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걸음마다 비우다 - 서울에서 고흥까지 520킬로미터의 사색
김학배 지음 / 알렙 / 2024년 11월
평점 :
‘서울에서 고흥까지 걷는다고?’ 장장 520km를 걸어서 간다는 말인가? 정말 놀랍지 않은가. 꼬박 15일이 걸려 저자의 서울에서 고향마을 고흥까지 걸었으니 책이 나왔을 것이다. 사실 부러움과 함께 궁금증을 자아냈다. 시간이 된다면 10일 이라도 걷고 싶은 욕심이 있는데 여러모로 여의찮은 게 현실이다. 이참에 15일간 서울에서 고흥까지 순수 두 발로 걸어간 이야기를 꼭 함께하고 싶은 욕심이 생겼다.
당장 현실적으로 함께 걸을 수는 없지만, 그의 책을 통해서라면 가능한 일이다. 다소 책의 두께와 분량을 고려해서 한꺼번에 읽기보다는 천천히 놓치는 부분 없이 함께 걷는다는 느낌으로 읽고 싶었다.
실질적으로 15일을 꾸준 34km를 걸어야 한다. 물론 모내기하는 봄이라곤 하지만 매일매일 날씨와 몸 상태를 유지하는 일을 절대 쉽지 않을 것이다. 또한 사람이기 때문에 다양한 유혹이 있을 것이다. 그런 것들을 어떻게 이기고 그 먼 거리를 갔을까 기대 반, 걱정 반으로 함께 시작해 보았다.
내심 여행기, 기행기로 보았을 때 다소 딱딱하고 흥미가 없다면 어떻게 하지 고민했다. 그러나 그런 걱정은 책을 펼치며 잊고, 천천히 책 속으로, 그리고 저자와 함께 걷기 시작했다.
15일간의 서울에서 고흥까지 걸을 수 있다는 사실과 다양한 사람들이 걷고 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금할 수 없었다. 하루하루가 지날수록 함께 엔도르핀이 솟구치고 안전에 관한 생각도, 사색도 함께 했다. 언제 우리가 서울에서 고흥까지 함께 걷고 사색할 수 있는 경험을 나눌 수 있을까. 저자의 경험을, 공감대를 형성하는 행복한 시간이었다. 걸음마다 쌓이는 동시에 비워지는 경험을 할 수 있어 좋은 시간이었다.
Ⓑ 실제 걸었던 거리는 520km가 되었다. 한 시간에 4km 정도의 속도로 하루 평균 9시간씩 걸어 15일 만에 고흥 집에 도착했다. -P8
Ⓑ 멀리 갔다 되돌아올수록 자신을 성찰하는 시간이 많아지고, 경험과 사고의 폭이 넓어지고 이웃에 대한 배려와 이해심도 커지기 마련이다. 이렇게 사람은 익어간다. 같은 길을 세 번 지나가며 얻은 교훈이다. -P125
Ⓑ 옛 고전에 사람을 존경하는 세 가지 기준이 있는데 벼슬과 나이와 덕이다. -P151
Ⓑ 서서히 종반전으로 향하고 있는 이번 여행에서 지금까지 무엇을 느끼고 깨달은 것은 무엇인가? 아무것도 없다. 그저 그날의 목적지를 향해 달리기만 했으니 당연한 것 아닌가? 깨달은 게 없으면 어떤가. 여행에서 꼭 무엇을 깨우치고 느껴야 하나? 툇마루에서 산들바람을 맞으며 먼 산 보고 마음을 비우다 자면 그만이지. -P275
Ⓑ 걷기는 삶이다. 살기 위해 걷고, 살아 있으니 걷고, 살아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걷는다. (…) 나의 걷기는 유람이고 경주이고 순례의 여행이었다. (…) 여행이란 새롭게 마주치는 것들에 대해 생경함과 첫 경험의 흥미로운 기대감으로 인한 떨림이고 설렘이다. (…) 여행은 일상에서 떠났다가 다시 일상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P367
#걸음마다비우다
#김학배
#알렙출판사
#서울에서고흥까지걷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