된다 된다 나는 된다 - 일과 인생이 술술 풀리는 자기암시법
니시다 후미오 지음, 하연수 옮김 / 흐름출판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20628 된다, 된다 나는 된다. 나시다 후미오

 

된다, 된다 나는 된다자기암시를 통해 이룰 수 있다는 책의 제목이다. 사실 나는 할 수 있다. 할 수 있다.’를 수십 번 반복하며 일을 성사시키고 성과를 내야 하는 세일즈시장에서 살아남으려 몸부림치던 때가 있었다. 그럼 지금의 나는 어떤가? 하고 반문을 해보는 값진 시간이 되었다.

 

도서정보

카테고리 분류

국내도서>자기계발>처세술/삶의 자세

국내도서>자기계발>성공학/경력관리

국내도서>경제 경영>CEO/비즈니스맨>성공학/경력관리

http://www.yes24.com/Product/Goods/3207322

 

P25. 열정을 불태우는 놈을 당해낼 재간은 없다. 성공한 사람들은 언제까지나 열정을 유지한다. 중략) 그 어떤 분야에서든 열정을 지속시킨 사람만이 승리를 쟁취한다. (중략) 그들은 오히려 꿈이나 소망을 실현하려는 열정을 더욱 불태우며 환경을 바꾸고 스스로를 바꾼다.

 

P79. 운이 좋은 사람은 얼마든지 변화할 수 있다고 확신하며 끊임없이 자기혁신을 실행한다.

 

P108. 긍정적 사고, 이미지, 감정은 틀림없이 성공한다.’ 생각하고 그리면 자연스레 가슴이 뛰고 신이 난다. 놀랄 만큼 의욕이 샘솟고, 번득임과 직관이 끊임없이 용솟음친다. 성공을 확신하고, 성공을 생생하게 상상할 수 있으며, 성공의 기쁨까지 실감할 수 있는 이러한 상태 멘탈비거러스(mental vigorous)’

 

P120. 오늘날과 같은 소비사회에서 중시되는 것은 양보다 질이다. 제조업보다는 서비스업이며, 하드웨어보다는 소프트웨어다.~ 도태되지 않고 살아남는 방법은 단 한 가지, 한마디로 프로가 되는 것이다.~~ 즐기면서 일하고 즐기면서 노력한다.

 

P135. 우선 일이 재미있는 척한다. 그러면 일을 재미있어하는 사람, 재미있는 일을 하고 싶어 어쩌지 못 해하는 사람이 반드시 모여든다. 이쯤 되면 상황 끝이다. 모여든 사람들과 어울리는 사이에 그들에게 감화되어 나중에는 정말로 일이 재미있어져 버린다.

 

P180. 감사는 사람의 뇌를 유쾌하게 만들어 행복을 빚어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먼저 감사한 사람이 이긴다. 감사는 뇌를 유쾌한 상태로 만들어 행운을 불러들이는 최고의 비결이다.

 

P220. ‘천재를 만드는 가정교육의 세 가지 포인트

부모가 자녀의 꿈을 공유하고 지원한다. 부모가 자녀를 철저히 칭찬한다. 부모가 자녀를 절대적인 애정으로 대한다.

 

P222. 결점을 지적할 시간이 있으면 칭찬하자. 칭찬하고, 칭찬하고, 또 칭찬하자. 칭찬할 것이 없으면 결점까지 칭찬 거리로 삼아버릴 만큼 철저하게 부하직원을 칭찬하는 것이다. ‘약점도 자신감을 지니면 강점이 되는 것이 운의 법칙이다. 또한 기대하고, 기대하고, 또 기대하자. ‘타인의 눈이 사람을 바꾼다는 것 역시 운의 법칙이다.

 

P233. 2:6:2의 구성을 좀 더 세세하게 가르면 환경변혁형(5%), 환경개선형(5%), 환경순응형(35%), 환경도피형(45%), 환경파괴형(5%)의 다섯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P239. 현실은 냉혹하다. 꿈을 가진 사람만이 이긴다. 그리고 조금이라도 빨리 프로의식에 눈뜬 사람만이 성공을 거머쥐고 세상의 변화를 주도한다.~ 진정으로 다른 사람의 행복을 바라는 마음이 없다면 소비자의 감성을 사로잡는 상품의 개발도 불가능하다. 이제는 꿈과 사랑, 그리고 진실한 마음이 없으면 상품이 팔리지 않는 시대인 것이다.~~ 꿈과 목표가 없다면 아무리 기다려도 기회는 오지 않는다.

