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픈 사회를 넘어 - 사회적 웰빙의 가치와 실천의 통합적 모색
조병희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렇다고 직장이 자신의 이상과 꿈, 비전을 구현할 수 있는 곳도아니다(남성 2·7). 내 생활과 삶도 없이 일만 하도록 요구받다 보면건강이 나빠진다(남성 3·5), 휴식이 필요하다. 그러나 휴식마저 쉽지않다. 휴식을 하려면 아예 일을 쉬어야 하고 재취업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남성 5는 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아프자 권고사직을 당했다.
남성 3은 사직서를 제출한 후에야 쉴 수 있었다.

(227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픈 사회를 넘어 - 사회적 웰빙의 가치와 실천의 통합적 모색
조병희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먼저 여성들이 전달하는 이야기를 들어보자. 여성들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직면하는 어려움을 요약하면 이렇다. 여성들은 결혼을 하고 아내, 며느리, 어머니가 되는 일 자체가 도전이다. 불안정한 직장을 견뎌내야 하는 삶도, 사회가 요구하는 획일화된 모습을 받아들여야 하는 과정도 난관이다. 또 사람과 관계 맺기도 늘 신경 쓰인다.

(216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픈 사회를 넘어 - 사회적 웰빙의 가치와 실천의 통합적 모색
조병희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년들이 사회에서 겪는 버거움을 읽어내려면 한 가지 방법이 더 필요하다. 사람은 사회 구성원으로 안정적으로 소속되었을 때 잘 살 수 있다는 개념이다. 사람은 사회로부터 따로 떨어져 살 수 없다.
사람으로 인정받는 공동체, 장소가 필요하다, 사람이 사회 성원으로 인정되려면 사회 안으로 들어가야 한다. "사회가 그의 이름을 불 러주어야 하며, 그에게 자리를 만들어주어야 한다. 또 사회는 사 람의 외부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정체성으로 내재화된다.

(215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픈 사회를 넘어 - 사회적 웰빙의 가치와 실천의 통합적 모색
조병희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는 변했다. 어쩌면 청년들이 제아무리 열심히 해도 목표를 성취하기 어려운 사회를 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청년들이 경험하는 사회는 어떤 사회이며 그 속에서 어떤 도전들을 경험하는 것일까? 그 무게는 얼마나 버거운 것일까? 궁금하다.

(213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픈 사회를 넘어 - 사회적 웰빙의 가치와 실천의 통합적 모색
조병희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년 여성의 경우

취미가 확고하거나 안정적인 친구 관계가 있는 청년 여성은 이 순환 고리를 비교적 쉽게 빠져나오거나 균형감을 챙긴다.

(203-204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