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지음 / 창비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년이 온다_한강

 

한강 작가의 장편소설이다. 5.18광주민주화운동에서 개인들이 겪어야 했던 많은 고통이 담겨 있다. 그들이 갖고 있던 신념과 사고들을 어떻게 파괴되고 인간이 어디까지 처참하고 잔혹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딸이 도서를 건네며 엄마는 안되고 아빠만 보세요.”라고 말을 했다.

폭력과 만행, 그것을 용인하고 부추기고 권장했으니, 그것만으로 끝났을까. 되돌아보면 해방 후 반민족특위의 청산 작업부터 그 뿌리가 있다고 봐야 한다. 제대로 역사를 바로 세우고 정리했어야 한다. 그러지 못했기에 그런 잔재와 대물림이 아직도, 지금도 진행형이란 악순환의 고리로 이어지고 있다는 생각이다. 아픈 역사를 잊지 않고 기억하고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우리가 해야 하는 일이 아닐까 한다. 한 번의 기회를 놓여버린 우리는 지금도 그 대가를 치르고 우리 삶의 곳곳에 폭력과 만행이 지속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계속 주시하고 과거를 기억하고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대물림을 끊어 내야 한다. 그것이 우리의 의무이고 책무이다.


그 과정에서 네가 이해할 수 없었던 한 가지 일은, 입관을 마친 뒤 약식으로 치르는 짧은 추도식에서 유족들이 애국가를 부른다는 것이다. 관 위에 태극기를 반듯이 펴고 친친 끈을 묶어놓은 것도 이상했다. 군인들이 죽인 사람들에게 왜 애국가를 불러주는 걸까. 왜 태극기로 관을 감싸는 걸까. 마치 나라가 그들을 죽인 게 아니라는 듯이. -P17


부엌 머리방에서 까무룩이 잠들 때까지 너는 두 사람의 다투는 소리와 달래는 소리, 낮은 웃음소리를 점점 구별할 수 없게 되었다. -P41

 

내가 창틀에 세워놓은 칠판 지우개를 발견하고 웃었어. 한숨처럼 낮게 한번, 잠시 뒤 소리를 내 한 번 더. (중략) 누나가 내 이마를 한번, 뺨을 한번 쓰다듬고 이부자리로 돌아갔어. 좀 전에 들렸던 웃음소리가 어둠 속에서 다시 들렸어. 한숨처럼 낮게 한번, 잠시 뒤 소리내어 한 번 더. -P55

 

지난 오면 동안 끈질기게 그녀를 괴롭혀온 것이 바로 그것이었다. 허기를 느끼고 음식 앞에서 입맛이 도는 것. -P85

 

엄마, 저쪽으로 가아, 기왕이면 햇빛 있는 데로. 못 이기는 척 나는 한 없이 네 손에 끌려 걸어갔제. 엄마아, 저기 밝은 데는 꽃도 많이 폈네. 왜 캄캄한 데로 가아, 저쪽으로 가, 꽃 핀 쪽으로. -P192


#소년이온다


#한강작가


#창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왜 시국선언을 하는가 - 윤석열 정부 1년간의 분노와 저항의 기록
김성진 외 지음 / 민들레북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왜 시국선언을 하는가_김성진 6

 

최근 들어 마음이 답답하다. 눈이 있고 귀가 있으니 답답한 일들이 계속 이어진다. 이왕이면 좋은 것만 보고 행복해지고 싶은데 영 마음이 불편하다. 세상사 모든 것이 흑백으로 이분화하고 단순화시키면 편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 주변에 이웃들도 상황들이 복잡하고 다양하다. 그래서 이럴 땐 다양한 의견과 시각을 균형감 있게 갖고 행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개인도 이러한데, 나라를 운영하는 그분이야 어찌 고민과 통찰이 없겠는가. 우연히 시국선언문을 접했다. 분명 지금 정부에 따끔한 충언일 것이다. 많은 지식인이 자신 일신의 편안함을 거두고 충언하고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다양한 상소문이 존재한다. 시국선언문을 상소문으로 친다면 국민이 나라를 위한 충정이고 국민과의 직접적인 소통창구가 아닐까 싶다. 진정 대통령 주변 분들이 상소문을 올바르게 전해주길 바라는 마음이다. 이미 많은 분이 문제점을 지적해주었기에 귀를 열고 들어야 한다.

