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ㅣ 현대지성 클래식 35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3월
평점 :

플롯, 스토리텔링, 모방, 비극, 에피소드, 카타르시스 개념의 탄생
마음에 각인되는 완벽한 이야기 구성의 기술
현대지성클래식의 믿고 보는 옮긴이 박문재 님의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을 읽고 예상과는 달랐다. 최근에 읽었던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속 핵심소재가 되는 책이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2권>이다. ‘시학 2권’ 희극을 다루고 있고 중세를 배경으로 하는 수도원의 한 수도사는 시학 2권이 세상을 바꿀 수 있고 인간의 마음을 흩트리는 웃음을 유발해 없어져야 할 책으로 등장한다.
‘시학’은 ‘일리아스’ 형식으로 구성된 비극을 주제로 한 책이라고 생각한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은 생각과는 다르게 학문적으로 접근한 책이다. 한마디로 시를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다루는 글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지적 역량은 측정하기 힘들 정도다. 오늘날 우리가 배우는 학문 중 아리스토텔레스가 다루는 분야는 논리학, 형이상학, 인식론, 심리학, 윤리학, 정치학, 수사학, 미학, 동물학, 식물학, 자연학, 철학사, 정치사이고 이 모든 학문의 이론을 체계적으로 수립했다. 이게 가능하단 말인가?
아리스토텔레스는 스승인 플라톤과 함께 서양철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위인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원전 384년에 그리스 마케도니아 지방의 스타게이로스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니코마코스는 왕의 주치의였으며, 아리스토텔레스가 어릴 때 죽었다. 17세 때 어머니마저 여의자 후견인 프록세노스는 스승 플라톤이 있던 아테네의 아카데메이아로 그를 보냈고, 그는 거기에서 20년간 머물렀다. (책날개 중)
기원전 347년 플라톤이 죽자 아카데메이아를 플라톤의 조카 스페우시포스에게 맡기고, 소아시아 아소스의 왕에게 간다.
기원전 342년 마케도니아의 왕 필리포스 2세의 초청으로 훗날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된 왕세자의 가정교사가 되었다. 필리포스 2세는 그리스를 정복하는 과정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고향을 불에 태워 없애버렸다. 왕은 아리스토텔레스를 모시기 위해 그의 고향을 새로이 건설해 주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알렉산드로와 더불어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우스 왕조를 여는 프톨레마이우스도 가르쳤다. 그의 주요 저작은 다시 아테네로 돌아온 기원전 335년에 쓰였기에 제자를 가르치지 않고 저작에 몰두했으면 더 많은 학문 분야를 만들었을지 모르겠다.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은 당시 시인의 본능에 따라 쓰고 대중이 재미로 즐기던 비극과 서사시를 하나의 철학이자 학문으로 끌어올렸다. 흥행하고 살아남는 이야기 및 서사에 담긴 “비극-정화-즐거움” 코드는 지금도 여전히 인기 있는 구성 방식이다.
유럽 여행의 그리스 유적지에는 대규모 원형극장이 아직 남아있는 곳이 많다. 당대 패권 국가인 아테네 시민은 일과를 마치고 저녁 시간이 되면 극장에 모여 횃불 아래 경연을 펼치는 시인의 이야기를 듣고 희로애락을 함께 했다.
비극은 양념을 친 온갖 언어를 곳곳에 배치해, 낭송이 아니라 배우의 연기를 통해, 훌륭하고 위대한 하나의 완결된 사건을 모방하여 연민과 공포를 느기게 함으로써 그 감정의 변화(카타르시스)를 이루어내는 방식이다. (p.26)
마치 오늘날 일과를 마치고 티비 드라마를 보며 시청률과 인기순으로 연말 시상식을 하듯 그리스 희극, 비극 시인 역시 청중에게 감동을 주었다.
지금 현재 한국 사회를 강타하고 있는 ‘펜트하우스’가 ‘그리스 로마 신화’와 ‘오레스테이아’를 빌리고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에 등장하는 플롯 방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는 점은 여전히 놀라운 사실이다.
시를 만들어가는데 모방으로서의 시와 모방 수단, 방식, 대상이 소개한다.
플롯의 필연성과 개연성과 플롯의 요소가 반전, 인지, 수난으로 이루어진 사실은 드라마 ‘펜트하우스’의 주인공을 생각하면 쉽사리 이해할 수 있다.
플롯의 목표는 공포와 연민이다. 공포와 연민은 시각적 요소에서 생길 수도 있지만, 사건의 구성인 플롯 자체에서도 발생한다. 플롯 자체에서 생기는 법이 더 낫고, 훌륭한 시인들은 이 방법을 사용한다. (p.50)
연민은 사람이 부당하게 대접받는 모습을 볼 때 생기고, 공포는 우리와 똑같은 사람이 불행해지는 모습을 보며 생긴다. 즉, 연민은 부당한 불행과 관련되고, 공포는 우리와 똑같은 사람과 관련이 있다. 그래서 악한 자의 불행은 연민도 공포도 불러일으키지 못한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훌륭한 각주이다.
고대 그리스의 3대 비극 시인 ‘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의 작품과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오디세이아> 내용을 소개하고 있어, 그리스 비극과 고전을 좋아하는 사람은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개인적으로 가장 주목하고 싶은 점은 ‘하마르티아’다. 실수나 결함으로 번역한 ‘하마르티아’는 “실수, 결함, 죄”를 의미하지만 주로 ‘실수’나 ‘착각’ 정도로 잘못한 경우를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성격상의 결함도 도덕적으로 아무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하마르티아’에 넣어도 된다.
‘하마르티아’를 가진 위인의 이야기를 살펴보는 것도 흥미로운 주제가 될 것이다. 최종훈 님의 <부자의 역사>는 역사상 가장 부자들의 ‘하마르티아’를 극복하는 것을 주제로 부자를 살펴본다.
훌륭한 플롯은 <오디세이아>처럼 이중적 플롯을 전개해 나가다가 고귀한 등장인물과 악한 등장인물이 서로 정반대의 결말을 맞는 플롯이다. 그렇게 보이는 이유는 관객의 약점 때문이고, 시인은 관객이 원하는 대로 작품을 쓰기 때문이다.
그리스 비극은 언제부터 읽고 싶었던 분야의 책인데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을 통해 더욱 그런 마음이 커져만 갔다.
비극은 각각의 목적을 이루어내는 것과 관련해 서사시보다 우월하다. 따라서 비극은 자기 목적을 더 효과적으로 달성한다는 점에서 서사시보다 분명히 더 우월하다. (p.116)
- 이 글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시학 #아리스토텔레스 #박문재 #현대지성 #원전완역본 #그리스 #책과콩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