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는 인간의 자존감과 자신이 타인보다 선천적으로 우월하거나 열등하다는 신념이 본인이 속한 사회적 속성의 다양한 구조적 변화에서 어떻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51면)
우정이 건강에 미치는 바람직한 영향력은 상당부분 스트레스감소와 사회적 안락social ease의 증가에서 비롯될 가능성이 높다. 사회적 안락의 증가란 ‘교제를 피해 혼자 지내는 경향이 줄어드는현상을 의미한다. (46면)
수줍음을 탄다는 말은 자의식의 상승과 더불어 타인과의 관계에서 어색함과 불안, 사교 능력에서 자신감의 부족을 느낀다는 뜻이다. 이는 사고 과정을 방해하는 수준의 스트레스를 유발한다.(33면)
현재 부유한 선진국은 남들이 자신을 어떻게 보고 판단할까라는 걱정, 심리학 용어로 ‘사회적 평가 위협social evaluative threan 이라는 문제가 개인들의 삶의 질과 인생 경험에 대단히 심각한 부담을 주는 사회다.(31면)
이 책은 자기계발서가 아니므로 자신감과 수줍음의 개인차를유발하는 개인적 원인은 깊이 논하지 않을 것이다. 대신 사회적억제(social inhibition, 어떤 상황이나 사회적 상호작용을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회피하는 현상 옮긴이)가 손쉽게 촉발되는 이유를 파악해서 모든 사람의행복 증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이 책은 기본적으로 사회의 ‘수직적 불평등‘에 초점을 맞춘다.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