현상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 P110

여기서 화성 발전의 역사를 전체적으로 조망하겠다는 뜻은 없습니다. 다만 화성이 태동된 양상을 알려 드리고 또한 그 이후로 화성이 꾸준히 진화해왔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을 뿐입니다. 원시적인 단계에서 비롯된 화성이 지속적인 성장과 변화를 겪어 지금에 이르렀다는 점을 이해하지 못하면 20세기의 혁신적인 화음이 함축하는 의미 또한 납득하지못할 것입니다. - P112

돌과 벽돌로 둘러싸인 고층건물도 살을 발라내고 나면 철골 구조가 나오듯, 잘 만든 음악 작품 역시 음악적 재료로 치장된 외관을 벗겨보면 단단한 구조가 드러납니다. 아래 깔린 화성의 뼈대를 찾아내고 분석하는 건 전문가의 몫일 테지만, 듣는 귀가 민감한 사람이라면 화성의느낌이 결여된 음악을 듣고서 대번 눈치를 챕니다. 비록 그 이유를 콕 짚어내진 못할지라도 말이지요. - P117

다. 화성 발전의 역사는 곧 끊임없이 변화하는 양상의 연속이었습니다.
아주 서서히 그렇지만 필연적으로, 우리의 귀는 갈수록 복잡한 화성과먼 조성으로의 조바꿈을 받아들이도록 길들여졌습니다. 화음의 선각자는 비단 20세기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거의 매 시대에 새로운 화음을 써내는 선구자들이 있었습니다. 17세기에는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Claudio Monteverdi(1567-1643)와 제수알도가 충격적인 화음으로 동시대인들을 경악케 했다면, 19세기에는 무소륵스키와 바그너라는 화성의 혁신자가 있었습니다. 이들 모두에게 해당되는 공통 사항이 하나 있습니다. 그들이 부려낸 새로운 화음과 조바꿈 기법은 다만 같은 화성 이론을 한층 폭넓게 이해한 결과였다는 점이 그것입니다. - P119

작곡가가 본능과 직관에 따라 쓴 음악이 언제나 먼저였습니다. 이론가는 작곡가들의 뒤를 따르며 그들의 생각에 담긴 논리를 설명해왔을 따름입니다. - P123

다만 협화음과 불협화음의 적절한 배합이란 건 결국 작곡가의 자유재량에 맡겨야 할 일이라는 점만큼은 강조하고 싶군요. - P124

음악에 있어 음색이란 음표를 만들어내는 매체에 따라 바뀌는 소리의 질입니다. 정의는 이토록 거창합니다만, 사실은 누구나가 익히 알고있는 것이 바로 음색입니다. 대부분의 사람이 흰색과 초록색을 구분하는 것처럼, 음색의 차이를 인식하는 능력도 우리 모두가 타고난 감각 능력의 일부입니다. - P127

똑똑한 감상자는 음색과 관련해 두 가지 중요한 목적점을 설정해야합니다. 첫째는 여러 다른 악기의 음색 특징에 대한 이해를 날카롭게 하는 것이요, 둘째는 작곡가가 특정 악기 혹은 악기 조합을 사용해 어떤표현을 하고자 하는지 그 의도를 파악하는 일입니다. - P128

그렇다면 작곡가는 선택의 기로에 놓인 셈입니다. 특정 악기를 선택하는 기준이 과연 무엇일까요? 기준은 단 하나입니다. 악상이 내포한 의미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음색을 가진 악기를고른다는 겁니다. 다시 말해, 특정 악기가 가진 표현적 가치를 지표 삼아선택한다는 거지요. 하나의 악기를 선택할 때도 그렇지만 여러 악기의조합을 통해 악상을 표현할 때도 이와 같은 기준을 따릅니다. 오보에 대신 바순을 낙점하는 결정에도, 현악 앙상블과 풀 오케스트라 편성을 저울 양쪽에 올려놓고 견주는 과정에도 적용되는 기준이라는 겁니다. 이모든 결정의 순간에 작곡가가 바라보아야 하는 지표가 되는 것이 바로그가 전달코자 하는 표현적 의미라는 뜻입니다. - P129