 

저자는 사람의 편도핵(직경 약 15mm의 아몬드 모양을 한 조그만 신경조직)을 자극, 위장해서라도 긍정적인 심리를 꾸준히 무장하고 적극적인 행동을 주문한다. 이제 이전처럼 편도핵을 자극하여 운을 불러들이고 인생을 바꿔보자.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생각하며 그렇다고 스스로 주문을 걸면 이루어질지어다.

 

치악산에서 운담(芸談)이 쓰다.

 

 

#된다된다나는된다

#니시다후미오

#자기계발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름다움은 지키는 것이다 - 도시소설가, 농부과학자를 만나다
김탁환 지음 / 해냄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20617 아름다움은 지키는 것이다. 김탁환

 

[도서 정보]

아름다움은 지키는 것이다

이 책이 속한 분야 : /에세이 > 나라별 에세이 > 한국에세이

 

아름다움은 지키는 것이다도시소설가 김탁환의 글이다. 무심결에 KBS에서 곡성 모내기를 하는 모습에 인상이 남았다. 그리고 원주 한살림공동체가 궁금하여 무위당 장일순 선생의 책과 함께 구입을 하였다. 그러고 보니 요즘 이곳저곳 특히 독립서점에서 김탁환의 책을 보고 몹시 기뻤다. 그리고 조바심이 생겼다. 빨리 만나고 싶다고.

P25. 지나온 풍경은 아름답고 쓰라렸다. 빛나는 순간으로는 돌아갈 수 없었고 부끄러운 찰나는 삭제가 불가능했다.

 

P31. 부끄러움이 고슴도치 등짝처럼 박힌 날도 있었고, 실패하고 실패하고 또 실패하며 절망의 두께만 두꺼워진 계절도 있었다. ~(P33.) 삶에 유용하다면 부서지고 더러워도 글에 담아야 하는 것이다.

 

P42. 완전히 다른 세계를 만끽한 후엔 그 경험에 어울리는 단어를 고심하는 법이다. 아무리 찾아도 하나뿐이었다. 아름다움! ~(P47) “주머니에서 몽당초를 꺼내 힘껏 칠한 후 마른 헝겊을 양손으로 모아 쥐고 무릎을 끓고서 빠닥빠닥 나무 바닥을 닦으면 맨들맨들 어찌나 빛이 나는지 모릅니다. 폐교로 들어가서 미실란을 꾸릴 때, 다른 건 다 바뀌도 교실 바닥은 그대로 두기로 했죠. 아름다움을 지키고 싶으니까요.” 아름다움은 지키는 것이다. ~(P48) 그 질문을 던지는 투명한 눈동자를 보며, 나는 뒤늦게 인정했다. 다르게 아름답고 다르게 진실할 때 다른 삶이 펼쳐진다는 것을!

 

P52. 당신에게 인생의 버팀목과 같은 글자는 무엇인가. 나는 소설이라는 두 글자와 함께 평생을 살 것이다. ‘소설’(小說)대설’(大說)로 불리기를 결코 원치 않는다. 작기 때문에 자유롭고, 자유롭기 때문에 희노애락을 깊고 넓게 풀 수 있다. ‘소설이 아니라 대설이었다면, 윤리와 상식과 법의 경계를 넘나드는 내 이야기들은 성현의 말씀처럼 크고 중요한 가르침 아래 눌리거나 갇혔을 것이다.

 

P67. 인류의 역사는 여행의 역사다. 곧 돌아오는 여행일 때도 있고 영영 돌아오지 못하는 여행일 때도 있다. 길 위의 나날은 구불구불한 인생과 닮았다. 공간 여행이든 시간 여행이든 인간 여행이든, 낯선 시간과 공간과 인간과의 만남은 우리네 인생을 풍족하게 한다. ‘, 지금, 여기의 아집을 벗어나게 만든다. 자유로움과 두려움이 동시에 밀려든다. 떠나지 않았다면 몰랐을 기쁨이자 고통이다.

 

P102. 소설은 문제적 개인을 깊고 넓게 조망하는 예술이다. 대다수가 용인하는 상식이나 관습 혹은 법과 제도에 반기를 든 인물의 고민과 행동을 담는 것이다.

 

P116. 삶은 선택의 연속이다. 누구나 스스로의 선택에 책임을 져야 한다. 성공하든 실패하든, 그 결과를 고스란히 감내해야 한다. 어느 누구도 실패하기 위한 길을 택하지 않는다.

