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인과 바다 (무선)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91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이인규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1월
평점 :
요즘 굉장히 마음이 지쳐있어 용기가 얻고 싶은 마음에 눈에 들어오지도 않지만 책을 집었다. 어린 시절에 인상 깊게 읽었던 노인과 바다를 다시 읽어보았다. 줄거리야 단순해서 기억하고 있었지만, 역시 마지막에 노인이 잡은 고기가 뭐였는지 기억이 안났던 이유를 새삼 깨달아 웃음이 났다.
노인이 잡아온, 뼈만 남은 거대한 고기의 종류에 대해 이야기가 꽤나 많아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그게 좋은 책의 열린 결말이라는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노인이 고기를 보고도 티뷰론인지 아닌지 알 수 없었을 수도, 웨이터가 지레짐작으로 착각한 것일 수도 있지만, 책 표지에 그려진 것만으로 청새치라고 단정할 수는 없나보다. 나는 마지막 장면을 보고 노인이 알지 못했던다보다 하고 느꼈다. 그러나 청새치였는데 사정을 모르는 타인들이 어떻게 오해하던 중요한게 아니라는 것을 암시한다는 혹자의 의견도 제법 일리가 있다 생각한다.
중요한 것은, 어렸을 때도 느꼈듯이, 묘사가 너무도 생생한 나머지 읽는 내내 나도 노인과 함께 손이 찢어지고 어깨가 마비되는 듯한 아픔을 느낄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 간결한 문장 하나하나가 얼마나 노인의 현주소를 잘 보여주는지, 마치 눈앞에서 보고 있는 것 같았다. 특별히 잘나거나 가엾지 않은 평범하고 주위에 흔히 있을법한 주인공이 아끼는 소년의 부재를 틈날때마다 그리워하며 인간의 외로움과 함께 살아갈 수 밖에 없는 어떤 관계를 이번에 새로이 읽을 수 있었다.
노인이 고기를 잃는 과정이 헤밍웨이의 로스트 제너레이션 작가로서의 이른바 허무주의를 짙게 담고 있어, 독자는 결국 이야기에 집중하고 함께 식은땀 흘리며 여행을 한 끝에 말할 수 없는 허무함과 피로를 느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 노인의 삶과 자신에 대한 열정은 역시 살아가는데 동기를 부여한다. 특히 이번에 새로이 감명받은 점으로는, 그가 고기를 적으로서 죽이면서도 고기를 위해 기도하고 사과하는 장면이었다. 누구나 자신만의 적이 있고 동료가 있지만, 어떤 시각으로 보는가에 따라 그들은 적인 동시에 동료인 것이다.
노인이 고기를 잃고 쓰러지는 바람에 나까지 피곤해졌지만, 앞으로도 마음이 두부처럼 부서질 때마다 생각날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