피아노는 누군가가 ‘모든 음악 작업의 시녀‘라고 부르기도 했듯이,
어쨌든 부릴 수 있으면 참 써먹을 곳이 많은 악기입니다. 다양한 악기를대신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녔고, 심지어는 전체 오케스트라 대용으로 쓰이기도 하지요. 하지만 피아노 그 자체로서의 존재감도 상당합니다. 즉오로지 피아노라는 악기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이 있다는 말입니다. 작곡가들은 피아노곡을 쓸 때 이 악기가 가진 본질적인 속성을 최대한으로 끌어내려고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그 본질적인 속성이 무엇인지살펴보도록 합시다. - P133

피아노는 1711년경 크리스토포리Bartolomeo Cristofori(1655-1731)라는 사람이 발명했지만, 작곡가들이 페달의 속성을 십분 이해하고이를 살리는 식으로 곡을 쓰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중반이 되어서였습니다. 쇼팽과 슈만,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는 피아노라는 악기가 가진 특이점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피아노곡의 명장이었습니다. 프랑스에서는 드뷔시와 라벨이, 러시아에서는 스크랴빈AleksandrScryabin (1872-1915)이 쇼팽과 리스트의 전통을 계승했습니다. 공명하는 현의 무리로 이루어진 악기인 피아노는 관능적이고 벨벳처럼 부드러운 소리를 낼 수도 있고, 댐퍼를 댄 채로 연주하면 찬란하게 빛을 내며똑 부러지는 소리도 낼 수 있습니다. 위에 나열한 작곡가들은 피아노의이러한 천변만화하는 특성을 몸으로 이해한 이들이었습니다. - P134

최근에는 흔히 사용되지 않던 편성으로 실험을 하는 작곡가들이 늘고있습니다. 성공작도 있고 실패작도 있지만요. 가장 독창적이고 성공적인사례 가운데 하나로 스트라빈스키의 발레곡 <결혼Les Noces>을 들 수 있겠습니다. 네 대의 피아노와 열세 대의 타악기를 조합해 참신한 성과를일궈낸 곡이지요. - P146

오케스트라의 음악을 들을 때는 앞에서 말한 네 가지 주요 섹션의상대적 중요성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팀파니 주자의 익살스러운 행동이 아무리 눈에 들어온다고 해도 최면이라도 걸린 듯 거기에만 시선이고정되어선 안 됩니다. 가장 앞쪽에 배치된다는 이유만으로 현악기군에만 정신을 팔아서도 곤란합니다. 관현악곡을 듣는 나쁜 버릇으로부터스스로를 해방시키려 노력하십시오. 오케스트라 작품을 들을 때는 소리그 자체의 아름다움을 만끽하는 것 외에도 반드시 해야 할 일이 있습니다. - P147

다. 주요 멜로디와 이를 둘러싸고 있는 보조 재료들을 분리해서 인식하려는 노력이 그것입니다. 멜로디 라인은 한 섹션에서 다른 섹션으로 넘어가거나 한 악기에서 다른 악기로 넘어가는 식으로 운용되는 게 보통입니다. 듣는 이는 정신을 바짝차리고 선율의 궤적을 놓치지 않고 따라갈 수 있어야 합니다. 작곡가는 악기군의 음향 균형을 세심히 맞추어 듣는 이가 길을 잃지 않도록 배려해야 하고, 지휘자 역시 연주의 제반 여건을 고려하여 작곡가가 의도한 밸런스를 실현해야 합니다. 하지만 아무리옆에서 멍석을 깔아주고 상을 차려 놓아도 정작 듣는 이가 반주부의 소리 뭉텅이에서 선율을 떼어내 듣질 못한다면 모두 허사가 되겠지요. - P148

음악에서 무엇을 들어 낼 것인가에 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음악의 텍스처를 구분해낼 줄 알아야 합니다. 텍스처를 기준으로 음악을 나누면 크게 세 가지 분류가 가능합니다. 모노포니monophony, 호모포니homophony, 폴리포니polyphony가 그것입니다. - P1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질 현상학 뉴아카이브 총서 6
미셸 앙리 지음, 박영옥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래서 머무는 것은 성장이다. 성장은 삶의 본질과삶의 주체성에 의해 그리고 그것 안에서 완성되는 삶의 운동이다. - P83