P142. 옛날부터 한반도엔 터주 즉 집터를 지키는 지신(地神)을 모시는 신앙이 있었다. 전라도에선 철륭, 경상도에선 텃고사, 충청 이북엔 터주라고 불렀는데, 이름과 모시는 방식이 조금씩 달랐다.

 

P157. 태풍은 이름과 풍속과 방향만 바뀌, 오고 또 온다. 한 번은 재수일 수 있지만, 계속 행운이 찾아들기를 바라면 안 된다. 원칙을 세우고 기본에 충실한 일상을 사는 것 외에 위기를 극복하는 방법은 없다.

 

P239. 무엇을 하느냐도 중요하지만 무엇을 하지 않느냐도 중요하다. 수 백 년 이어온 관습을 바구려면 철저한 단절이 필요할 때도 있다. 좋은 게 좋다는 식으로 받아들이면, 관행이란 미명 아래 불합리한 일들이 용인되고 만다. 원칙을 철저하게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스물두 번이나 쉼 없이 달려온 미실란 작은 들판 음악회가 증명하고 있다.

 

P246. 다르다고 물리치지 않고 느리다고 타박하지 않고 어리다고 얕보지 않고 늙었다고 무시하지 않는다. 한 사람 한 사람 저마다 걸어온 삶의 무늬를 본다. 듣는다. 어루만진다. 거대해지기를 꿈꾸지 않는다. 결실을 꿈꾸되 봄부터 가을까지 땀 흘려 일한 만큼만 갖는다. 다 갖지 않고 직원과 이웃과 동식물과 나눈다. 거대한 존재를 만나더라도 주눅 들지 않는다. 작지만 결코 작지 않은 미실란만의 방식으로 하루하루를 꾸린다. 손 내밀 사람을 찾고 내민 손은 기꺼이 잡는다. 따스하다.

 

P279. 야생동물이 야생동물답게 살고 인간이 인간답게 살려면, 적당한 거리를 유지한 채 접촉하지 않아야 한다. 다가가고 만지고 죽이고 먹는 것은 자연의 질서를 깨는 것이다.

 

P292. 차이들이 모여 삶을 이룬다. 뒤늦게라도 깨닫고 바꾸는 삶이 첫 마음을 지키겠노라며 일상의 깨달음을 외면하는 삶보다 백배 더 낫다. ~(중략) 누군가는 세상이 만든 차이를 받아들인 채 살고, 누군가는 세상이 만들어놓은 차이에 저항하며 스스로 그로부터 또 다른 차이를 만들어가려 한다. 내 마음이 가는 쪽은 당연히 후자다.

 

미실란(농업회사법인설립 2005.11.29.) :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섬진강로 2584

 

우연히였을까? 산으로 ON 고래의 한국농산어촌네트워크 최선화 대표를 만났다. 도시인의 귀농을 돕고 그들에게 체험을 통해 성공적인 안착을 돕고 있다. [나락 한 알 속의 우주, 장일순], [아름다움은 지키는 것이다, 김탁환], [미실란, 이동현], [한국농산어촌네트워크, 최선화] 이들의 작은 씨앗이 뿌리내릴 수 있도록 간절히 기원한다.

 

 

치악산에서 운담(芸談)이 쓰다.

 

 

#아름다움은지키는것이다

#김탁환소설가

#미실란

#이동현대표

#한국농산어촌네트워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락 한알 속의 우주
장일순 지음 / 녹색평론사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20518 나락 한 알 속의 우주. 무위당 장일순

 

나락 한 알 속의 우주원주에 살고 있니 无爲堂 장일순 선생의 이야기를 종종 들었다. 시내 곳곳에 한살림 매장이 있어 관심을 갖고 방문을 하고 물건도 보고 직원들과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겉으로는 알겠는데 마음으론 와 닺지 않았다. 그래서 책을 구입해서 읽어 보기로 했다. 대체 무슨 말과 이론, 정신을 갖고 있는지를~~~

[도서 정보]

나락 한 알 속의 우주

이 책이 속한 분야 : /에세이 > 나라별 에세이 > 한국에세이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88990274502&orderClick=LAG&Kc=

 

P51. 동학의 2대 교주인 해월 선생께서는 하늘이 하늘을 먹는다.” 이랬어. 그 풀 하나에, 낟알 하나에 우주가 다 있는 거라. 먹는 게 별 볼 일 없다, 이게 아니야. 그런 걸 우리가 먹고 지내는 거요. 이천식천(以天食)이라. 하늘이 하늘을 먹는다. 그러니까 지금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은 뭐냐. 저 집에는 뭐 갈비도 먹고 돼지도 먹고 하는데 우리는 1년 내내 갈비도 못 먹고 돼지도 못 먹고 이게 뭐야, 그런 게 문제가 되는 게 아니다 이거야. 벌써 밥 한 사발 안에 우리가 우주를 영()하는 거다, 하늘을 영하는 거다 이 말이에요. 그렇지 않아요? ~ 오늘날 문명이 우리 인간에게 이 자연에게 제대로 갈 수 없게끔 한다면 여러분이 문명에 대해서 자기 스스로가 벗어나는 정성이 있어야 하고 용기가 있어야 된다 이 말이야.