이젠 대통령직에서 내려와 곧장 교도소로 가는 역사의 아픔은 끝내야 한다. 더 이상 국민에게 마음 아프게 하는 일이 반복되지 말아야 한다. 더불어 이 시점에서 다시 되돌아보는 성찰의 계기와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또한 문제가 있다면 인정하고 새로운 도약과 발전을 위해 모두의 중지를 모아야 하지 않을까. 꼭 내 편 아니면 모두 적이라는 이분법으로 판단하지 말고 그분 주변의 참모들이 반대의 목소리도 소중히, 겸허하게 듣고 올바르게 충언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이 그분들의 소임이기 때문이다. 더불어 우리가 선출한 이유이다. 그 점을 꼭 기억하고 실천하길 바라는 마음이다.



#우리는왜시국선언을하는가

#민들레북

#시국선언문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년의 겨울을 건너온 여자
박서원 / 동아일보사 / 1998년 8월
평점 :
절판




천년의 겨울을 건너온 여자_박서원

 

박만정 작가의 잊지 않음산문집에 소개된 천년의 겨울을 건너온 여자를 도서관에서 대여했다. 여자의 일생이라는 말이 절로 나온다. 불우한 유년, 성폭행, 사랑(불륜), 결혼, 이혼, 기면증으로 점철되는 인생이다. 시인으로 시를 쓰게 되는 과정을 가감 없이 보여준다. 자신을 삶을 시인은 서른아홉의 시간을 기록하고 있다. 고인이 된 시인 박서원의 에세이. 자신을 온전히 드러내는 일을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럼에도 자신의 치부를 드러내고 새로운 세상으로 나아가려고 한다. 그래서 에세이가 위대한 몸짓이다.

증조할머니도 남편을 일찍 여읜 것이었다. 외가 쪽은 3대째 남자 없이 집안을 꾸려온 서글픈 역사를 지니고 있었다. 나는 훗날 그들의 삶의 궤적을 통해 여인들의 기구한 운명과 살아가기 위한 투쟁, 그 눈물을 알게 됐다.-P34

얼굴에 쓰면 다른 사람이 되고 벗으면 나로 돌아오는 마법의 가면이었다. 나는 틈만 나면 그 마법의 가면을 쓰고 나만의 세상으로 달려갔다. 문학은 곧 구원이었다. -P53

 

두껍아, 두껍아, 헌 집 줄게. 새집 다오. 아이들의 노래처럼 내 삶도 새것으로 바꿀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나 한번 시작한 삶은 어떤 식으로든 살아내야만 했다. 그것이 모든 인간의 슬픈 운명이었다. -106

 

어디선가 바람이 불고 있었다. 한낮의 열기가 가신 바람은 상쾌했다. 별이 돋을 시간이었다. 밤하늘에도 내 마음에도. -P138

 

이제 욕망이 가신 말간 눈으로 당신의 삶을 지켜볼게요. 당신이 멀리서 내 시를 지켜보았듯, 당신은 내 고통스러운 젊음의 전부였어요. 신산스러운 내 삶에 당신이 사랑으로 지펴주신 환한 빛이 평생 나의 등불이 돼줄 거예요. 고마워요. 나의 당신. -P242

 

 

#천년의겨울을건어온여자

#시인박서원

#난간위의고양이

#자전에세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잊지 않음 - 타인의 역사, 나의 산문
박민정 지음 / 작가정신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산문] 잊지 않음_박민정

 

작가가 경험하고 보았던 사실에 대한 고민이 엿보인다. 그리고 미래에 대한 불안과 궁금함이.