삶을 만남으로 던지는 것이 항상 감정의 힘 2이라는 것을, 그리고 삶이 던져지는 만남이 무엇이든지 간에 그것은 항상 감정의 힘이며, 그것의 가능성과 정감을 취할 때까지 강화하고 성장시키는 것이라는 사실을 지각하지 못할 때, 삶 전체는 그발바닥에서 머리끝까지 변질되며 삶의 의미는 상실된다. - P85

물질 현상학이 근본적인 방식으로 문제 삼는 것은 ‘최초의내용‘이 된 물질, 형상과 상호작용하는 물질, 지향적 인식 작용이된 물질의 개념이다. - P87

질료 현상학과의 대립에서 이해되는 물질 현상학의 ‘물질‘은 더는 현상성과 다른 것이 아니라 그것의 본질을 지시한다. 물질 현상학은 그것이 순수한 증여 안에서 자신의 자기-증여를 주제화하고그것을 설명하는 한에서, 근본적인 의미에서의 현상학이다. - P8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음악에서 무엇을 들어 낼 것인가 - 세계적 작곡가의 음악 사용 설명서 음악의 글 3
에런 코플런드 지음, 이석호 옮김 / 포노(PHONO)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멜로디는 음악이라는 창공을 이루는 요소 가운데 리듬 다음으로 중요한 위치를 점합니다. 어떤 평론가의 말마따나, 리듬이 우리 몸동작과 관련된 상상력의 산물이라면 선율은 감정 및 정서 상태와 연관됩니다. 리듬과 선율이라는 두 가지 가장 기초적인 요소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서로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신비합니다. 훌륭한 멜로디가 우리를 감동시키는 힘을 가진 이유는 지금까지 그 어떤 분석과 연구도 속 시원히 설명해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니, 이유는 고사하고, 심지어는 ‘홀륭한 멜로디란 이런 것이다‘ 하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형편도 되지못합니다. - P96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선율이 가진 표현적 특징이 듣는 이의 감정을 움직여야 한다는 점입니다. 선율에 있어 가장 예측하기 힘든 자질, 그 어떤 지침으로도 가르칠수 없는 자질이 바로 이것입니다. 단순히 골격만을 놓고 볼 때, 모든 훌륭한 선율은 ‘없어도 좋은‘ 음표를 덜어낸 뒤에 남는 핵심적 음표라는 골조를 가집니다. - P99

드뷔시는 가닥을 잡기 힘든 파편적인 선율적 재료를 바탕으로 음악을 지어 올렸습니다. 스트라빈스키의 멜로디는 그 자체만 놓고 보면 상대적으로 중요성이떨어져 보입니다. 초기작의 선율은 러시아 민요 스타일이 지배적이고, 후기작의 멜로디는 고전시대와 낭만시대의 모델을 따른 경향이 짙습니다. - P105

게다가 선율을 써내는 재능 역시 작곡가별로 천차만별입니다. 멜로디가 훌륭한가의 여부가 작품을 평가하는 유일한 기준이 되어서도 곤란합니다. 흡사 선율이 끊임없이 샘솟는 화수분이라도 가진 듯 보였던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Sergei Prokofiev (1891-1953)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가 스트라빈스키보다 더 심원한 음악을 쓰는 작곡가라고 말할 수 있는사람은 많지 않을 겁니다. - P1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질 현상학 뉴아카이브 총서 6
미셸 앙리 지음, 박영옥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경험은 본래적으로 그리고 그 자체로 자기에의 고유한 도래이며, 드러난 모든 것이 자신의 본성, 자신의 법칙들, 그리고 결국 그것들의 존재 이유를 빚지고 있는 어떤 최초의 나타남이다. - P52

시간의 현상학은 계시의 힘을 전적으로 탈자적 증여에 맡기기위해, 인상에서 그 힘을 제거하는 인상의 현상학이다. - P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