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의학의 입장에서는 공공선을 증가시킬 장기적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개인의 희망에 반하는 쪽으로 내기를 거는 것이 그에 못지않게 합리적이다. 이러한 긴장이 이 책의 근간을 이룬다. 이 책은 과학으로서의 의학 대 구원으로서의 의료에 관한 책이며, 달리 표현하자면 개인의 이해관계 대 공동체의 이해관계에 관한 책이기도 하고, 또 다른 표현으로는 단기적 관점 대 장기적 관점에 관한 책이기도 하다. 난처한 상황에 빠진 개인이 이런 긴장을 이해하고 이를 헤쳐 나갈 방법을 안다면 의료적 판단을 내리는 것이 더 쉬워질 것이다.4

-알라딘 eBook <닥터 골렘> (해리 콜린스 외 지음, 이정호 외 옮김) 중에서

의학의 심장부에는 구멍이 하나 뚫려 있다. 바로 플라시보 효과이다. 플라시보 효과는 신체에 대한 분명한 개입 없이 마음이 몸을 치유하는 힘을 가리키는 전문 용어이다. 때로 이 효과는 가짜 약을 처방함으로써 촉발되는데, 가짜 약은 종종 화학적으로 활성이 없는 물질로 만들어진 알약의 형태를 띤다. 그런 알약은 플라시보라고 불리는데, 이 말은 라틴 어로 ‘기쁘게 하다.’라는 뜻이다.

-알라딘 eBook <닥터 골렘> (해리 콜린스 외 지음, 이정호 외 옮김) 중에서

이 책의 저자들은 의료 영역을 훨씬 넘어서는 수많은 이유들 때문에 과학적 세계관이 사회 전체 차원에서 공인된 세계관이 되었으면 하는 관점을 갖고 있다. 설사 방금 설명한 방식으로 적어도 일부 사람들의 건강이 과학적 세계관에 의해 간접적으로 피해를 입게 될 것임을 감수해야 한다고 하더라도 말이다. 이것이 바로 개인적 선(individual good)과 공공선 사이의 긴장이 작동하는 방식이다.

-알라딘 eBook <닥터 골렘> (해리 콜린스 외 지음, 이정호 외 옮김) 중에서

(skill)의 본질을 이해하는 한 방법은 그것을 진짜인 척 가장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를 묻는 것이다.

-알라딘 eBook <닥터 골렘> (해리 콜린스 외 지음, 이정호 외 옮김) 중에서

그러나 의료 과실이 나타날 때면 항상 의사 자격의 결여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이야기한 아산티의 경우에도 그러했다. 아산티는 여러 해 동안 일을 잘 해 왔고 동료들로부터 찬사를 받아 왔지만 한 번 실수를 저지르자 자격 결여가 그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그의 과거 경력에 비춰 보면 이는 심지어 가장 훌륭한 자격을 갖춘 마취 의사에게도 일어날 수 있는 종류의 사고였던 것처럼 보이는데도 말이다.

-알라딘 eBook <닥터 골렘> (해리 콜린스 외 지음, 이정호 외 옮김) 중에서

결정적인 문제는 의료에서의 상호 작용에서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가를 배우지 못한 데 있었고 그가 시행한 실제 처치가 문제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그는 항상 심각한 심리적 공황 상태에 빠져 있었고 의료의 언어를 습득하지 못했던 것이다. 그를 잡아낸 전문의가 말했듯이, 그는 적절한 전문 용어를 사용하는 대신 ‘부러진 팔뚝’이라고 진료 기록에 써넣곤 했다.

-알라딘 eBook <닥터 골렘> (해리 콜린스 외 지음, 이정호 외 옮김)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