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왜왜 동아리 ㅣ 창비아동문고 339
진형민 지음, 이윤희 그림 / 창비 / 2024년 10월
평점 :

<왜왜왜 동아리>(진형민/창비)
세상을 바라보는 아이들의 시선은 늘 신선하고 순수하다. 그들이 가진 호기심은 세상 곳곳의 문제를 새롭게 바라보게 하고,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질문을 던지게 만든다. <왜왜왜 동아리>의 이야기는 그러한 아이들의 질문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왜'라는 질문은 어른들이 쉽게 넘겨버릴 수 있는 일상적인 문제를 다시 한번 되돌아보게 만든다.
<기호 3번 안석뽕>, <소리 질러 운동장>, <꼴뚜기>, <사랑이 훅!>을 쓴 진형민 작가의 책이 나온다기에 관심을 가졌다. 어린이 문학을 많이 접해본 사람이라면, 진형민 작가의 독보적인 위치를 모를 리 없다. 작가가 풀어가는 맥락이 다르고 표현이 다르다. 글을 읽다 보면, 진형민 작가의 글임을 쉽게 알 수 있을 정도로 특색있다. 게다가 작가의 도서는 아이들의 심리를 깊이 있게 다루면서도, 그것이 아이들의 문제만이 아님을 보여준다. <기호 3번 안석뽕>에서는 대형마트와 재래시장 문제를, <소리 질러 운동장>에서는 야구부 체제에 맞서는 막야구 아이들의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무척이나 인상적인 책이라,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소개하는 책이다. <꼴뚜기>는 단편집으로 큭큭대며 읽을 만한 학교 이야기이고, <사랑이 훅!>은 아이들이 풋풋한 사랑 이야기가 담겼다. 작가의 책은 늘 학교가 중심이며, 학교의 틀에서 시작해 그곳을 벗어나 세상을 주제로 아이들을 데려간다.
<왜왜왜 동아리>에서 아이들은 그저 하고 싶은 거 하려고 동아리를 만들었는데, 예상하다시피 이 동아리가 아주 큰 일을 낸다. 이록희, 박수찬, 조진모, 한기주, 이 네 아이가 이야기의 중심이다. 아이들은 옆동네 산불 사건을 알게 되고, 유기견 다정이를 찾기로 한다. 그 과정에서 삶의 터전을 잃은 사람들 이야기를 알고, 진모의 집안 사정을 통해서는 석탄 발전소 건립으로 흩어지는 마을 주민들과 마을의 위기를 마주한다. 진모의 누나 진경을 통해, 석탄 발전소와 환경 문제, 그리고 지역의 소멸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깨달은 아이들은 이 모든 일이 하나로 이어져 있음을 깨닫는다. 이 문제를 해결해달라고 시장을 찾아가기로 하는데, 록희는 자기 덕분에 시장이 된 아빠를 상대로 석탄 발전소 건립 취소를 얻어낼 수 있을까?
이 책 속에 등장하는 마을 소멸, 산불, 유기견, 바닷가 모래 유실, 석탄 발전소 모두가 환경 오염과 관계가 있다. 처음에는 아이들이 벌이는 모험과 추적 이야기처럼 보였지만 결국에는 환경을 위해 한 발짝씩 나아가는 아이들의 이야기였다. 작품의 뒤로갈수록, 아이들이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일이 커지는데, 작가는 아이들의 입장과 시선에서 슬기롭게 해결해 나간다. 그보다 뭔갈 해결하기보다는 문제를 제기하며 해결해 나가려는 과정이 왜 중요한지를 알게 해준다.
작품의 흐름이 <기호 3번 안석뽕>과 많이 닮았고, 문제를 공론화하는 장면에서는 <무기 팔지 마세요>(위기철) 이야기가 겹쳐 보인다. 아이들이 바꾸려는 세상 이야기가 무척 깊이 공감된다. 30년이나 사용할 석탄 발전소를 짓는데, 앞으로 30년간 피해봐야 할 아이들의 의견을 묻지 않는 행정에 대해 비판하고, 주민들의 피해만 강요하는 정치의 안일함을 지적한다. 그것은 학교 교사와 교감 선생님의 모습과 은근히 대비되는데, 권력과 이권, 표심 앞에 눈치를 봐야 하는 어른들의 모습이 보여 씁쓸하다.
“역시나 어른들은 이것저것 따지는 게 많아서 용감해지기가 어려웠다.”(151)
그래서 이것저것 재는 어른들이 세상을 바꾸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고, 그때는 이미 늦는다. 그래서 용감한 아이들의 생각을 귀기울여 들어야 한다.
이 책을 읽으며, 아이들이 던지는 '왜'라는 질문이 결국 우리가 모두 던져야 할 질문임을 알게 된다. 세상의 문제를 진지하게 바라보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고민하는 아이들의 모습은 마치 우리의 미래를 보여주는 거울 같다. 작가는 이 과정을 단순히 '성장'으로만 그리지 않고, 동아리 아이들이 어떻게 문제를 대하고 풀어가는지를 보여주며, 그 안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넌지시 드러낸다.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어린 독자들은 자신이 함께 성장하고 있음을 마주하게 될 것이다. '왜'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에서 시작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모두가 함께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가고 있음을 깨닫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초등학생들에게 추천한다. 형식에 얽매지 않은 발랄한 책이기에, 독서가 어려운 아이들도 쉽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2024.10.12
*본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가제본 도서를 읽고 작성한 글임을 밝힙니다.
#왜왜왜동아리
#진형민
#창비