그러나 누구나 마찬가지가 아닐까? 그런데도 우리는 지금의 현실을 꿋꿋이 살아내는 것이겠지.

많은 작가가 추천하는 산문이라 많이 기대했지만 다소 난독증으로 헤맸다. 분명 읽었는데 생각이 나질 않아 되돌아가길 여러 차례, 더디게 읽을 수 있었다. 아쉽다. 스무 대 젊은 감성으로 만났다면 좋았을 것을.

자기 우울을 가만히 지켜볼 수 있는 사람. 나는 그런 사람이 제대로 된 소설가라고 생각한다. -P39

소설이란 장르에 매혹되어 여기 없는 것을 있는 것처럼 만들어내는 일, 그리고 그렇게 만들어진 가상을 다시 부수는 일, 자신이 믿은 리얼리즘대로 존재할 것만 같은 인물을 만들어내는 일을 거듭해왔다. 그러나 여전히 인물을 만드는 일은 어렵고 다시 못 할 것만 같은 작업이기도 하다. 내가 작가임을, 작품은 내가 속한 세계이며 내가 믿는 세계라는 것을 알면서도. -P186

 

대학 때의 편견 이후로 어느 시점부터 나는 일인칭 여성 화자를 잘 쓰지 못하게 되었다는 점. 이 글을 쓰면서 비로소 아프게 인정하게 된 사실이다. 이야기의 피해자가 작가 자신이라는 오해를 입는 것이 싫고 그것이 후지다고 생각하여 일인칭 여성 화자 자체를 기피하게 되었다는 점. 이러한 식민지화를 겪은 후 창작을 하며 폭력의 전경화 앞에서 가끔 가해자에 빙의되는 자신을 발견하고 두려웠다는 점. 창작자로서 참으로 모양 빠지는 고백이다. -P201

 

더 이상 여성작가로서 쓸데없이 가져야 하는 압박과 죄책감으로부터는 조금 자유로워지고 싶다. 나는 어쨌거나 이야기의 힘과 매혹을 믿고 살아가는 사람이다. 그리고 이야기가 현실의 조건들과 동떨어질 수 없다는 것 또한 알고 있다. -P204

 

 

 

 

#잊지않음

#박민정산문

#박민정작가

#작가정신

#타인의역사나의산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푸른 나비 - 내가 가졌던 모든 것들에게 전하는 인사
류희 지음 / 미다스북스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편소설] 푸른나비_류희

 

류희(김수정) 작가의 풋풋한 첫 번째 소설이다. 첫 번째가 갖는 묘한 신선함과 울림이 마음에 끌렸다. 내 영혼의 만남을 통해 자신을 회복하는 소설이다. 사실 소설은 작가의 내면과 경험이 일부분 녹아 있다고 한다. 분명 여성작가인데 특별히 남성을 주인공으로 설정되어 흥미진진했다. 어떤 면에선 살짝 불안하기도 했다. 그리고 궁금했다. 영혼을 다루는 섬세함과 자신을 돌아보는 거울이라는 매개체가 신선했다. 또다시 기회가 된다면 류희 작가의 차기 소설을 꼭 만나보고 싶다.

(글씨 폰트나 구성이 마음에 들어 여러 번 출판사를 확인했다. 출판사는 미다스북스)


더구나 우리는 모두가 친구라고 이야기하면서도 진정한친구가 아니라는 이상한 말을 하며 살아가지 않는가. 결국 친구란 이방인의 조금 더 부드러운 언어에 지나지 않는다. -P30-


한 가지의 작은 생각에 가지들이 뻗어 스스로 열매를 맺고 있었다. -P45-

 

모르는 사람에게 이야기를 털어놓은 것은 마치 벽에게 말을 하는 것 같은 알 수 없는 위안을 주었다. -P99-

 

나는 이제 아무것도 두렵지 않았다. 내가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일을 그저, 나에게 주어진 하루를 귀중하게 살아내는 것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다. -P265-

 

 


 

#푸른나비

#류희

#미다스북스

#장편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