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청진기가 사라진 이후 : 환자 중심의 미래 의료 보고서 - 환자 중심의 미래 의료 보고서
에릭 토폴 지음, 김성훈 옮김, 이은 감수 / 청년의사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로 환자를 모든 것의 중심에 두는 일이다. 이것이야말로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혁신과 발전으로 나가는 길이고, 전 세계적으로 보건의료의 임상, 상품, 정책을 개혁할 수 있는 길이다."
- 알렉스 고스키Alex Gorsky, 존슨 앤 존슨 CEO

-알라딘 eBook <청진기가 사라진 이후 : 환자 중심의 미래 의료 보고서> (에릭 토폴 지음, 김성훈 옮김, 이은 감수) 중에서

최고의 진료를 받는 것은 아마존에서 무언가를 주문하는 것과는 판이하게 다를 수밖에 없다. 그저 책 한 권을 사는 것이 아니라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자신의 건강에 관한 이야기니까 말이다. 하지만 이 둘을 잇는 공통의 맥락은 정보와 개인화individualization의 힘이다. 우리는 개개인이 각자의 의학 자료와 그것을 처리할 계산 능력을 자신의 세상이라는 맥락 속에서 소유하는 시대를 열고 있다. 뛰어난 접근, 분석, 전송이 가능한 한 개인의 포괄적 의료 정보가 만들어질 것이다

-알라딘 eBook <청진기가 사라진 이후 : 환자 중심의 미래 의료 보고서> (에릭 토폴 지음, 김성훈 옮김, 이은 감수) 중에서

사실 의사가 지식을 제일 많이 갖고 있는 것은 사실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렇다고 의사가 내 몸을 제일 잘 안다는 의미는 아니다. 새로운 모델에서는 정보가 더 이상 하향식으로 흐르지 않는다. 물론 자료와 정보가 그 자체로 지식은 아니다. 그리고 지식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의사는 계속해서 지식의 공급자로 남아 있게 될 것이다. 더군다나 의사와 환자 사이의 관계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바로 친밀감이다. 이것이 있어야만 환자는 자신의 비밀과 두려움을 의사들 앞에서 솔직히 드러낼 수 있고, 자신감을 높여 주고 치유를 북돋아 주는 의사의 솜씨를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친밀감은 양보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결코 잃어버려서도 안 될 부분이다.

-알라딘 eBook <청진기가 사라진 이후 : 환자 중심의 미래 의료 보고서> (에릭 토폴 지음, 김성훈 옮김, 이은 감수) 중에서

환자가 ‘환자patient’로 남아 있는 한 마찬가지로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없다.36 환자를 의미하는 영단어 "patient"는 "고통 받는 사람one who suffers"이라는 뜻으로 원래 "고통 받다"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동사 "pashkein"에서 유래하였다. 이 ‘patient’는 명사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의학적 치료를 받고 있거나 받기로 등록되어 있는 사람." 이 정의는 대단히 수동적인 역할을 암시하고 있다. ‘patient’가 형용사로 쓰일 때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지연, 문제, 고통 등을 짜증을 내거나 불안해하지 않고 받아들이거나 견딜 능력이 있는." 미국에서 의사를 보기 위해 병원에서 기다려야 하는 대기 시간이 평균 60분임을 생각하면 이 얼마나 적절한 정의인가. 그럼 환자를 ‘patient’가 아닌 무엇으로 불러야 할까 생각하려니 그것도 쉬운 일은 아니다. ‘고객’, ‘소비자’, ‘의뢰인’ 등의 용어들이 있지만 이런 것들은 임상적 상호작용의 의미는 포착하지 못하고, 그저 사업적 관계만을 나타내고 있는 듯 보인다. 더 나은 용어를 생각해 내기가 쉽지는 않지만 무엇이 되었든 그 용어는 자신의 진료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며, 의사와 동등한 수준의 존중을 받고, 자신과 관련된 모든 자료와 의학적 정보를 빠짐없이 공유할 수 있는 개인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어야 한다.

-알라딘 eBook <청진기가 사라진 이후 : 환자 중심의 미래 의료 보고서> (에릭 토폴 지음, 김성훈 옮김, 이은 감수) 중에서

한 가지 용어가 떠올랐다. 그것은 바로 "능동적 개인 참여자individual, active participant, IAP"다.

-알라딘 eBook <청진기가 사라진 이후 : 환자 중심의 미래 의료 보고서> (에릭 토폴 지음, 김성훈 옮김, 이은 감수) 중에서

고지에 입각한 동의라는 맥락에서 보면 의사는 사실 발생할 수 있는 모든 합병증, 시술이나 수술과 관련한 자신의 모든 실적, 임상시험에 참여함으로써 따라오게 될 위험 등을 모두 잘 알고 있다. 이런 정보들을 환자가 제공받지 못해서는 안 된다. 하지만 동의서 양식에서 환자가 얼마나 많은 정보를 얻든 간에, 환자는 의사의 머리와 경험 속에 들어 있는 것과 똑같은 정보를 공유할 수는 없다. 그리고 인터넷을 아무리 열심히 뒤진다고 해도 그 정보는 전체 집단에 관한 일반적 정보일 뿐, 개인에 관한 정보는 아니다. 더군다나 그런 정보는 질이 보장되지 않는다.

-알라딘 eBook <청진기가 사라진 이후 : 환자 중심의 미래 의료 보고서> (에릭 토폴 지음, 김성훈 옮김, 이은 감수)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