 

P57. 여러분들이 이 일에 함께한다는 것은 자기를 살림과 동시에 땅을 살리자는 것이지.

 

P70. 동학의 2대 교주이신 해월 선생은 밥 한 사발을 알면 세상만사를 다 아느니라.”, 그런 말씀을 하셨어요. 의암 손병희 선생도 밥 한 사발은 백부소생(百夫所生)이라.”, 즉 많은 농민들이 땀 흘려서 만든 거다, 그러셨어요. 그런데 사실은 사람이 땀을 흘려 만든 것이 아니라 하늘과 땅과 일체가 앙상블이 되어서, 하나로 같이 움직여서 그 밥 한 사발이 되는 거 아니에요? 그러니까 그 밥 한 사발은 우주적인 만남으로 되는 거지요.

 

P88. 해월 선생 법설, 산불리 수불리 이재만궁지간(山不利 水不利 利在挽弓之間). 산도 이롭지 않고 물도 이로운 것은 화살을 이렇게 당기고 있는 그 사이에 있나니. 이 말씀은 무심 상태, 무욕 상태 그래서 단심으로 활을 당기고 있는 그런 상태, 그러니까 활에다 신경을 쓰지도 않고 과녁에다가도 너무 혼을 뺏기지 않는 자연스러운 상태, 무심 상태 그 이야기를 하는 거지요. ~ 그렇게 되면 이롭다 그 이야기에요. 그렇게 되면 구원이 있다 그런 말씀이에요.

 

P93. 하늘과 땅과 바람과 해와 달과 모두가 하나라고 하는 것에 대해서 생활 속에서 체득하고 소화해가자는 모임이다 그 말씀이에요.

 

P154. “물은 자기를 고집하지 않는다. 둥근 그릇에서는 둥글고 모진 데선 모지다. 많이 모아도 물, 작게 갈라놓아도 물이다. 끓여 증발해도 물이요. 얼어도 물이다. 물은 자기를 고집하지 않지만 끝내 자기를 잃지 않는다. 또한 물은 아래로 아래로 흘러 강이 되고 바다가 된다. 한 방울의 물은 아무것도 아니나 바다의 성난 파도는 무섭다. 즉 가장 유약한 것이 가장 강할 수 있다.” 노자의 물처럼 사는 삶

 

P164. 장일순 선생이 김지하 시인에게 김 시인은 사람들이 안 앍을 텐데요.’라고 하더군. ‘사람들이 보든 안 보든 일단 던져둬. 씨를 뿌려둬.’ 그래서 나온 게 <대설 남>, <남녁당 뱃노래>, <>등의 책이야. 바른 것에 대한 글은 많은 사람 중에 단 몇 사람만 봐도 된다는 신념으로 써야 해.”

 

 

무위당 장일순 선생의 일화 중 원주역에서 돈을 잃어버린 사람의 돈을 찾아주시고 소매치기에게 술을 사준 일, 장사가 어려운 집에 매일 찾아가 앉아 계셔서 장사가 잘 되도록 하신 일, 이 모두 당신께서 방법이 없어 그냥 그 자리를 지켜 해결해주신 그 깊은 뜻을 범인들이 알겠는가? 그러니 군사정권에서도 굴하지 않고 한살림을 일구셨겠지. 현재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그 해답을 이 책을 통해 찾기를 기원한다.

 

 

치악산에서 운담(芸談)이 쓰다.

 

 

#나락한알속의우주

#무위당

#장일순

#한살림

#운담세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심리학이 불안에 답하다 - 감정을 다스리는 심리 수업
황양밍.장린린 지음, 권소현 옮김 / 미디어숲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20516 []심리학이 불안에 답하다. 황양민, 장린린

 

심리학이 불안에 답하다심리학으로 바라본 불안과 고민에 대한 심리 처방전이라는 문구에 꽂혔다. 요즘 들어 심리학에 관심이 많아졌다. 다른 사람들은 불안하고 고민이 생길 때 어떻게 해결할까? 하는 단순한 호기심이다. 그것을 알아보고 그럼 나는 어떻게 그 어려운 고민과 불안을 이겨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적어도 심리학으로 바라 보는 시각이 궁금해졌다.

[도서 정보]

심리학이 불안에 답하다

이 책이 속한 분야 : 자기계발 > 자기능력계발 > 마인드콘트롤/감정

인문 > 심리학 > 교양심리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91158741488&orderClick=LEa&Kc=

 

P38. 자신을 배려하고 소중히 생각하는 것도 일종의 능력이다. 이는 타인을 배려하는 것 보다 더 어렵다.

 

P70. [주의력 분산] 게임을 하거나 영화를 보는 사람도 있고, 밥 한 끼 배부르게 먹으면 기분이 홀가분해지는 사람도 있다. 글쓰기가 감정을 푸는 방법이 되기도 한다.

[곤경 탈출 5단계, 3W2O] What_내가 왜 그럴까, 어떤 감정에 놓였을까? Why_이유는 무엇인가? 무슨 일이 발생했는가? Wish_내가 필요한 것과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는 무엇인가? How_난 어떻게 해야 할까? 이제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 Outcome_결과는 무엇인가?

 

P135. 주변을 둘러보면 당신보다 앞선 사람도 있고, 당신의 뒤를 쫒아오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사실 모두 각자의 시간대에서 자신의 여정을 달리는 중이다. 그 사람들을 질투하거나 비웃을 필요는 없다. 모두 저마다의 시간대에 있을 뿐이고 나 역시 그렇다.

 

P139. 나이는 생리적인 판단 기준일 뿐이다. 나이가 심리적 관문이 되어서는 안 된다. 사회에서 관습적으로 형성된 사회적 시계가 있지만 사람들은 모두 자신만의 시간대에 있다. 나이 때문에 자신을 부정하지 말자. 나이는 장애가 될 수 없다. 당신을 옴짝달싹 못하게 묶는 것은 나이에 대한 공포감이고, 행복을 추구할 용기의 부족이다. 나이가 어떻든 누구의 인생이든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

 

P188. 번아웃 증후군, 영문으로는 ‘Occupational burnout' 또는 ’Burnout'이라고 하며 연소, 소진의 의미를 지닌다. 독일계 미국학자 허버트 프로이덴버거는 교사, 의료진 등 고강도 업무 종사자를 관찰하다가 최초로 이 개념을 제시했다.~ 번아웃 증후군을 앓는 사람은 비록 몸은 회사에 있지만 몸과 마음이 피로감, 무력감, 나아가 혐오감에 시달리는 상태다.~~ 21세기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걸리는 감기처럼 아무도 피할 수 없고 완전히 치료할 수 있는 특효약도 없는 유행병이다. 번아웃이라는 친구와 소통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번아웃이 찾아오면 감기를 대하듯 , 또 왔구나. 어서와, 나의 오래된 친구.”라고 말해보자. 조금 더 가벼운 마음가짐으로 번아웃을 대하면 무섭거나 심각해지지 않는다.

#내게 종종 찾아오는 그 분이다. 나는 번아웃을 그 분으로 매번 영접한다. 그리고 어떤 때는 그 분을 기다린다. 그렇게 항상 종종 함께하는 존재라고 생각한다. 이제 곧 오실 때가 된 것 같다.

 

심리학이 불안에 답하다은 말한다. 자아를 찾아 스스로 행복해지라고 한다. 그리고 불안과 고민이 찾아올 때 그 이면을 파악하여 대처하라고 한다. 나는 종이에 기록하고 자신의 이면을 보고 그 답을 스스로 자신에게 찾으라고 권했다. 돌이켜 생각해 보니 심리학의 개념과 비슷했다. 그럼 잘 살아가고 있는 것인가? 그 해답을 이 책을 통해 찾아보길 간절히 소망한다.

 

 

치악산에서 운담(芸談)이 쓰다.

 

 

#심리학이불안에답하다

#심리학

#불안과고민에대해

#미디어숲

#심리처방전

#감정을다스리는심리수업

#고민이있을때

#불안할때

#운담세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심리학이 불안에 답하다 - 감정을 다스리는 심리 수업
황양밍.장린린 지음, 권소현 옮김 / 미디어숲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안과 고민이 있을 때 심리학의 처방전을 받아보자. 심리학이 주는 명쾌한 해결방안을 만나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